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오류수정 유형에 따른 학습자 반응 고찰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Learners' Reaction According to Error Repair Type
Abstract
일본어 발화수업에서 효과적인 오류 수정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오류 수정 유형에 따른 학습자 반응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위해 일본어교실 14개, 14.7시간(880분)을 참관, 녹음하여 교사-학습자의 오류 발화연속체를 분석하였다.
오류 유형은 발화된 오류, 발화 실패 오류로 크게 나누고, 발화된 오류는 다시 어휘, 문법, 발음, 기타로 나누었다. 오류 수정유형은 명시적 수정, 암시적 수정으로 크게 나누고, 명시적 수정은 명시적 수정, 오류 고쳐 말하기, 정답 제공 수정으로, 암시적 수정은 명료화 요청, 메타 언어적 설명, 정답 유도, 질문 반복, 보완, 오류 반복으로 세분하였다. 학습자 반응은 반응 있음, 반응 없음으로 대별하고, 반응 있음은 다시 교정 반응(교정, 합성, 수정 반복), 재교정 필요반응(부분교정 반응, 인지 표시, 질문)으로, 반응 없음은 수정 무시와 오류지속으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오류 유형으로는 어휘 오류(31%)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이 발화 실패 오류(28%) -> 문법 오류(24%) -> 발음(13%) 등의 순이었다. 오류 수정 유형으로는 오류 고쳐 말하기(36%) -> 유도(29%) -> 정답 제공(15%) 등의 순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반응율은 61%로 나타났다. 교정 반응이 55%, 재교정 필요 반응이 6%, 학습자 반응 없음이 39%로 나타났다. 학습자 반응 없음이 39%라는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은 제대로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수치라 할 수 있다. 더구나 55%의 교정 완료 반응 중 습득에 더 의미가 있다고 여겨지는 교정 반응과 합성 반응은 23% 밖에 되지 않아 오류 수정의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교정 완료 반응으로는 수정 반복이 32%로 가장 많았고, 오류지속 20% -> 수정 무시 19% -> 교정 반응 12% -> 합성 11% 등의 순이었다. 습득에 유의미한 반응이라고 생각되는 교정 반응과 합성 반응의 순위를 수정 유형별로 보면, 오류 반복(80%) -> 유도(58%) -> 명료화 요청(43%) 등 상위에 암시적 수정이 차지하고 있었다.
오류별 교정 반응 순위는 어휘 62% -> 발음 60% -> 발화 실패 55% -> 문법 47% 순으로 나타났다. 문법 오류는 교정 반응을 이끌어내기가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오류에 따른 수정 유형과 학습자 반응과의 관계를 보면 어휘, 발화 실패, 문법 오류 모두 정답 유도 수정 후에 교정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합성 반응은 어휘-유도, 발화 실패-유도 후에, 한편, 가장 반응이 없는 경우는 발음-오류 고쳐 말하기, 문법-오류 고쳐 말하기 후로 나타났다.
이 분석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오류 수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① 수정방법으로는 명시적 수정보다 암시적 수정이 효과적이다. ② 메타 언어적 설명 후에 재교정 필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메타 언어적 설명을 할 때는 어떻게 하면 학습자로부터 교정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 방법 연구가 있어야 한다. ③ 문법 오류는 반응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므로, 문법 오류를 수정할 때는 더 신중을 기해야 하고, 이에 대한 방법 연구가 있어야 한다. 문법 오류에 대해서는 오류 고쳐 말하기가 가장 반응이 없었으므로 수정 시 참고로 하는 것이 좋다. ④ 어휘 오류와 문법 오류, 발화 실패 오류에 대한 수정법으로 유도 수정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⑤ 어휘 오류에 대해서는 오류 고쳐 말하기와 정답 제공 수정 후, 문법 오류의 경우는 오류 고쳐 말하기, 발화 실패에 대해서는 정답 제공 수정 후 가장 반응이 낮았다. 먼저 정답 유도 수정법을 써 본 후 교정이 되지 않았을 때 마지막에 이 수정법을 쓰는 것이 좋다.
지금까지와 같은 무자각적이고 즉흥적인 수정에서 벗어나 하나의 교수 전략으로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할 때 오류 수정은 최적의 피드백이 될 것이다.
Learners' reaction according to error-repair type in Japanese connected-speech instruction was examined. In order to suggest the effective error-repair plan in the classroom, the teacher-learners' error connected-speech sequence was analyzed by participating and recording for 14.7 hours(880 minutes) in 14 Japanese-language classroom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error types were the largest in vocabulary error(31%). The next was in order of connected-speech failure error(28%) -> grammar error(24%) -> pronunciation(13%). The error-repair types were indicated to be much used speaking by repairing error(36%), inducing correct answer(29%), and offering correct answer(15%). The learners' reaction ratio accounted for 61%. It accounted for 55% in reaction to repair, 6% in reaction to necessity of re-repair, and 39% in no reaction. What high figure is seen in no reaction with 39% can be said to be the figure of showing that repair was not performed rightly. Furthermore, the repair reaction and compound reaction, which are regarded as having more significance in learning among repair-completion reactions in 55%, just accounted for 23%, thereby having revealed the problem about repairing error. Learners' reaction was the largest to be 32% in the repair repetition belonging to repair-completion reaction. And, it was in order of error continuation with 20% -> repair ignorance with 19% -> repair reaction with 12% -> compound with 11%.
Repair reaction ranking by error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vocabulary with 62% -> pronunciation with 60% -> connected-speech failure with 55% -> grammar with 47%. Grammar error was indicated to be the most difficult to lead to the repair reaction.
Given seeing the relationship in repair type and learners' reaction according to error, all of vocabulary, connected-speech failure, and grammar error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the repair reaction after the induced repair. The compound reaction was indicated to be after repairing vocabulary-leading and connected-speech failure-leading. The case with the least reaction was indicated to be speaking by repairing error and speaking by repairing pronunciation-error.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s follows in relation to the error repair.
① As for the repair method, the implicit repair is more effective than the explicit repair. ② The re-repair necessity reaction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after meta-linguistic description. Thus, there is necessity of researching into a method of how the repair will be able to be led by a learner given the meta-linguistic description. ③ The grammar error was indicated to be the lowest in the reaction ratio. Thus, there is necessity of being more careful when repairing the grammar error and of researching into a method on this. As for the grammar error, speaking by repairing error had the least reaction, thereby being good to see given the repair. ④ The repair reaction to the vocabulary error, grammar error, and connected-speech failure was much indicated after the induced-repair, thereby being effective to use the induced-repair.
When using properly and uniformly in line with the situation as one teaching strategy, escaping from the non-perceived and extemporaneous repair like so far, the error repair will be the optimal feedback.
Author(s)
文亨淑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385
Alternative Author(s)
Moon, Hyoung-sook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어교육
Advisor
이창익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2
3. 연구 방법과 전사 방법 6
1) 연구 방법 6
2) 전사 방법 13

Ⅱ. 본론 15
1. 오류 수정의 개념과 역할 15
2. 유형 분류 17
1) 오류의 유형 17
2) 오류 수정의 유형 25
3) 학습자 반응의 유형 31
3. 유형별 출현율과 관계 분석 37
1) 유형별 출현율 37
2) 유형간 관계 40

Ⅲ.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61
영문초록 63
부록
1. 전사자료 65
2. 설문 10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文亨淑. (2008). 오류수정 유형에 따른 학습자 반응 고찰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Japanese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