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요양보호사 근무시설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between Home Care and Nursing Home
Abstract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 향상, 비공식적 요양인의 사회, 경제활동 활성화,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대 등 여러 가지 효과를 기대하였고, 일부 자료에 따르면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을 향상시키고, 자격을 강화시키는 등 인력 부분에서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생활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시설 유형별로 비교하기 위해 사례 분석하였다. 여기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크게 직무(자체) 내용, 보수, 이용자와의 관계, 직무스트레스, 직업의 전망·위상으로 정하여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요양보호 업무수행기간, 근무형태, 근무일수, 근무시간, 요양보호 관리대상 인원, 보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난 반면, 고용형태, 요양보호사 등급은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수행기간이 2년 미만의 집단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 요양보호 업무수행기간이 길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연구가설 1과 같이 나타났다. 그러나 2년 이상 요양보호 업무를 수행한 집단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연구가설 2와 달리 1주일 평균 근무일수가 많을수록 직무만족도는 오히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가 단기간 교육을 이수한 후 양성되다 보니 업무미숙에서 오는 결과라 분석되며, 제도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음은 연구가설 3과 같이 1일 평균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양보호 근무를 교대로 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가설 4와는 달리 교대 근무보다는 시간제 근무일수록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고정 근무일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단 교대 횟수에 따라 집단간 차이를 보였는데, 2교대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보다 3교대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아 연구가설 4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요양보호 관리대상 인원이 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질 것이라는 연구가설 5는 10명 이하를 관리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26명 이상을 관리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인원이 많아질수록 순차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낮아지지는 않았다. 그리고 요양보호 관리대상 인원 중 요양보호를 받은 후 건강상태가 양호해진 인원이 많을수록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가설 6은 응답자의 응답이 미흡하여 결과를 분석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보수에 대해 살펴보면 보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순차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경향을 볼 수는 없었다.
근무시설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여 보면, 먼저, 직무만족 전체 평균은 3.45이고, 재가방문 시설은 3.58, 입소시설은 3.29, 입소시설과 재가방문이 복합된 시설은 3.26 순으로 나타나 재가방문 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별로 자세히 보면, 직무내용 요인에 대한 근무시설 유형별 직무만족도 평균 역시 재가방문 시설 3.8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든 시설 유형의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내용 만족도가 전체 평균 이상의 만족을 보였다. 보수에 대한 근무시설 유형별 직무만족도 평균을 살펴보니, 역시 재가방문 시설은 3.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모두 전체 평균 이하의 만족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근무시설 유형별 직무만족도 평균은 전체 직무만족도 순서와 같게 나타나 재가방문 시설 3.54, 입소시설은 3.11, 입소시설과 재가방문이 복합된 시설은 3.09 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재가방문 시설 요양보호사가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전체 평균 이상의 만족을 보였다. 직업의 안전성·위상에 대한 근무시설 유형별 직무만족도 평균은 전체 직무만족도 순서와 같게 재가방문 시설 3.57로, 특히 재가방문 시설 요양보호사가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전체 평균 이상의 만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정책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시설 요양보호사보다 재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서비스 다양화 및 수준향상을 위해 요양시설, 주간보호기관 등에서 건강안마, 재활치료, 치매예방 등 건강개선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여 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치매노인, 와상노인, 독거노인이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도 가정에서 충분한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재가서비스를 강화하고 또한 재가 요양업무를 수행하는 요양보호사에게 충분한 근무여건을 마련할 필요 또한 있다. 아울러 방문요양 중심의 소규모 재가시설 난립으로 인하여 요양보호사의 처우가 열악해지고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초래되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는 평가도 있는 것을 보면, 서비스 수준향상을 위해서 요양보호사의 처우개선이 시급한데, 방문요양기관의 시설·인력기준을 강화하여 재가서비스 기준을 정비하고, 요양보호사의 처우수준 향상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질과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자격기준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가자격 소지자에 대한 요양보호사 자격취득이 제고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즉 간호사,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간호조무사 등 국가 자격소지자에게 장기요양기관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양보호사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과정을 의무화하는 현재의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하에서는 요양보호사들을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요양관리사가 없으므로 높은 단계의 교육과 경험을 가진 국가자격 소지자들을 요양보호로 하향 평준화시키는 것은 잘못 되었다고 생각되어진다. 국가자격소지자들에게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이나 자격취득 없이 다른 형태의 교육 및 보수교육을 통하여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본 제도의 자격규정을 개정하는 것이 우선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셋째,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및 교수요원자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현재와 같이 학력, 연령의 제한 없이 240시간의 교육을 이수하는 것으로 구성된 과정은 단순한 요양보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에 그칠 우려가 있다.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심리적, 사회적으로 지지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 업무를 수행하는 가운데서도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일정 자격과 역량을 갖춘 요양보호사를 양성하고,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이와 연결하여 전문적인 노인요양보호사인력 양성을 위한 가칭 "노인장기요양인력개발"원을 둘 필요가 있다. 노인장기요양인력개발원에서는 노인요양보호사의 인력양성을 위한 수습과 공급 및 훈련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전국단위의 노인장기요양인력양성사업 및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교육의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급여와 재정을 관장하는 국민건강관리보험공단과 분리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노인장기요양인력개발원을 새로 신설하거나, 노인장기요양보험과 관련되어 있는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지역별 제주특별자치도인력개발원 등의 기존 기관을 활용하여 노인장기요양인력에 관련한 조사연구, 교육 등의 업무를 총괄토록 하는 것이다.
Recently aging population rate has increased and fertility rate has decreased rapidly in Korea. The population proportion of the aged over 65 in Jeju has constantly increased and Jeju was defined as an aging society in 2000.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has been becoming institutionalized in order to address the welfare needs brought on by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increasing medical costs, falling birthrates, and increasing the female economic activity rates. In July, 2008,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aged.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between Home Care and Nursing Home.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and to compare it, 320 Care workers in Jejusi area are interviewed and 254 dates out of them a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The Job satisfaction consists of 25 questions, including job specifications satisfaction, wage, the relationship with the service users, job stress and job prospects.
On the results of reliability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questions, the Cronbach's alpha is 0.883 which turns out to be the highly reliable. It appears that the mean value for Job satisfaction is 3.45(standard deviation 0.51), and the mean value for care workers of home care(3.58, standard deviation 0.48) is higher than care workers of nursing home(3.29, standard deviation 0.51). The hypotheses were proved as follows. The longer they worked,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y have, under 2 years. The more they worked in a day, the lower job satisfaction they have. The more they give the care service, the lower job satisfaction they have.
These research outcomes could translate into policy action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job environment of nursing home care workers. Secondly, to improve the quality and speciality of care workers, it's necessary to set higher standards for the care workers's certificate. Thirdly, the curriculum and requirements of instructors should be improved.
Author(s)
강희자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96
Alternative Author(s)
Kang, Hee J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방법 및 과정 3
Ⅱ. 이론적 고찰 5
1.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연구 검토 5
2.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검토 11
3. 선행연구를 통한 함의 도출 14
Ⅲ. 연구방법 16
1. 연구대상 및 변수설정 16
2. 연구 가설설정 및 분석방법 18
Ⅳ. 실증분석결과 21
1. 응답자의 특성 21
2. 직무만족도 분석 26
3. 근무시설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비교 50
4. 가설검증 및 함의 54
Ⅴ. 결론 56
1. 연구의 요약 56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0
ABSTRACT 61
참고문헌 63
부록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강희자. (2010). 요양보호사 근무시설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