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의 헌법적 함의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Constitutional Implications of the Employment System of Foreign Workers
Abstract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경제성장과 인구감소 등으로 노동력의 국제적 이동은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이미 중소영세기업을 중심으로 수십만명 이상의 외국인근로자를 받아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의 노동력 수요압력과 외국으로부터의 공급압력을 피하기 힘든 현실에서 외국인근로자의 유입은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외국인근로자 유입이 점점 증가하면서 불법체류자 문제, 송출비리, 인권보호의 미흡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외국인고용제도와 독일, 프랑스, 대만, 일본, 싱가포르 등의 외국인력 제도 및 관련 법제 운영 실태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헌법적 함의를 찾아내고 단순히 외국과 우리나라의 관련 법령의 내용에 대한 비교분석에 그치지 않고 각국이 처한 노동시장 및 외국인이주근로자들의 관련 상황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보다 개선된 외국인근로자 관련법 확립을 위한 제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인근로자의 기본권 특히 사회적 기본권 보장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 모든 외국인근로자의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보장하는 것은 국제법상 국가의 의무이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외국인근로자에 대해서도 최대한으로 그들의 기본권을 보장해 주어야함은 당연하다. 현재 근로계약시 근로조건의 명시와 실질적인 단체협약, 최저임금법의 적용, 부당해고금지와 해고예고제도의 적용, 조합결성권 및 노동3권 등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이 내국인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동등하게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외국인근로자의 열악한 근로환경, 주거환경에 대한 강화된 근거규정이 있어야 한다. 또한 외국인근로자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불법체류 근로자는 강제퇴거의 두려움 때문에 산재법 및 의료보험법의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산재보상 및 의료보험 적용에 대한 사용자의 의무 불이행과 외국인근로자임을 이유로 한 차별적 대우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강력한 벌칙을 규정하여 이들을 보호해야만 한다. 또한 인권침해와 관련하여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행정당국의 단독적 심사결정으로 이루어지는 강제퇴거 결정을 사법적 판단에 의해서 행해지도록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강제퇴거 결정에 대한 사법적 중재제도의 도입과 강제퇴거결정을 유예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그러나 사회적 기본권 보장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하더라도 헌법에 위배될 수는 없다. 사회적 기본권의 제한이 필요한 경우는 헌법 제37조의 기본권 제한의 법리에 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외국인근로자에 대하여 근로에 있어서의 균등대우 원칙이 실현되어야 한다. 헌법 제11조 및 근로기준법 제5조에서 의미하는 균등대우 원칙은 내국인과 같이 외국인근로자도 인간으로서 자유롭게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배려를 해야 하며, 특히 산업재해, 의료, 실업 등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받을 있는 권리, 임금과 수당 등에 대해서도 평등하게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균등대우의 원칙이 무제한적으로 적용될 수는 없기 때문에 외국인근로자의 노동의 질이라던가 능력, 노동의 양, 기업공헌도 등과 같은 합리적인 근거나 국민주권과의 관계에서 일정한 제한이 가능하겠지만 그것은 최소한에 그쳐야 할 것이다. 물론 이의 실행을 위해서는 사전에 국내 정규직근로자와 비정규직근로자간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격차를 먼저 제거해야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외국인근로자와 국내근로자 간의 임금격차만 엄격하게 제거한다면, 국내근로자들이 사실상 외국인근로자에 비하여 차별대우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법적인 측면에서는 원칙에 대한 논의보다는 균등대우가 실현될 수 있도록 법의 집행을 현실화하고, 또 법의 집행이 사회현상의 수정까지 갈 수 있도록 법의 집행에 관련된 내용을 효율적으로 개정해야 할 것이다.
외국인근로자의 보호에 관한 모든 ILO 나 UN 협약 등 국제규범에서도 외국인과 내국인간의 동등한 권리의 보장이라는 내외국인 균둥대우원칙이 존중되고 있다.
셋째, 영주권제도를 개방해야 한다.
