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온주밀감 '일남1호'에서 주요 살충제의 잔류량 변화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hanges in Residues of Major Pesticides in 'Nichinan No.1' Satsuma Mandarin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ree kinds of residual pesticides, including one kind of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and two kinds of organochlorine acaricides during cultivation periods in 'Nichinan No.1' satsuma mandarin. The biological half-life was calculated for these pesticides. In addition, the residual pesticide on the peel and flesh changes and the amount of residual pesticide on the hands during peeling was investigated to relieve anxiety for the safety of consumers about residual pesticide after harvesting.
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idual pesticides on agricultural products under cultivation periods, pesticides were applied to cultivar Nichinam No.1 satsuma mandarin at 60 days before harvesting. Two kind of pesticides were found in lower quantities than MRL, but dicofol was found in higher quantities than MRL. The residue of pesticides at 60 days after treatment decreased 88.5% in the dicofol, 81.5% in the methidathion and 77.6% in the tetradifon. These pesticides decreased significantly 10 days after treatment, but decreased slowly afterwards as time went by.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the biological half-life were 18.4 days for dicofol, 24.6 days for methidathion and 27.8 days for tetradifon.
2. The residual ratio of pesticides in the flesh and peel of cultivar Nichinam No.1 satsuma mandarin were 99.8% of total residue in dicofol, 99.4% of total residue in methidathion and 98.6% of total residue in tetradifon. Pesticide residue was found in over 98.6% of the peel of citrus fruit. In conclusion, we need to find an effective peeling technique.
3. Pesticide residues in cultivar Nichinam No.1 satsuma mandarin under cultivation periods revealed that there was far more pesticide on the peel than on the hand. The pesticide residue detected in hand and flesh was insignificant.
본 연구는 농산물 안전성조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온주밀감 '일남1호'를 대상으로 생산단계에서 유기인계 1종, 유기염소계 2종의 농약에 대한 경시적인 잔류량 변화를 조사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 불안 해소를 목적으로 수확 후 과육 및 과피의 잔류량 변화와 과피를 벗겨내는 동안에 손에 묻는 잔류량을 조사했다.
1. 생산단계에서의 농약 잔류량 실험에서 시험 농약별 잔류량의 변화는 수확 60일전에 기준량을 살포하여 3종의 농약 중 2종은 MRL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dicofol은 MRL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 60일전 농약을 살포하여 최초 살포일로부터 dicofol은 88.5%, methidathion은 81.5%, tetradifon은 77.6% 감소하였다. 이들 농약은 10일차까지 많은 양이 감소되었으나 시간이 경과 할수록 서서히 감소되었다. 각각의 회귀방정식으로 산출한 생물학적 반감기는 dicofol 18.4일, methidathion 24.6일, tetradifon 27.8일로 나타났다.
2. 감귤의 부위별 농약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과피에서 dicofol은 전체 잔류량의 99.8%, methidathion은 99.4%, tetradifon은 98.6%가 잔류하여 감귤의 농약 잔류량은 과피에서 98%이상이 검출되어 껍질 벗기기만으로 많은 양의 농약이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3. 감귤의 껍질을 제거하면서 손에 묻는 농약 잔류량 분석 결과는 과피 > 손에 묻는 양 > 과육의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농약은 과피에서 검출 되었고 손에 묻는 양과 과육에서 검출된 양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었다.
Author(s)
양선희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237
Alternative Author(s)
Yang, Seon-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원예학과
Advisor
한상헌
Table Of Contents
Ⅰ. 서언 = 1
Ⅱ. 재료 및 방법 = 3
1. 식물재료 = 3
2. 시험농약 선정 및 살포 = 3
3. 시료채취 및 보관 = 5
4. 잔류농약 분석 = 6
5. 시험 분석법 검증 = 9
Ⅲ. 결과 및 고찰 = 15
1. Dicofol의 농약 잔류량 변화 = 15
1) 과실에서의 잔류량 변화 = 15
2) 과육 및 과피의 잔류량 변화 = 17
2. Methidathion의 농약 잔류량 변화 = 19
1) 과실에서의 잔류량 변화 = 19
2) 과육 및 과피의 잔류량 변화 = 20
3. Tetradifon의 농약 잔류량 변화 = 22
1) 과실에서의 잔류량 변화 = 22
2) 과육 및 과피의 잔류량 변화 = 24
4. 감귤 과피 분리시 과피, 과육, 손에 묻는 잔류농약 분석 = 27
Ⅳ. 적요 = 29
Ⅴ. 참고문헌 = 30
Ⅵ. 감사의 글 = 33
Ⅶ. 부록 = 3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선희. (2008). 온주밀감 '일남1호'에서 주요 살충제의 잔류량 변화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orticul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