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4·3사건 초기 경비대와 무장대 협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Negotiations between the Constabulary and the Militant Group in Jeju at the Beginning of the 4·3 Uprising
Abstract
지금까지 4·3사건 초기 추진되었던 경비대와 무장대 간의 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금 널리 알려진 사실에 일부 오류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협상은 4월 28일이 아니라 4월 30일에 열렸다. 협상장소도 구억국민학교가 아니라 그보다 더 한라산 쪽 고지대에 있는 평범한 초가집이었다. 그리고 협상과 오라리 사건은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는 것이다. 협상의 추진 주체는 경비대를 중심으로 한 미군정 세력이었다. 협상은 진압군 측에서 제의했던 것이므로 엄밀한 의미로 말한다면 귀순 촉구협상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무장대가 항복하지 않는 한 협상은 결렬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진 것이었다.
남로당 제주도위원회가 단선·단정거부 등을 주장하며 1948년 4월 3일 봉기를 함으로써 본격화된 무장 대립은 5·10 선거일이 다가오면서 치열한 대립을 더해가고 있었다. 이미 많은 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미군정은 1948년 4월 17일 초기의 치안상황 판단을 변경하여 경비대 제9연대에게 진압명령을 내렸다. 1948년 4월 20일 경비대 제5연대의 1개 대대가 부산에서 제주도에 들어왔고 본격적인 강경진압이 전개되었다. 특히 5월 1일 메이데이를 계기로 강화될 수 있는 무장대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4월 27일부터 29일까지 강도 높은 진압작전을 펼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협상은 벌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협상에 참가하거나 관계된 세력들은 각각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미군정과 무장대는 사실상 평화적인 해결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다만 김익렬 중령은 평화롭게 사건을 해결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기고문』과 『유고록』 모두에서 그는 사건의 해결방법에서 유연한 태도를 일부 견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미군정에게는 효율적이지 않고 무능한 지휘자로 보였다. 김익렬에게는 경비대원 모집광고에서 보이는 '민족주의'적 사고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미군정의 강경진압 정책과 대립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김익렬은 5월 6일 제9연대를 떠나 사령부로 전임 명령을 받음으로써 제주도를 떠나게 된다. 그리고 3개월 후 국제신문을 통해 협상의 내용을 상세하게 밝혔던 것이다.
4·3사건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88년 이후이다. 20여년의 그리 길지 않은 기간이지만 4·3사건의 전개과정에 대하여 대부분은 밝혀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의 주제인 경비대와 무장대의 협상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밝혀진 것은 많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 판단의 가장 큰 이유는 4·3사건이 좌우익을 막론하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던 사건이었고 미군정은 이미 남로당이 일으킨 봉기임을 알고 있던 상황에 굳이 방화사건을 조작하여야만 강경진압을 할 수 있었는가라는 의문이었다.
연구과정에서 확인한 것은 역설적으로 협상의 당사자가 분명하지 않은 회고록을 남겼고 이것이 널리 알려졌던 것에서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사료발굴과 철저한 사료비판의 부족에 그 원인이 있었던 것이다. 이미 4·3사건이 한창이던 1948년 8월에 『기고문』이 국제신문에 게재되었다. 그리고 이 기고에 대하여 잡지 ··신천지··가 인용함으로써 그 존재를 알리고 있다. 그리고 잡지의 글은 대부분의 4·3사건 관련 연구자료에 수록됨으로써 『기고문』을 발굴할 수 있는 토대는 충분하였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고문』은 1948년 ··신천지·· 8월호에 인용된 이후 다른 자료에서는 사료로써 활용된 것이 발견되지 않는다. 그런데 오히려 이처럼 전혀 사료로써 활용되지 않은 점이 연구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사료적 가치에 대한 평가 부분이다. 그러나 검토 결과는 이 『기고문』이 협상에 대해 상당히 많은 부분을 알려주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 결과에 대해서는 본문에서 설명한 바이다.
