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유가증권관련 손익의 주가관련성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Value Relevance of Gains and Losses Related to Securiti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가증권을 공정가치로 평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평가손익 정보가 유용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즉, 유가증권공정가치 정보가 주가관련성이 있는지 검정하기위해 유가증권의 공정가치와 취득원가의 차액인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과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이 취득원가(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과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을 차감한 순자산가치)에 대해 추가적 정보가 있는지 분석하고, 순자산을 통제한 경우에 미실현손익인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실현손익인 유가증권처분손익이 주가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가설검정을 위하여 Ohlson(1995)모형을 재구성하여 장부가치와 이익을 설명변수로 하여 장부가치에서 유가증권평가손익을 분리하고 이익에서는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처분손익을 분리하였다. 유가증권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금융업을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 졌지만 본 연구는 비금융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3년도이후 유가증권분류기준과 평가손익 처리가 바뀜에 따라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7년도까지의 기간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유가증권평가손익은 주가관련성이 있다는 은 유가증권평가손익이 취득원가에 대해 추가적 정보가 있는지 즉, 유가증권 공정가치와 취득원가의 차액인 유가증권평가손익이 주가와 양(+)의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실증분석결과 유가증권을 취득원가로 평가한 장부가치(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과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을 차감한 장부가치)뿐만 아니라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의 회귀계수와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의 회귀계수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가증권평가손익은 주가관련성이 있다는 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가증권평가손익 정보는 취득원가 정보에 추가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가증권에 대한 공정가치평가가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장부가치와 이익을 설명변수로 한 모형의 결과는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 회귀계수가 유의하지 않게 나왔고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의 회귀계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을 당기에 발생한 손익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이거나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 금액이 미미하기 때문일 수 있다.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유가증권처분손익의 주가관련성에는 차이가 있다는 를 검정한 결과는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 회귀계수와 단기매매증권처분손익의 회귀계수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왔다. 한편,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의 회귀계수와 매도가능증권처분손익의 회귀계수는 각각 1% 수준에서 유의한 값이 나타났다. 또한, 미실현손익인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의 회귀계수 값이 유의적인 양의 값으로, 실현손익인 매도가능증권처분손익의 회귀계수 값이 유의한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매도가능증권처분손익의 회귀계수 값이 유의적인 음(-)의 값으로 나타난 것은 누락된 변수의 영향일 수 있다. 매도가능증권처분손익은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매도가능증권을 처분함으로써 이익을 실현시킨 회사에 대해 투자자들이 할인하여 평가한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미실현손익인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실현손익인 유가증권처분손익의 주가관련성에 차이가 있다는 가 기각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유가증권회계처리규정이 개정되기 전인 2003년 이전에 대해 분석한 김상철(2001)의 연구와 대비된다. 선행연구에서는 실현손익인 유가증권처분손익이 미실현손익인 유가증권평가손익보다 크지만 크기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투자유가증권처분손익은 투자유가증권평가손익보다 주가배수의 크기가 크고 또한 유의적인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연구의 결과와 대비된다.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처분손익은 장부가치(자본)에 대해 추가적 정보효과가 없다는 의 검정결과는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의 회귀계수와 단기매매증권처분손익의 회귀계수 및 매도가능증권처분손익의 회귀계수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처분손익은 장부가치(자본)에 대해 추가적 정보효과가 없다는 이 채택되었다. 이 결과로 볼때 일시적인 영업외손익인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유가증권처분손익 정보는 미래의 초과이익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정보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김권중·김문철(200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선행연구에서도 일시적 손익 후보들은 대부분 특별손익처럼 미래지속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증권처분손익의 경우 작은 정도의 지속성을 보였으나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유가증권처분손익을 합한 합산치는 미래지속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시적 손익 후보들의 주가관련성 여부에 대한 검증결과도 주식가격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 검정은 2003년도 이후 유가증권 분류기준이 변경된 이후에 김권중·김문철(2003)의 연구결과를 재검증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달리 유가증권에 관한 기업회계기준서가 제정되어 공정가치평가가 확대되고 유가증권과목 분류기준이 바뀐 후의 기간인 2003년 이후를 분석기간으로 하여 유가증권을 공정가치로 평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평가손익의 유용성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2003년도부터 2007년도까지의 5년간 연구이므로 분석기간이 짧다는 점과 유가증권 평가와 처분관련 계정과목 분류기준이 각 회사별로 달라서 일부회사가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고 자료수집을 하는데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기간을 확대하고 손익계산서에서 직접 자료를 추출하는 방법 등을 통해 변수측정에 있어 보다 완벽을 기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유가증권뿐만 아니라 다른 자산 및 부채에 대한 시가정보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로 확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ether fair value accounting on securities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In order to test whether the fair value of securities is value relevance, a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has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s for acquisition costs (net asset value before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and it was reviewed whether the gains/losses related to securities, which was unrealized holding gains/losses on trading securities and the gains/losses on disposal of securities were value relevance when book value was controll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Ohlson model(1995) was reorganized.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was separated from the book value and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and the gains on disposal of securities were separated from profits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by regre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non-financial firms from year 2003 to year 2007.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not only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book value (book value after deducting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but also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can be inferred that information on unrealized holding gains on securities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s for acquisition cost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model that used book value and profits as explanatory variables indicate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is not value relevance while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unrealized holding gains on available-for-sale securities is value relevance. The possible reason for this results is that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is measured as the gains occurred in the present period, or that the amount of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is immaterial.
Second, both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and the gains on the disposition of trading securities are not value relevance.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available-for-sale securities is negative and that of the gains on disposal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are positive at the level of 1% respectively.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prior studies, which indicate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gains on disposal of securities.
Third,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and the gains on disposal of trading securities, and the gains on disposal of available-for-sale securities are not value relevance when book value controlled.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and gains on disposal of securities do not have an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s for book value.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unrealized holding gains on trading securities and gains on disposal of securities are temporary non-operating gain and they are not useful to forecast future abnormal earn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unlike prior studies, the usefulness of fair value accounting on securities was empirically analyzed after year 2003, when the new accounting standards for securities were established, and thus, the fair value accounting on securities was expanded and the criteria to classify security categories had been altered.
Author(s)
김지혜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30
Alternative Author(s)
Kim, Ji-Hy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회계학과
Advisor
김길훈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 1
2. 연구목적 = 3
3. 연구방법과 논문의 구성 = 4
Ⅱ. 선행연구 = 5
1. 기업가치평가 모형 = 5
2. 유가증권의 주가관련성 = 9
Ⅲ. 연구설계 = 23
1. 가설설정 = 23
2. 연구모형 = 26
3. 변수측정 = 30
4. 표본선정 = 31
Ⅳ. 실증분석결과 = 32
1. 기술통계분석 = 32
2. 주요변수간의 상관관계 = 34
3. 유가증권평가손익의 주가관련성 = 36
4. 유가증권평가손익과 유가증권처분손익의 주가관련성 차이 = 38
5. 유가증권관련 손익의 추가적 정보효과 = 41
Ⅴ. 결론 = 43
참고문헌 = 4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지혜. (2009). 유가증권관련 손익의 주가관련성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Accoun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