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안면도 연안에 서식하는 새조개, Fulvia mutica의 생식주기 및 체조성 성분 변화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productive cycle and proximate tissue composition of the cockle, Fulvia mutica from Anmyeon Island, on the west coast of Korea
Abstract
실험에 사용된 새조개는 2005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에 위치한 죽도에서 매월 1회 30개체씩을 기본으로 하여 1년간 채집을 하였으며, 특히 세부적인 배우자 발달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4월부터 7월까지는 매월 2, 3회씩 샘플링 빈도를 높여 채집하였다. 채집된 시료는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를 조사하였고, 생화학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체조성 성분의 계절별 변화를 나타내었다.
채집기간 중 Condition Index (CI)는 월평균 1.25~1.84의 범위를 나타냈다. 발달기 상태인 3월 월평균 1.79의 최대 CI를 나타냈고, 주 산란기인 9월 급격히 감소하였다. 연구지역의 수온 범위는 5.2~26.5℃를 나타냈다.
조직학적 관찰결과, 1월에 채집된 개체들에서 초기발달이 시작되었고 이때 수온은 7.2℃였다. 산란은 6~7월과 9월에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때 20℃ 내외의 수온 범위를 보였다.
난모세포 크기와 배우자발달과정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2005년 3월 초기 발달기 상태의 난모세포 크기는 평균 18.7 ㎛로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8월 최대 평균 53.6 ㎛ 나타냈고, 산란 이후 급격히 줄어드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총 단백질 함량은 총 탄수화물량과 지질함량이 감소할 때 축적되는 것이 관찰 되었다. 한편, 월 별 총 탄수화물량과 지질함량의 변화는 번식주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수화물과 지질 모두 배우자형성시기에 최대값을 보였으며, 산란과 함께 급격히 낮아졌다. 이후 탄수화물과 지질은 휴지기 를 시작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nnual gametogenesis and subsequent changes in tissu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cockle, Fulvia mutica distributed in Anmyeon Island on the we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over a 12 months period. Changes in the gonadal tissues were monitored using histology and the amount of crude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in the somatic tissues was measured on a monthly basis. Condition index (CI), as a ratio of wet tissue weight to the shell weight was also calculated to follow the annual gametogenesis. CI and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ranged 1.25~1.84 and 5.2~26.5 ℃ respectively during the course of study. CI increased as gonad become mature and showed its annual maxima just prior to spawning. Dramatic drop of CI indicated the timing of spawning. Histology revealed that cockle has two major spawning peaks in a year, one in June through July and the other in September through October, although the first spawning peak was more remarkable. Size of the oocyte increased rapidly from March (20 ㎛) to May and reached its annual maximum (55 ㎛) in June. Mean size of oocyte dropped from August to September indicated that cockle spawned from June to September.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tissues also showed a clear annual pattern; total protein level increase as gonad become mature while the level of carbohydrate and lipid decreased as gametogenic development progressed. Like other bivalves, storage material of F. mutica seems to be carbohydrate and possibly stored in Spring.
It was noticeable that F. mutica spawned from June to September with two distinct spawning peaks at the study area, indicating that the period of brood stock protection needs to be expanded to protect the spawning cockle in order to enhance the natural population of cockle in this areal.
Author(s)
양현성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33
Alternative Author(s)
Yang, Hyun-S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물공학과
Advisor
최광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4
1. 시료 준비 = 4
2. 생식세포의 조직학적 관찰 = 7
3. 난모세포 직경 측정 = 9
4. 체조성 성분 분석 = 9
Ⅲ. 결과 = 14
1. Condition Index(CI) = 14
2. 수온변화 = 16
3. 연중 생식소 발달 = 18
4. 연중번식주기 = 22
5. 연중 난모세포 크기 변화 = 25
6. 체조성 성분 분석 = 27
Ⅳ. 고찰 = 29
Ⅴ. 요약 = 33
Ⅵ. 참고문헌 = 34
Appendix = 38
감사의 글 =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현성. (2007). 안면도 연안에 서식하는 새조개, Fulvia mutica의 생식주기 및 체조성 성분 변화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arine Life Scienc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