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全鳳健 詩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oetry of Jeon, Bong-Geon
Abstract
이 연구는 문학 작품은 담화이며, 담화를 지배하는 요소는 화자라는 입장에서 전봉건(全鳳健) 시의 변모양상을 살피고, 그의 문학사적 위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 작품의 일종인 시는 시인이 독자에게 하는 말이며 시 창작과 감상은 일종의 의사소통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상적 담화와 마찬가지로 라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담화를 구성하는 의미적, 구조적, 조직적 국면의 지배소(dominate)는 화자(이 연구에서 '화자'는 언어학의 '말하는 사람(speaker)'와 융(C. G. Jung)을 비롯한 심리학에 말하는 가면(persona)의 복합 개념으로 사용함)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시인의 시세계의 변모양상을 살피기 위해서는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화자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관점에서 이 연구는, 우선 의미적 국면에서는 화자와 화제의 유형을 분석하여 주제 의식을 밝히려고 한다. 그리고 구조적 국면에서는 거리와 어조를 분석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작가의식과 태도를 밝히고, 조직적 국면에서는 이미지와 리듬을 분석하여 시인의 미적 감각을 밝히려고 한다.
Ⅱ장에서는 초기시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그가 시인으로 문단에 등단 전인 1945년부터 『사랑을 위한 되풀이』(1959)를 발행한 1960년대 초반까지이다. 이 시기에 화자는 서정적 화자가 채택되며, 순수 서정의 세계를 형상화하는 '화자지향형' 또는 '청자지형형'의 화제를 택하고, 자연과 인간의 합일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6.25 이후에는 논리적이고 지적인 남성화자가 등장하여 '전쟁체험'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는 '화제지향형'의 화제를 택하고,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보여준다.
※ 이 논문은 2008년 8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이에 따라 시적 대상에 대한 화자의 거리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와 고백, 애원하는 어조에서 출발하여 6.25를 거치면서 '비교적 먼 거리'로 바꾸고 객관적이고 냉정한 어조를 취한다. 이미지 역시 등단 전후에는 '새'와 '꽃'의 이미지에서 문명을 부정적으로 보는 인공물로 바뀐다. 그러나 그는 '전쟁'이라는 부정적 현실에서 '흙'의 이미지를 통해 생명 회복에 대한 극복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Ⅲ장에서는 중기시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1963년에서 1970년대 말까지로서, 『춘향연가』(1967), 『속의 바다』(1970), 『피리』(1979) 등 시집에 수록된 작품들이 이에 포함된다. 이 시기에 화자는 시적 대상 이면으로 숨기고 '화제지향형' 화제를 택한다. 『춘향연가』와 『속의 바다』에 등장하는 허구적 화자는 몽환과 무의식 속에서 '여성성'으로 현실의 아픔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피리』에서는 잠재된 남성화자가 등장하며 '화제지향형'을 택하고,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시적 대상과 화자 사이는 '지나치게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고, 격정적이고 여성적 어조에서 '비교적 먼 거리'와 역설적 어조로 바뀐다. 또한 '생명'과 '죽음'이라는 대립적 이미지를 통해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내면서 '생명력 회복'을 형상화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후기시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1980년에서 1988년 타계할 때까지로 『북의 고향』(1982)과 『돌』(1984) 등 두 편의 시집과 「6·25」 연작시가 포함된다. 『북의 고향』은 자전적 화자가 등장하여 실향민으로서 정서를 이야기하는 '화자지향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돌』에서는 남성화자가 등장하지만 아픔을 간직한 사람들의 이야기인 '화제지향형'이 자주 채택된다.
이에 따라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와 고백적 어조에서 '비교적 먼 거리'와 담담한 어조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고향'이라는 이미지는 '모성'을 통한 생명력의 회복을 지향하고 있으며, '돌' 이미지는 죽음을 극복하고 영원한 존재를 지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Ⅴ장에서는 전봉건 시의 문학사적 위치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 시단에서 그처럼 현실에 대한 뚜렷한 자각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노래하면서 서정과 모더니즘을 결합시킨 시인은 드물다. 그리고, 40여년 동안 전쟁 체험을 다양하게 변주하고, 수동적인 여성관을 초월하여 능동적인 여성으로 재창조하면서 당시까지 제외한 '성'을 화제로 받아들였을 뿐만 아니라, 장시를 개척한 시인이라는 점에서도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at literary works are discourse and examine the changes of Bong-Geon Jeon's poetry through the point of view that a dominant element in a discourse is a speaker, showing his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poetry is the words speaking to readers and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it could be regarded as a kind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 poetry has the structure of like daily discourses, and the semantic, structural, systematic dominate which consists of discourse is a speaker. (In this research, 'a speaker' is used as the complex concept representing both 'speaker' in linguistics and persona used by C. G. Jung in psychology) Hence, in order to observe the transfiguring aspects of poetry by one poet, it is desirable to analyze his works focusing on a speaker appearing in his works.