인력난을 겪고 있는 사업장에 안정된 외국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고용허가제는 오히려 불법체류자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보였다. 따라서 장기체류자들을 불법체류 상태로 방치할 것이 아니라 영주권제도를 개방하여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조처가 필요하다. 아울러 일시거주자와 장기거주자 및 영구거주자를 고려하면서 각종 사회보장제도와 국민최저생활 수준정도라도 되는 교육, 의료, 주거,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넷째, 외국인근로자의 정주화에 대한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전 세계가 외국인력 유입에 있어 국경이 없어지고 있다. 물론 앞서 살펴보았듯이 외국인근로자들을 유입하면서 각 나라가 가장 신경을 쓰는 부분 또한 외국인의 정주화 문제이다. 왜냐하면 필요에 의해서 유입하면서도 그들이 우리나라에 있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문제에 대해서는 신경 쓰고 싶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현재 각 국가는 외국인근로자의 정주화를 막기 위해 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독일은 인도적 차원에서의 가족동반 허용, 특별취업허가의 경우 체류기간 5년 또는 무기한 허용 등에 따른 '교체순환원칙' 붕괴로 인한 정주화 방지에 실패하였다. 이에 싱가포르는 사업장 이동의 자유를 거의 봉쇄하면서 외국인근로자의 정주화를 막고 있다. 하지만, 경제인구의 감소, 3D업종의 인력난 등으로 인해 외국인근로자의 정주화 방지는 힘들어 질 것이다. 따라서 미리 그 대책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노동허가제가 전면 도입되어야 한다.
독일은 차별금지라는 원칙에 입각해서 외국인근로자들에게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적용하고 있으며, 독일 정부가 정한 노동권 보장 및 사회보장법의 전면 적용을 받고 있다. 노동허가제도는 외국인에게 국내에서 일정기간 취업할 수 있는 허가와 함께 취업 목적의 입국사증을 내주고 당해 외국인은 취업허가 기간 중 국내의 어느 사업장에나 본인이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취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정부의 입장에서는 외국인 관리에 있어서의 어려움이 있다. 독일의 노동허가제는 한국의 고용허가제보다 외국인근로자의 인권침해 등의 소지를 줄일 수 있는 제도라고 인정된다. 따라서 한국의 고용허가제가 독일식 노동허가제를 전면 수용하여 외국인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와 '차별금지법' 등 제도적인 개선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that Korea is recently experiencing has led to changes in its industrial and population structure.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problems such as the various jobs within the so called 3D industry and the lack of the labor force in the middle sized enterprises that occupy most of these sectors, rapidly aging population in the agrarian areas, and avoidance of labor intensive work in specialized fields due to high education have all contributed in creating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import of foreign laborer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domestic labor market and foreigners coming and wishing to settle in Korea has led to the Korean society experiencing the sharing of their living space with a variety of foreigners which has never happened before.
However, Korea has not been able to actively deal with the ever increasing foreign laborers and even in the running of the system, the truth of the matter is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establish a legal and structured system regarding these people.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at least as it appears on the outside. is that it prohibits the import of foreign labor but deep down, it is turning a blind eye to the actual importation. This in fact is a double standard policy and many criticisms have been put forward with the argument that it is an unethical policy which exploits the labor force with underpay and not an actual industrial technology training in reality under a deceptive system with a borrowed legal name of industrial technology interns.
Constitutional law article number 10 professes that, "all citizens possess the right to keep their dignity and value as a human being as well as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and defines that human dignity should be guaranteed. Article 11 gives the definition that "all citizens are equal under the law. Nobody should be discriminated withi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renas because of sex, religion, or social position". The above mentioned conditions are not just basic rights that should only be applied to citizens but that should apply to all people which in other words refers to human rights. This tells us that foreigners are no exception to the rule and demonstrates that foreigners in principle should have the same rights as a human being as equally as Korean citizens.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presently executed foreign labor system confers the position of legal 'worker' to foreign laborers so that they come under the domestic labor related laws. In order to do away with international corruption, the Korean government signed MOUs with the corresponding countries in order to import labor and to prevent encroachment of jobs within the domestic market. The agreement consists of limiting the 'moving of employment location' among others. With the execution of allowing the hiring of foreigners, the systematic basis to employ unskilled foreign labor legally was established. With this establishment, we could say that the foreign labor usage system, which was an expedient measure such as the foreign industrial trainees, have turned around a corner and been reformed focusing aroun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Despite the initial expectations however, the mater of illegal aliens, corruption in transfer to other countries and lack of protection in human rights still linger on.
