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농촌사회 상례문화의 특징과 변화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funeral-rite's culture in Je-Ju rural society
Abstract
제주도에 유교 상례문화가 들어온 것은 조선왕조 초기 15세기부터이지만, 하층 계층에게까지 전파되어 정착된 것은 조선왕조 후기 18세기 또는 19세기부터라고 하겠다. 유교 문화는 제주도의 환경과 만나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무속신앙에 뿌리를 둔 기존의 토착문화를 대체하여 새로운 지배문화로 자리를 잡았다. 그 과정에서 제주도 특유의 역사와 환경과 만나면서 그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일정한 변화를 겪게 되었으며, 상례문화 역시 부분적으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주도 상례에 다양한 민간신앙적인 요소들이 남아 있으며, 일포가 중요한 날이며, 무속의례가 행해지고 있는 것, 일접과 개별부조 등은 대표적인 현상이라고 하겠다.
전통사회에서 관혼상제의 전통 중에서 상례는 다른 의례보다도 반드시 절차와 관습을 지켜야 하는 의례로 전승되어 왔다. 상례는 가족 및 친족집단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유교 사상에 기반을 둔 사회질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의례였다. 하지만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유교 상례가 가져왔던 친족공동체 유지, 마을 공동체 규범으로서 해왔던 역할과 기능들이 축소되고 있다. 가장 큰 변화는 탈상 시기의 변화로서 삼년상은 이미 사라졌으며, 일년상, 백일, 49재 등으로 단축되고 있다. 이러한 탈상 시기의 단축은 조상숭배 사상의 약화에 따른 것이다. 반면에 유교 상례의 절차와 관습을 준수하는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도시에서의 3일장 문화와는 달리 농촌에서는 아직도 전통적인 관습과 규범에 따른 상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제주도 농촌사회에서의 상례문화의 특성과 함께 변화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교 의례와 함께 무속의례, 민간신앙에 근거를 둔 의례들이 혼합되어 있다. 이 중에서 민간의 속신으로 전승되어 온 것들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지만 귀양풀이와 같은 무속의례는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조선시대에 유교 상례가 들어왔지만 기존의 뿌리 깊은 무속의례가 민간에 전승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형식적인 절차는 유교 의례를 따르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민간 신앙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유교의 형식(의례절차)과 무속의 내용(영혼과 저승세계에 대한 사유체계)이 만나서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농촌사회 상례문화를 변화시키고 있는 요인으로 행정당국의 정책(공동묘지 도입, 가정의례 간소화)과 농촌사회 내부의 친족 및 가족공동체의 약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공동묘지의 도입은 풍수사상의 약화, 의례공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가정의례 간소화 정책의 영향으로 탈상시기가 단축되고 있으며 화장의 증가 역시 행정 정책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유교 상례가 전통사회에서 수행해 왔던 농촌공동체 통합, 친족구조의 재생산과 같은 기능이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의 축소와 함께 약화되고 있는 조상숭배사상은 현대의 상례를 시신처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죽은 자를 위한 의례 보다는 살아있는 상제들을 위한 기복 의례의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
넷째, 농촌사회 상례문화에서 축소되고 있는 현상들은 장례 주관자의 소멸, 탈상 기일의 단축, 풍수사상의 약화 등이다. 장의사의 농촌 침투, 공동묘지의 확산 등은 전통적인 상례문화가 급변하고 있다. 조상숭배 사상, 풍수사상의 약화도 상례문화의 변천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영혼'과 '조상신'에 대한 종교적인 신념이 약화되고, 특히 조상신의 보살핌이라는 신앙보다는 현대 과학문명에 따른 합리적인 사고방식이 지배적인 인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상례가 수행해왔던 농촌사회의 규범으로서의 역할과 기능도 사라지고 있다.
다섯째, 지속되고 있는 현상들은 의례공간의 변화, 택일 전통, 화장, 부조와 답례품 등이다. 집에서 치르던 장례가 공동묘지에 설치된 장례시설로 옮겨지고 있다. 공동묘지가 없는 마을에서는 제주시의 병원이나, 인근의 장례식장을 이용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의례공간의 변화는 집에 대한 전통적인 관념의 변화를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편리한 시설을 이용하는 것과 함께 집 안에서 장례를 치르지 않음으로써 죽음이 가져다 주는 '부정'이라는 불확실한 상황을 극복하자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위와 같은 내용을 통하여 제주도 농촌사회에서의 상례문화가 어떻게 변천하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 제주도의 상례문화는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1960년대 이후 국가권력은 상례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하지만 농촌사회의 보수성은 그러한 변화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전통적인 상례와 상례문화가 지속되어 왔다. 행정 당국에 반대하여 전통적인 관습과 문화를 지켜내는 현상도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2000년대에 들어와서 상례문화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농촌사회 내부에서부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변화는 농촌공동체의 해체를 보여주는 하나의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농촌공동체를 유지하는 세대의 교체, 전통적인 가치관과 관습의 변화, 기존의 전통의 약화, 농촌문화의 도시화 경향 등 1990년대 이전의 농촌사회와 2000년대의 농촌사회는 급속하게 달라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더욱 더 가속화될 것이다.
농촌사회 상례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현대 제주도 농촌문화를 이해하는 유용한 관점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상례와 상례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를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다. 상례는 죽음의 문제를 다루는 의례이기 때문에 영혼관과 죽음관, 타계관의 문제가 중요하다. 제주도 문화에서 이러한 관념들이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구조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되고 있는 전통의례에 대한 이론적 해석이 필요하다. 유교 의례와 무속의례의 상호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 역시 보완되어야 할 점이며, 특수한 장법에 대한 사례연구, 풍수 사상의 변화 과정 역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상례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제례에 대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제주도 농촌사회의 상례문화와 농촌문화를 이해하는데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Funeral-rite includes socially, religiously important meanings and has practiced diversely in modern society. A rural society has inherited in traditional funeral-rite, while a city has practiced funeral ceremony using a funeral company after 1970s. The religious and social functions of traditional funeral-rite have already disappeared in the city. As people use professional funeral-system that is not the same as rural community's funeral-rite to work with the members of community, the forms and meanings of funeral-rite have been changed. Also, funeral-rite in rural society has forfeited the function to integrate a community. The funeral-rite in traditional society has performed as the role of norm to keep a kinship-community but this has been reduced in modern rural society.
The idea of ancestor-worship has been weakened. Also, the maintenance of the kinship-community and the order of the reestablishment in which traditional funeral- rite play a role have been abated. The phenomenon of deconstructing a community, which modern rural society has gone through makes the integrative function which traditional funeral- rite has acted weak in the community. The cultural change of the rural community results from the phenomenon of young -generation moving from rural into city, the debilitation of traditional values, the changes of custom which keeps the unity of rural community and the penetration of the rural community by the urban-culture.