In chapter Ⅱ, his poetry in the early period is analyzed. This time is from the year of 1945 when he started his career in literary world to 1960's opening when he published 'The repetition for a love'(1959). This time the lyrical speaker was adopted, and chose the topic of 'speaker-intention style' or 'listener-intention style' which forms the world of pure lyricism, aiming the union of nature and human beings. However, after Korean war the logical and intellectual speaker appeared and chose the topic of 'topic-intention style' which is factually forming 'warfare experience', showing a critical recognition about actuality.
Accordingly, the speaker's distance to the poetic object which departed from 'relatively close distance', confession, and deploring tone turned into the 'relatively distant distance', objective and calm tone. Around his appearing in literary world, the images of 'a bird' and 'a flower' were also exchanged with the artifact which saw a civilization negatively. However, he showed the overcoming possibility about the recovery of the vital force through the image of soil in negative actuality, 'Korean war'.
In chapter Ⅲ, his poetry in the middle period is analyzed. The work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poems called 'The Love Song of Chun Hyang'(1967), 'The Ocean in the Consciousness'(1970) and 'A Flute'(1979) corresponds to this time which is from the year of 1963 to the end of 1970's. During this period, the speaker was latent and chose 'topic-intention style'. The fictitious speaker appearing in 'The Love Song of Chun Hyang' and 'The Ocean in the Consciousness' shows the will to overcome the pains of actuality through 'feminine characteristic' in the phantasm and unconsciousness. Furthermore, in 'A Flute' the latent male speaker emerged and chose 'topic-intention style', showing the negative recognition about reality.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poetic object and the speaker maintained 'extremely close dist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strongly emotional and feminine tone was exchanged with the 'relatively distant distance' and the emphasis tone. Also, the critical recognition about reality was shown and formed 'the recovery of the vital force' through the opposing images of 'death' and 'life'.
In chapter IV, his poetry in the latter period is analyzed. During this period which is from the year of 1988 to the year of 1988 when he passed away, two volumes of anthology, which are 'The Hometown of the North'(1982) and 'Stone'(1984), and a poem sequence called '6·25' were published. In 'The Hometown of the North', the 'speaker-intention style', where an autobiographical speaker appears and talks about his emotion as a displaced person, mainly emerges. In 'Stone', even if the masculine speaker appears, 'topic-intention style' talking of the people storing away pains is often adopted.
Hence, the 'relatively close distance' and confessional tone was changing into the 'relatively distant distance' and the serene tone. In addition, the image of the 'hometown' aims at the recovery of the vital force through a 'motherhood', and the image of 'stone' aims at the eternal existence overcoming death.
In chapter V, the position of Bong-Geon Je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examined. In the world of poetry in 1950's, it was hard to find a poet like him who combined both modernism and lyricism, singing the hope of future with the clear awakening of reality. For about 40 years, he wrote various poems using warfare experiences, and adopted the topic of 'gender', which was excluded at that time. Furthermore, he should be highly evaluated as a poet who not only recreated active womanhood surpassing passive womanhood, but also pioneered long poetry.
Author(s)
金沅泰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60
Alternative Author(s)
Kim, Weon-Tae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尹石山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초기시
1. 서정적 화자의 희망과 좌절 7
2. 현실에 대한 비극적 인식 12
3. 자연과 문명의 대립 15
Ⅲ. 중기시
1. 허구적 화자의 생명회복의 지향 21
2. 다양한 실험에 나타난 극복의지 26
3. 생명과 죽음의 대립 32
Ⅳ. 후기시
1. 자전적 화자의 자기 정체성 회복 38
2. 아픔의 극복을 위한 내면화 43
3. 고향과 돌을 통한 생명력의 회복 48
Ⅴ. 전봉건의 시사적 위치
1. 서정과 모더니즘의 융합 53
2. 시의 화제 영역 확대와 장시 56
Ⅵ. 결론 59
참고문헌 62
ABSTRACT
부록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金沅泰. (2008). 全鳳健 詩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