This paper investigates into the problems in the law which targets foreign laborers residing in Korea and then attempts to suggest the following reforming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rried out about legal and employment systems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Singapore, Taiwan and Japan regarding overall problems in the protection system and developmental measures of these said foreign workers.
Firstly, the protection alternatives for the basic human rights of the foreign workers must be established.
As the boosting and securing of the human rights and basic freedom of all foreign workers is the solemn duty of the nation from an international legal perspective, in the event where there is no special limit necessary from a basic right point of view, then the foreign laborers should be guaranteed their basic rights especially regarding their social rights to the maximum possible limit. Specifically speaking,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labor agreement through an overall standard labor law, it should have a clear defini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and a pragmatic group agreement, rules of employment as well as a minimum wage guarantee, and finally the prohibition of unlawful firing and warning before the actual dismissal. In addition, the foreign laborer should be equally secured in the same condition as the domestic worker in terms of rights of forming a labor union as well as the 3 rights in the labor laws. If there is a case where there is a need to limit this, it must follow the judicial law of the basic rights of the article number 37 in the constitution. Furthermore, the foreign laborer is exposed to an extremely severe working environment, living conditions as well as malnutrition which makes them not only susceptible to hazardous industrial accidents but various diseases. However, illegal foreign workers who occupy the lion's share of the foreign labor workers are not protected enough with medical insurance and industrial accidents because they are afraid of getting deported from the country. Therefore, strict punishment should be set up to protect them against discriminatory practices based on the fact that they are foreigners as well as the employer's failure to comply with industrial accident and medical insurance.
Secondly, egalitarian principles must be realized in terms of working conditions of the foreign workers.
The principles of the egalitarian treatment must be carried out to ensure that foreign workers are able to enjoy a free social life as a human being just like a domestic individual. This especially means that they have the equal right to receive compensations for industrial accidents, medical insurance and unemployment as well as wages, overtime pay and local election rights. However, these egalitarian treatment principles cannot be applied unrestrictedly and may be limited in terms of quality, ability, amount and contribution to the organization which is quite logical. Even so, it should be applied at the least possible level.
Third, the permanent resident system should be opened up to supplement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hich was executed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a stable supply of foreign labor to companies and also to support the industry interns, perversely led to problems of increasing the numbers of illegal aliens. Therefore, the permanent resident system should be opened up rather than just leaving the problem of long term illegal aliens as it is. Basically, a transitional measure which accepts them as part of our society is needed. Along with that, the government should take the temporary residents and permanent residents into consideration while at the same time installing some kind of device so that various social guarantee systems, basic education that befits minimum standards at the least, as well as medical, residential and social services can be provided to them.
Fourth, there should be a transfer from the current system to a labor permit system. The labor permit system is a system that issues a permit to the foreigner to work for a period of time within the country along with the admission visa with the purpose of employment. During this period, the foreigners who come under this privilege would have the freedom to work in whichever company or location of their choice. This labor permit system would be the most advantageous system from the foreign worker's point of view in that it allows freedom of choice in company or location but comparatively speaking, the detrimental side would be that the management of these foreigners on the part of the government would become challenging and also from the employer's point of view, the managing of these workers would be quite challenging as well. In the case of Germany, it is carrying out the labor permit system and under the principle of no discrimination, they are applying the 'same work, same wage' policy to the foreign workers. The foreign workers are working under the guarantee of the German government and are privy to all social rights laws. The German labor permit system is acknowledged to be a system which reduces the danger of violating the human rights of foreign workers definitely more so than the Korean employment permit law. Therefore, the Korean employment permit law should adopt the German labor permit law and reform it in a systematic way in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long with social agreement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rights of the foreign workers. Taking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national economy, the job categories could be designated and within a certain perimeter, the labor permits could be issued. Simultaneously, once they are implemented into the domestic labor market, rules could be set so that they have the freedom of moving between the registered companies in the department of labor while meeting certain conditions within the designated jobs so that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foreign workers can be decided under the principles of the market and not under the monopolizing position of 'companies that chooses to hire foreign workers'.
