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노인에서 고관절 주위 골절로 인한 활동성 장애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n Mortality due to Activity Disturbance after Hip Fracture in the Elderly in Jeju-Do
Abstract
본 연구에서 제주도 노인에서 고관절 주위 골절로 인한 활동성 장애와 삶의 질(QOL)이 사망률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골절 후에 일상생활동작(ADL)의 현저한 저하로 인하여 사망률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았다. 고관절 골절 후 활동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시킴으로써 일상생활동작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가족과 사회의 간병 부담을 줄이고 삶의 질 향상과 함께 궁극적으로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mortality due to the activity disturbance after hip fracture in the elderly in Jeju-do. We enrolled 254 cases among 318 patients older than 50 years of age with a hip fracture during two years period(2003-2004). W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daily living(ADL) by using modified Barthel index(MBI score), quality of life, and mortality during follow up 3~4 years period until December 31, 2007.
The crude incidences of hip fracture the age group≥50 years were 141(11.2/10,000) in 2003, 177(13.6/10,000) in 2004, and 249(17.0/10,000), 69(6.3/10,000) for women and men, respectively. The mean age of them was 78.3 years. Survivor was in the 146(57.5%), death was in the 108(42.5%) among 254 cases period for follow up. The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3 months(0.89), 1 year(0.82), 2 years(0.73), 4 years(0.55) respectively. In the death group,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at the time of post-fracture 6 and 12 months, and the sex and aged adjusted odds ratio was 2. 948(1.762~4.914), and 2.988(1.757~5.081) respectively. ADL(MBI score) of the death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 of survivor group(p<0.05); MBI scores were 26.85, 29.72, 31.63 in the death, 46.77, 59.11, 67.05 in the survivor, at post-fracture 3, 6, 12 months. The death group had significantly bad quality of life, needed more help and had fewer social contacts(visits to friends and participate to outdoor hobbies) than the survivor group at post-fracture 3, 6, 12 months(p<0.05).
We evaluated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y using the Cox regression analysis; dependent variables were period for follow up and death at post-fractur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DL(MBI scores) at post-fracture 3, 6, 12 months, and adjusted variables were sex, age, family, marriage, health, economics status and pre-fracture MBI score. In this analysis, MBI scores were OR 0.956(0.942~0.969), OR 0.959(0.949~0.970), OR 0.969(0.960~0.978) at 3, 6, 12 months; the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 among low MBI scores. The decrease of ADL(MBI scor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mortality after hip fracture in the patients older than 50 years of age in our study. Developing and applying a variety of activity programs that increase activity in post-fracture may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duce burden of family and society, be use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ultimately lower the mortality.
Author(s)
김호봉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81
Alternative Author(s)
Kim, Ho-B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Advisor
홍성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3
1. 연구대상 = 3
2. 연구방법 = 3
3. 연구목적 = 5
4.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 5
Ⅲ. 연구 결과 = 6
1. 고관절 주위 골절의 발생률 및 사망률 = 6
1) 고관절 주위 골절의 년도별 발생률 = 6
2) 고관절 주위 골절의 성별 및 연령별 발생률 = 7
3) 고관절 주위 골절의 사망률 = 8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9
1) 성별 및 연령별 분포 = 9
2) 지역별 분포 = 10
3) 계절별 분포 = 11
4) 고관절 주위 골절의 원인 = 12
5) 의료보장 유형별 분포 = 13
6) 학력별 분포 = 14
7) 결혼·이혼·사별 상태 = 15
8) 가족관계 분포 = 16
9) 경제수준 = 17
10) 건강수준 = 18
11) 동반 질병 유무 = 19
3. 연구 대상자의 활동성, 일상생활동작 및 삶의 질의 특성 = 20
1) 활동성 장애 분류 = 20
2) 정신상태 분류 = 21
3) 주거공간 형태 = 22
4) 실외 보행 보조도구 유형 = 23
5) 실내 보행 보조도구 유형 = 24
6) 삶의 질의 분류 = 25
7) 일상생활동작(MBI 점수)의 연령별 분류 = 28
8) 일상생활동작(MBI 점수)의 단계별 분류 = 29
4. 고관절 주위 골절이 사망에 미치는 제 요인들 = 30
1) 사회 경제적 수준이 고관절 골절 사망에 미치는 영향 = 30
2) 활동성, 정신상태, 일상생활동작 및 삶의 질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 = 32
(1) 활동성 장애 정도 = 32
(2) 정신상태 정도 = 33
(3) 실외 및 실내 보행 보조도구의 사용 정도 = 34
(4) 일상생활동작(ADL)의 정도 = 36
(5) 삶의 질(QOL)의 정도 = 40
3) 동반 질병 유무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 = 43
5. 2003~2007년간 고관절 골절 환자의 누적 생존율 = 45
6. 고관절 골절 후 일상생활동작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 50
Ⅳ. 고찰 = 53
Ⅴ. 결론 = 57
Ⅵ. 참고문헌 = 58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호봉. (2009). 제주도 노인에서 고관절 주위 골절로 인한 활동성 장애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edicin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