사료발굴이 철저하지 못했던 것은 사료비판에도 적용된다. 『유고록』은 상당히 많은 정보를 담고 있기는 하지만 또한 많은 부분에서 과장과 논리적 모순이 존재하는 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대부분의 연구는 '유일한 기록'이라는 설명으로 『유고록』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그 결과는 오라리 사건과의 연결이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귀결이었다. 이를 계기로 사료발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연구과정을 통해 필자는 협상과 관련하여 여전히 연구되어야 할 것들이 있음을 절감하고 있다. 여러 기록에서도 보이듯이 협상은 한번만 있었던 것이 아닐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구억국민학교에서도 또 다른 협상(또는 회의)이 있었을 가능성 또한 충분히 있다고 보인다. 구억리는 서부지역 무장대의 근거지인 '신평곶'과 경비대 제9연대의 병영이 있는 모슬포와 비슷한 거리에 있는 지역이다. 양쪽에서 걸어서 각각 1시간 내외에 도달할 수 있는 거리이다. 따라서 제9연대의 남로당계 군인이 있어서 무장대와 연락 또는 회합이 필요할 경우 만날 수 있는 지역으로 충분한 입지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개연성은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근거로 충분하다고 할 것이다.
The Jeju Committee of South Korean Labor Party launched the 4·3 Uprising in 1948, opposing separated elections and separated government. The armed conflict which began with the uprising got fiercer as 5·10 election was approaching. Lots of casualties occurred during the uprising.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changed its early decision on Korea's security on April 17th, 1948, and ordered the ninth Constabulary regiment to quell the uprising. On April 20th, 1948, one battalion of the fifth Constabulary regiment arrived in Jeju province from Busan and began to aggressively suppress the uprising. Especially from April 27th to 29th, the Constabulary stepped up its suppression to undermine the militant group that might make use of the May Day to expand its power. Under such circumstances, negotiations were held between the Constabulary and the militant group to resolve the uprising peacefully.
Kim, Ik-yeol, the commander of the ninth Constabulary regiment which stationed in Jeju during the 4·3 Uprising, left two literary works on the incident. The first one is 『Yugorok』(= memoirs) he wrote in 1969 after retirement and the other is 『Gigomun』(= a contribution), an article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Times in June 1948 during the uprising. There exists a cruc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According to research result so far, a negotiation was held on April 28th, 1948 to resolve the uprising peacefully, but broke down due to Orari arson incident. The negoti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lmost the only opportunity to resolve the uprising peacefully. This view confirms to the content of Kim's 『Yugorok』.
『Gigomun』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Times, however, says a different story. According to the article, there was another round of negotiation on April 30th, 1948. This indicates that the collapse of the negotiations was not directly linked to Orari arson incident. So far, too much meaning has been imposed on Orari arson incident. There is a presumption that the police deliberately plotted the incident to break off the so-called '4·28 negotiation.' An examination into the development of the 4·3 Uprising, however, found that the inciden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incidents committed in other villages at the time.
So far, the content of Kim's 『Yugorok』 has been accepted as true. The researcher believes this is because of a lack of discovery and criticism of historical materials on the uprising. In spite of lots of its contradicting statements, 『Yugorok』, a book written two decades after the uprising, is being cited a lot with little doubt about its authenticity.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present a new argument on the negotiation between the Constabulary and the armed militant group by analyzing 『Gigomun』, an article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Times, which a negotiation participant contributed. The negotiation was supposed to break down. The militant group launched the uprising, opposing separate elections and separate government. They could not agree to separate elections.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could not just sit idle and watch the militant group's resistance against 5·10 separate elections, because it wanted to justify its presence in Korea through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5·10 separate elections. Under such circumstances, a peaceful resolution was virtually impossible.
Author(s)
김용철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55
Alternative Author(s)
Kim, Yong-Cheo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사학과
Advisor
권인혁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자료와 연구내용 = 5
Ⅱ. 경비대와 무장대 협상 추진과정 = 7
1. 국내외 정치정세 = 7
2. 협상의 추진배경 = 10
3. 협상의 참가목적 = 14
1) 김익렬의 의도 = 14
2) 무장대의 의도 = 15
3) 미군정의 의도 = 17
Ⅲ. 4·28 협상 검토 = 19
1. 협상의 개최와 경비대의 강경진압 작전 = 19
2. 협상일과 협상장소 = 24
3. 협상의 내용과 결과 = 33
Ⅳ. 협상과 오라리 사건 = 38
1. 협상과 오라리 사건의 관계 = 38
2. 새로운 해석의 제기 -「기고문」을 토대로 = 44
Ⅴ. 맺음말 = 50
참고문헌 = 53
부록 김익렬의『국제신문』기고문 =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용철. (2009). 제주4·3사건 초기 경비대와 무장대 협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istor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