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인체소묘의 조형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FORMATION OF HUMAN BODY DRAWING
Abstract
소묘는 19세기 이전의 서구미술에서는 밑그림 정도의 보조적 수단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미술에 있어서 소묘는 과거의 미술사조에서 나타난 일반적 소묘의 한계를 넘어 소묘 자체만으로도 자신의 역량과 개성을 표출해 내는 예술의 한 장르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곧 소묘를 의미할 수 있다. 어떠한 대상을 그릴 때 화가는 우선 대상의 높이나 넓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등 대상의 기본적 형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된다. 회화와 차이점이 있다면 그것은 물감을 사용하는 것뿐 다른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앵그르가 지적한 바와 마찬가지로 많은 화가들은 '소묘방식에 따라 그림을 제작해야한다.'는 원칙에 동의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개념적 원리로 볼 때, 소묘를 그저 단순한 기초과정으로 단정해서는 안 될 일이다. 또한 단순한 손의 기술만으로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소묘의 세계는 복잡하고 다양한 회화의 성격 중에서 가장 근본적인 위치에 있고, 현대에 이르러 미술의 독립된 장르에 속하며, 소묘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회화를 이해하는데 선행되어야하는 필수적인 과정이기 때문이다.
현대에 이르러 미술의 세계는 더 난해해지고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다. 소묘는 기초적 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창작적인 측면에서도 위치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체소묘를 중심으로 소묘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나가야할 방향에 대하여 인체소묘의 조형성 연구라는 논제로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술활동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소묘를 연구하였으며, 인체소묘를 중심으로 인체의 조형원리와 형식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자료를 기초로 하여 인체소묘를 이해하고 미술해부학적 구조를 통한 조사와 분석, 역대 작가들의 인체소묘에 대한 조형성 분석, 그리고 본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인체소묘를 연구하였다.
Ⅱ장에서는 소묘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소묘의 개념과 역사, 여러 재료의 다양한 분류를 통하여 소묘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체소묘의 개념과 미술해부학적 관점에서 과학적인 측면을 고찰하여 인체소묘의 다양한 조형적 구조를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인체의 조형미를 연구하고, 인체소묘의 다양한 분석을 위해 작가들의 인체소묘 작품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자의 인체소묘 작품에 대한 조형성의 원리를 분석·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체소묘에서 조형성을 등한시 하여 나타나는 오류에 대한 연구와 그에 따른 조형언어에 대한 개념정립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개념정립이 이루어 질 때 더욱 인체소묘의 조형성에 대한 진정한 가치가 더해질 것이라고 믿는다.
또한 인체소묘의 의미와 해부학적 지식을 형태와 일치시키려는 미학적 연구, 인체소묘를 통하여 인물탐구에 대한 많은 관심과 훈련으로 소묘자체의 중요한 변화 즉, 대상을 보는 방법, 대상의 개념설정, 다양한 표현기법 등에 따른 새로운 인식에 힘입어 소묘만으로도 훌륭한 작품을 창조해낼 수 있음은 물론 그 가능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미학적 개념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새롭게 적용한다면 현대미술에서 자유로운 표현영역을 더욱 넓혀 나갈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동시에 더욱 독자적 영역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 확신한다.
Human body drawing was regarded as an assistant means of drafting in the Western painting until the 19th century. But the modern art world has acknowledged it as a kind of genre which expresses its own competence and individuality beyond the general limitation of drawing reflected in the past trend.
It is safely said that the behavior of painting means drawing. Painters usually take into consideration the basic forms of the object such as its height and width, darkness and brightness. The only difference is that colors are used in painting. As Ingres mentioned, it is agreed by many painters that paintings should be drawn, based on the methods of drawing.
Accordingly, drawing should not be regarded as a basic course in terms of its importance of the conceptional principle. Additionally, it cannot be done only through simple handy techniques. The reason is that drawing is the most basic part in painting activities, that it belongs to independent genre of art, and that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drawing is a necessary course to be preceeded. The modern art world has a more complicating and sophisticating tendency. It is recommended that drawing should be reestablished in creativity as well as in basic course. In this sense, this study deals with formation of human body drawing and its orientation by reestablishing drawing.
This study deals with drawing, one of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parts of painting activities,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forms of human bodies, based on human body drawing.
The method of this study follows the understanding of human body drawing, the survey and analysis through artistic anatomical structures, the analysis of formation of human body drawing by some well known major painters and lastly the analysis of my works.
Chapter II does the study of the general meaning of drawing through the concept and history of drawing and various classification of materials. It also deals with various formative structures through artistic anatomical view.
Chapter III deals with the beauty of human body formation, the comparison of various works, analyzing and suggesting the principles of formation of human body drawing. This study has made me realize the errors caused by negligence of formation of drawing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formative languages. It is desirable that establishing the concept of drawing can add the real value of formation of human body drawing.
Additionally through the aesthetic study in which the meaning of human body drawing and anatomical knowledge should be identical to forms, training and great interest in the study of human bodies, critical changes of drawing creates new concept of method to view objects, establish its concepts and various techniques. Thi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confirm the possibility to create good works only through drawing.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study of the internalized aesthetic concept and its application can give us the opportunity to enlarge the expressive scope of modern painting and gain strong ground as an independent field.
Author(s)
고보형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53
Alternative Author(s)
Ko, Bo-hy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박성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소묘의 이해 및 고찰 = 3
1. 소묘의 개념 = 3
2. 서양소묘의 역사 = 9
3. 소묘의 재료 = 17
4. 인체소묘의 이해 = 22
5. 미술해부학의 이해 = 26
Ⅲ. 인체소묘의 조형성 분석 = 38
1. 조형미로서의 인체 = 38
2. 작가들의 인체소묘 비교분석 = 45
3. 본인 작품에 대한 분석 = 51
Ⅳ. 결론 = 60
참고문헌 = 62
ABSTRACT = 6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보형. (2009). 인체소묘의 조형성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