Author(s)
송서순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10
Alternative Author(s)
Song, Seo s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법학과
Advisor
권영호
Table Of Contents
第1章 序論 1
제1절 硏究의 目的 1
제2절 硏究의 方法 및 範圍 3
第2章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의 憲法的 基礎 5
제1절 外國人勤勞者의 憲法上 地位 5
1. 外國人勤勞者의 法的 基礎 5
(1) 외국인과 외국인근로자 5
1) 외국인 5
2) 외국인근로자 7
2. 外國人勤勞者의 勤勞者性 10
(1) 합법적인 외국인근로자 10
(2) 불법체류 외국인근로자 10
1) 국제적인 논의 10
2) 근로기준법의 규정과 학설 11
3) 소결 11
3. 外國人의 基本權 主體性에 관한 論議 12
(1) 부정설 12
(2) 긍정설 13
(3) 학설의 검토 14
(4) 판례의 입장 15
4. 憲法上 外國人勤勞者의 基本權 16
(1)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헌법 제10조) 16
(2) 직업선택의 자유(헌법 제15조) 17
1) 직업선택의 자유와 직업 17
2) 직업수행의 자유 18
3) 전직과 퇴직 및 무직의 자유 19
4) 직업교육장 선택의 자유 20
(3) 사회적 기본권 20
1) 사회적 기본권 인정 논의 20
2) 근로의 권리 22
第2節 相互主義原則과 國際法上의 外國人의 地位 30
1. 相互主義原則과 平等權(憲法 第11條) 30
(1) 평등권과 평등원칙 30
(2) 평등원칙의 침해 여부 31
2. 相互主義와 政治活動 禁止 및 國家賠償法 32
(1) 상호주의와 정치활동의 자유 32
(2) 상호주의와 국가배상법 및 범죄피해자구조법 32
3. 國際法上 外國人의 地位 34
(1) 국제노동기구(ILO) 34
1) 이주근로자협약 35
2) 차별대우금지협약 36
3) 이주근로자보충협약 36
4) 평가 37
(2) 국제연합(UN) 38
1) 세계인권선언 38
2) 국제인권규약 39
3) 인종차별철폐협약 39
4) 이주근로자권리협약 40
第3節 個別 法律에서의 外國人勤勞者의 地位 41
1. 出入國管理法上의 地位 41
(1) 출입국관리제도의 유형 41
1) 유럽형 41
2) 미국형 42
(2) 우리나라 출입국관리법상 외국인의 지위 42
1) 우리나라의 출입국관리제도 42
2) 입국허가 및 거부에서의 지위 44
3) 체류에서의 지위 46
4) 출국에서의 지위 48
2. 勞動關係法上 地位 50
(1) 노동단체법상의 지위 50
(2) 노동개별법상의 지위 51
3. 社會保障法上 地位 52
(1) 사회보장과 외국인근로자 52
(2) 사회보험 54
1) 산업재해보상보험 54
2) 국민건강보험 55
3) 국민연금 57
4) 고용보험 57
(3) 공공부조 58
(4) 사회복지서비스 59
第4節 小結 59
第3章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 및 保護 關聯 法制 62
第1節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의 展開 62
1. 外國人勤勞者의 流入背景과 原因 62
(1) 국내에서의 외국인근로자 유입배경 62
(2) 외국인근로자의 유입원인 63
1) 노동의 국제적 이동요인 63
2) 한국으로의 외국노동력 유입요인 68
2. 産業技術練修生制度 70
(1) 해외투자기업기술연수생제도 70
(2) 산업연수제도 71
3. 練修就業制度 73
4. 就業管理制度 74
第2節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의 主要內容 76
1. 雇傭許可制 導入背景 76
2. 雇傭許可制의 內容 77
(1) '외국인근로자고용등에관한법률'의 입법취지 77
(2) 고용허가제 관장 및 지원기관 78
1) 송출국가의 선정 79
2) 외국인근로자 도입규모의 결정 79
(3) 외국인근로자의 선정 및 도입 절차 80
1) 일반 외국인근로자 선정·도입 및 체류관리 80
2) 고용 특례자(방문취업 동포) 선정·도입 절차 82
(4)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교육 및 건강검진 84
(5) 외국인근로자의 고용관리 84
1) 취업활동 기간의 제한 84
2) 근로계약 체결 의무화 84
3) 외국인근로자 보호 조치 85
(6) '외국인근로자고용등에관한법률'의 문제점 86
3. 外國人勤勞者 관련 保護法律과 問題點 88
(1)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88
