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재산명시 선서 및 재산조회 제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Property Disclosure' is the measure that the court let debtors submit the property list describing their current property and the property disposed within the certain period and announce the trustworthiness of the list in the court when a debtor does not pay the debt. It plays a role of supplementary measure of forcible execution.

'Property Inquiry' is the measure that creditor can ask the network of banking organ and other related institution to reveal the debtor's property status by the application to the court and find out the intentionally property of a debtor for avoiding the mandatory levy. It was newly introduced in July, 2005.

'Property Disclosure' and 'Property Inquiry' both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protecting the creditor over insincere and ill-intentioned debtor. However, current practices of these measures have also some problems. Despite several modifica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 measure has not yet been proved. Also the issue of protecting a debtor's privacy should be solved. Until now, there have been some loop holes in the law.
Therefore, each law needs to be improved as the following.

Firstl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roperty Disclosure', we should strengthen criminal penalties and prepare a device to ensure that the debtor attends the court.

Secondly, we need to seek for the harmony of realizing the right of a creditor and protecting the privacy of a debtor. We thus need to prepare the regulation for preventing the information revealed by 'Property Disclosure' from being abused with a bad purpose.
Also, we need to reinforce the protection of debtor's privacy by stipulating in writing that the day of 'Property Disclosure' should be held behind closed doors.

Thirdly 'Property Disclosure' and 'Property Inquiry' need to be made up for the weak points. Especially bankruptcy measurement in the middle of the Property Express procedure needs to be stipulated in writing. Also, the court responsible for practicing 'Property Disclosure' and 'Property Inquiry' should try to harmonize the mutual interest of both creditors and debtors in the specific case. In case of 'Property Inquiry', it is peculiar in Korea. so,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establish the complementing laws in the near future.
Author(s)
이기혁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825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법학과
Advisor
하승수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 론1 제 1 절 연구의 목적1 제 2 절 연구의 내용과 범위2 제 3 절 연구의 방법2제 2 장 재산명시선서 및 재산조회 제도의 의의와 연혁3 제 1 절 재산명시선서의 의의3 제 2 절 재산명시제도의 연혁3 제 3 절 재산조회제도의 의의 4제 3 장 외국의 재산명시제도4 제 1 절 일본의 재산명시제도5 1. 재산개시절차의 성립5 2. 재산개시절차의 결정6 3. 재산개시의무9 4. 재산개시기일의 절차10 5. 재산개시 의무위반에 대한 제재 12 제 2 절 한국과 일본의 재산명시제도의 비교13 1. 신청채권자의 범위 등13 2. 재산명시절차의 공개 여부14 3. 도산처리절차와의 관계15
4. 명시의무위반에 대한 제재15 5. 정보의 목적외이용에 대한 제재21 6. 향후의 동향22
제 3 절 독일의 재산명시제도23 1. 의의23 2. 선서보증절차의 개시24 3. 선서보증기일의 실시25 제 4 절 한국과 독일의 재산명시제도의 비교26 1. 절차의 주재자27 2. 대상27 3. 요건27 4. 제재27 5. 등재28제 4 장 현행 재산명시제도 및 재산조회제도의 내용28 제 1 절 재산명시제도28 1. 재산명시절차의 의의28 2. 요건31 3. 재산명시명령의 신청과 관할34 4. 신청에 대한 재판36 5. 재산명시명령에 대한 이의신청38 6. 재산명시기일의 실시42 7. 재산명시기일의 연기48 8. 재산목록의 정정·보완50 9. 재산목록의 열람·복사52 10. 집행정지의 취소53 11. 채무자의 감치 및 벌칙54 12. 재산명시의 재신청65 제 2 절 재산조회제도66 1. 재산조회제도의 의의66 2. 신청대상과 대상기관 67
3. 신청요건 68 4. 신청방법68 5. 신청절차 69 6. 조회신청 69 7. 재판 70 8. 해당기관 조회내용 제출71 9. 재산조회 결과의 열람 등 71제 5 장 재산명시제도 및 재산조회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74 제 1 절 재산명시제도 및 재산조회제도의 문제점74 1. 재산관계명시 및 재산조회의 현황 74 2. 감치 및 과태료의 현황77 3. 재산명시제도 및 재산조회제도의 문제점79 제 2 절 재산명시제도 및 재산조회제도의 개선방안81제 6 장 결론81
참 고 문 헌 84부 록 1재산명시신청서 87 2 재산명시명령결정88 3재산명시기각결정89 4재산명시명령에 대한 이의신청서90 5재산명시명령취소결정91 6재산명시이의 기각결정92 7재산명시기일출석요구서93 8재산명시기일통지서 94 9재산명시절차안내 및 재산목록작성요령 9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이기혁. (2009). 재산명시 선서 및 재산조회 제도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 Law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