제주대학교 Repository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 및 학업성취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가정에서 부모의 자녀양육과 아동의 학습 및 생활지도에 바람직한 방향을 찾고 긍정적인 교육 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제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2개 학교 4, 5, 6학년 학생 600명을 표집하여 최종 5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이종승과 오성심(1982)이 제작한 "부모의 양육태도 지각검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정서지능 검사는 Salovey & Mayer(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6)이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 α계수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Pearson적률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모두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다. 그리고 모의 양육태도 애정-적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애정적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부의 양육태도는 성취-비성취가 다른 양육태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아동의 정서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며 조절할 수 있으며 타인에 대한 감정이입을 잘 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하위 요인별로 정서인식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정서표현, 정서조절 순이며 감정이입이 가장 낮았다. 특히 정서인식의 평균이 다른 요인에 비해 매우 높았다. 아동의 학업성취도는 모든 과목 평균이 86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는 성별, 형제수,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애정적이며 합리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제수에 따라서는 모의 양육태도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형제수가 1명인 아동에 비해 2명인 아동과 셋 이상인 아동이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더 애정적이고 성취적이며 합리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첫째인 아동과 둘째인 아동이 외동인 아동에 비해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더 애정적이며 합리적으로 느끼고 첫째, 둘째, 셋째 이상인 아동이 외동인 아동에 비해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더 성취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동인 아동이 셋째 이상인 아동보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자율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배경 변인에 따른 정서지능은 성별에 따라서만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배경 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성별, 형제수, 출생순위, 부모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국어과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형제수에 따라서는 형제수가 1명인 아동이 3명이상인 아동보다 전체 학업성취도 및 사회과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외동, 첫째, 둘째인 아동이 셋째 이상인 아동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부모의 학력에 따라서는 부모의 학력이 대졸이상인 아동의 학업성취도가 부의 학력이 고졸이하인 아동의 학업성취도보다 모두 높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부모 양육태도는 정서지능의 다른 요인에 비해 정서조절능력과 상관관계가 높았는데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정서를 통제하고 조절하는 정서조절 능력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이입 능력은 다른 요인에 비해 부모의 양육태도와 상관관계가 낮았는데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 중에서 합리-비합리와의 상관관계가 낮았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는 낮은 편이었으나 모의 양육태도와 수학, 과학과의 상관관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모의 양육태도보다는 부의 양육태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으며 부의 양육태도와 국어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정서지능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감정이입과 수학과의 관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국어는 다른 과목에 비해 정서지능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d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what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 academic achievement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is, to seek a desirable direction in parents' children rearing and children's learning & life guidance at a home, and to suggest a pos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A 600 students of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at 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Jeju City were sampled, and then, 522 students were finally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The "Perceptual test of rearing attitude of parents" made by Lee Jong-seung and Oh Seong-shim(1982)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used for measuring parents' rearing attitude sensed by children after amending and complementing it, and an inspection tool for senior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developed by Moon Yong-lin(1996) based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of Salovey & Mayer(1990) for an emotional intelligence test.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an average & standard deviations were found by using a SPSS 12.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ppeared to feel like parents' rearing attitude is affectionate, autonomous, achieving and reasonable and they sensed mother's rearing attitude more positively rather than father's rearing attitude.
And affection-hostility to mother's rearing attitude appeared the highest, so this shows that they have a high inclination that senses mother's rearing attitude affectionately. On the other hand, father's rearing attitude appeared lowly in achievement - non-achievement, compared to other rearing attitud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was a level that they can recognize, express and control emotion of oneself and other people, and can do empathy to other people well. As a subordinate factor, emotional recognition was the highest, and next, it was in the order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control, and empathy was the lowest. Especially, an average of emotional recognition wa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factor.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children highly appeared over 86 marks in an average of all subjects.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parents' rearing attitude by background variable of children in accordance with gender, the 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and birth order. In an aspect of gender, it appeared that girls student feel mother's rearing attitude affectionately and reasonably, compared to boy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and it appeared that children with 2 or more than 3 brothers and sisters feel that father's rearing attitude is more affectionate, achieving and reasonable, compared to children with one brother or sister. In an aspect of birth order, the eldest child and the second eldest child feel that father's rearing attitude is more affectionate and reasonable, compared to one child, and it appeared that the eldest, second eldest and third eldest children feel that father's rearing attitude is more achieving, compared to one child. And it appeared that one child in a family feels mother's rearing attitude more autonomously than a child elder than the third eldest child.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only gender, and thus it appeared that girls students have a higher level in emotional expression and control than boy students. The learning achievement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ren had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 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birth order and academic background of parents.
In an aspect of gender, girls students had higher learning achievements in a Korean subject, compare to boy students. In an aspect of the 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one child in a family had higher total learning achievements and society subject's learning achievements than children with more than 3 brothers and sisters. In an aspect of birth order, one child in a family, the eldest child and the second eldest child had higher learning achievements than the third eldest child or children younger than the third eldest child. In an aspect of parents' academic background, the learning achievements of all children, who have parent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more than college graduation, had higher learning achievements than children who have a father with academic background of less than high school graduation.

Third,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each other. the parents' rearing attitude has a higher correlation with emotional control ability compared to other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o it can be known that parents' positive rearing attitude can enhance emotion control ability that control emotion. And the empathy ability among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low correlation with parents' rearing attitude compared to other factors, and especially, it has a low correlation with rationality-irrationality among parents' rearing attitude.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learning achievements was low, but i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athematics & science.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father's rearing attitude rather tha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rearing attitude and Korean language appeared the highest.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learning achievements was low, but i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the relations between empathy and mathematics. On the other hand, Korean language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compared to other subjects.
Author(s)
김여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57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가정교육
Advisor
김양순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2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양육태도 4
2. 정서지능 9
3. 학업성취도 12
4.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15
5.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17
6. 아동의 정서지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18

Ⅲ. 연구 방법 20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0
2. 측정도구 20
3. 자료분석 방법 23

Ⅳ. 결과의 해석 및 논의 25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5
2.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및 학업성취도의 일반적인 분포 경향 26
3. 아동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29
4.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및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37


Ⅵ. 결론 및 제언 40
1. 결론 40
2. 제언 43

참고 문헌 44

ABSTRACT 49

부 록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여진. (2009).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Home Economic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