1) 주요내용 88
2) 문제점 및 평가 91
(2) 다문화가족지원법 92
1) 주요내용 92
2) 문제점 95
(3) 국적법 97
1) 주요내용 97
2) 문제점 98
(4) 재외동포의출입국과법적지위에관한법률 99
(5) 주민등록법 99
1) 주요내용 99
2) 문제점 99
第3節 小結 101
第4章 主要國家의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 關聯 法制 104
第1節 獨逸 104
1. 外國人 관련 保護 法制와 立法 背景 104
2. 外國人 관련 保護 法制 106
(1) 외국인의지위및체류등에관한법률(체류법) 106
1) 개관 106
2) 연방노동청의 동의가 필요 없는 체류허가 108
3) 연방노동청의 동의가 필요한 체류허가 110
4) 국가 간의 협정에 의한 체류허가 114
5) 불법체류자 단속과 인권침해 116
(2) 외국인 관련 법령의 특징 119
第2節 프랑스 121
1. 프랑스의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 121
(1) 프랑스 외국인고용정책의 특징 121
(2) 사전고용허가 및 사전배제 123
(3) 사전허가 원칙에 대한 예외 124
2. 외국인근로자정책의 평가 125
第3節 日本 126
1. 外國人 관련 保護 法制의 立法 背景 126
2. 外國人 관련 保護 法制 128
(1) 출입국관리와 관련한 법률 128
(2) 정치적 권리와 관련한 법률 130
(3) 외국인근로자 관련 법률 131
(4) 국적 취득과 관련한 법률 133
(5) 다문화 관련 법령 134
3. 外國人 관련 法令의 特徵 134
第4節 臺灣 135
1.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 135
(1) 고용허가제와 취업서비스법 135
(2) 미등록노동자 대책 138
1) 고용허가의 취소 138
2) 미등록노동자 단속 139
2. 雇傭許可制의 評價 141
第5節 싱가포르 142
1.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 142
(1) 고용허가제 142
(2) 외국인력 정책의 기본 원칙과 취업패스제도 143
(3) 외국인력 도입을 위한 '외국인노동자취업법' 144
(4) 미등록노동자 대책 146
1) 사용자와 취업 알선자에 대한 벌칙 146
2) 정부 부처간 협조체계 147
2. 雇傭許可制의 評價 148
第6節 小結 149
第5章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의 問題와 改善方案 151
第1節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의 問題 151
1. 制度上의 問題 151
(1) 불법체류자와 그 문제 151
(2) 합법체류자와 그 문제 152
1) 사업장 이동의 제한 152
2) 방문취업 외국인근로자 154
3) 송출비리 154
2. 運營上의 問題 156
(1) 외국인근로자 사후관리 체계 156
1) 외국인근로자 거주 및 고용관리의 문제점 156
2) One-Stop 종합서비스 지원체제의 미비 156
3) 체계적인 통계·전산 인프라의 미비 156
(2) 사업주의 인식개선 157
(3) 외국인력의 수요관리 157
(4) 외국인근로자의 인권침해 158
第2節 外國人勤勞者 雇傭制度의 改善方案 160
1. 合法滯留者 陽性化 160
(1) 불법체류자 문제 해소 160
(2) 불법체류자 외국인근로자의 합법화 문제 161
(3) 합법체류자의 보호와 활용 162
1) 교체순환원칙의 개선 162
2) 영주자격의 완화 164
3) 영주권 부여 165
(4) 사업장이동의 자유 166
(5) 재외동포의 보호 167
(6) 이민정책과 노동정책의 조화 168
2. 人權保護의 强化 169
(1) 강제퇴거 169
(2) 강제단속과 연행 170
(3) 보호조치 172
3. 外國人力 導入過程에 있어서의 改善方案 173
(1) 외국인력 도입 업종 및 규모 173
(2) 외국인근로자의 관리 및 보호 174
1) 체류 및 취업단계 174
2) 귀국단계 174
(3) 송출비리 방지 175
4. 勞動許可制 導入 176
第6章 結論 178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송서순. (2010).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의 헌법적 함의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Law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