This article has examined how funeral-rite's culture change and the social meaning of this change in the procession to destruct modern rural community. Funeral-rite's culture in Je-Ju has changed rapidly in 2000s. The government's power strived to alter funeral-rite's culture after 1960s but the conservativeness of the rural society did not accept the change. Even though the traditional funeral-rite and its culture had maintained, it has been transformed fast in 2000s. The change starts from inside funeral-rite culture by outside influences. A shift in generation to keep a rural community,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values and norm, the decline of existed tradition and the trend of urbanization in a rural culture have renovated briskly the rural society in 2000s. The aspects of these changes have affected largely funeral-rite's culture. The summary of this is as follows.
First, funeral-rite's culture has mingled Confucian ceremony with shamanistic ceremony. Confucian culture has transmitted in traditional society. After that it encountered with the deep-rooted shamanistic ceremony in Je-Ju. As a result, Confucian culture coexists with shamanistic ceremony. Th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funeral-rite in Je-Ju is the coexistence of Confucian ceremony and shamanistic ceremony. The formal procedure of funeral-rites culture follows Confucian ceremony but folk beliefs are working in the contents. Confucian form (the procedure of ceremony) and shamanistic contents (the thoughts of the soul and another world) complements each other.
Second, the functions of funeral -rite such as the integration of the rural community and the reproduction of kinship structure have disappeared in the traditional society. As a result, the role and function of funeral-rite that performs as a rural community's norm has been diminished.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in the traditional society participated in funeral-rite and offered their labors to the community. However, the functions of funeral-rite in modern society have been decreased taking over it to a funeral company. Funeral-rite transforms from community ceremony to family ceremony.
Third, ancestor-worship religion that focuses on ancestors' cares has been weakened. Instead of this rational thought occupies in a main stream by means of the modern scientific civilization. As ancestor-worship thought has weakened, funeral-rite has mainly practiced such as the ceremony for handling corpse and for the remnant people. Also, the term of funeral-rite is reduced and cremation is increasing by family rite-simplification policy that the government makes. The period of funeral-rite has been reduced from Three-year funeral to 100-day funeral, 49-day expiration of the period of mourning.
Fourth, the acceptance of a public cemetery makes traditional theory of configuration of the ground depreciatory. Custom to find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diminish and it is established for people to use a public cemetery. Also, the place of funeral ceremony has changed from house into the funeral system of the cemetery. The communities that have no public cemetery make the phenomenon of using a hospital or near funeral ceremony places increasing. The phenomena of using a public cemetery and preferring the convenient funeral-rite transforms existed funeral-rite in which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participated into family -centered funeral-rit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funeral-rite's culture in rural society we can have the valuable views to perceive modern Je-Ju rural culture.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 funeral-rite is the foundation of keeping basic custom and norm in rural community. However, the foundation itself is undermined. As a result, the interaction of relationship within the inner-community has been transformed dramatically. To practice funeral-rite, the custom to offer labors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ommunity's members has declined and funeral culture has changed into funeral-rite to buy labors for the ceremony. The custom that gives rice-cake and food as a contribution disappeared. Instead of this now people give money for a contribution. According to this, people assure that the principle of the exchange is working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interaction among them.
This article emphasizes on the various phenomena which construct funeral rite' culture and explains how it have changed. Also, this study summarizes the meaning of the changes through the concrete case studies. The issues with which I did not deal in this article are the view of the soul and death, the thought of another world, the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rituals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Confucianism ritual and shamanism ritual. The funeral rite in the city has forfeited traditional form and transformed it into modern form. However, funeral-rite in a rural society is still working for important custom and people consider it of meaningful ceremony in kinship community and community. Also, ancestor-worship thought still has remained.
The maintenance and change of tradition are co-existed. Through the case studies this research will help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rural society's culture in Je-Ju.
Author(s)
정희종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52
Alternative Author(s)
Jung, Hee-J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대상과 방법 6
1) 연구대상 6
2) 연구방법 7

II. 제주도 농촌사회 상례의 특성과 사례 11
1. 제주도 상례의 특성 11
2. 제주도 농촌사회 상례 사례 19
1) 표선리 금촌칠씨 사례 19
2) 표선리 박원종씨 사례 32
3) 사례 분석 36
3. 상례에 포함된 무속의례 38
1) 무속의례의 종류 40
2) 귀양풀이 사례 44

III. 제주도 농촌사회 상례문화 변화 양상 54
1. 상례문화의 특성과 변화 54
1) 역할분담과 노동조직의 관계 54
2) 장례비용 및 부조와 문상 61
3) 풍수 사상과 장법 65
2. 농촌사회 상례문화 변화 사례 67
1) 하천리의 상례문화 변화 67
2) 성읍1리의 상례문화 변화 75
3. 변화 요인 82
1) 공동묘지의 도입 82
2) 행정 정책의 영향 84
3) 세대교체와 가족공동체의 약화 91

IV. 상례문화 변화의 의미 94
1. 약화되고 있는 현상과 그 의미 94
1) 장례 주관자의 소멸 94
2) 탈상 기일의 단축 96
3) 공동체 규범의 약화 97
4) 풍수사상의 약화 98
5) 장례 놀이, 전통 음식의 소멸 99
2. 지속되고 있는 현상과 그 의미 100
1) 의례 공간의 변화 100
2) 택일 전통의 지속 102
3) 화장의 증가 103
4) 부조와 답례품의 지속 104

IV. 결론 106

참고문헌 109

Abstract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희종. (2009). 제주도 농촌사회 상례문화의 특징과 변화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Postgraduate Program in Korea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