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사신설화의 특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Traits of Snake Tales in Jeju-do : Comparison with Snake Tales in Mainland
Abstract
본고는 제주도 蛇神說話의 樣相과 그 意味를 검토해 보고, 이를 本土와 비교하여 특성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의 蛇神說話의 樣相과 意味를 '蛇神이 人間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 '蛇神과 人間이 對決하는 이야기', '人間이 蛇神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런 분류를 통하여 제주의 蛇神說話의 면모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었다. 아울러 現代 小說文學에서의 受容 樣相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의 형의 '蛇神이 人間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 설화에서는 蛇神이 재화, 부귀와 직접 관련된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뱀은 조상신이고, 豊饒의 신앙적 대상임을 알 수 있다. 본토의 경우에도 뱀은 人間에게 복을 주는 존재임을 알 수 있지만, 본토에는 유사한 설화가 거의 전하고 있지 않다. 濟州島의 蛇神說話만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본토의 경우 논농사 지역으로 물을 가져다주는 龍이 뱀을 代置하여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제주는 논농사를 짓지 않고 海洋 작업을 위주로 하는 곳이므로 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蛇神과 人間이 對決하는 이야기'에서는 蛇神에의 忌避와 崇拜의 兩面을 동시에 나타내면서, '蛇神이 人間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에서 보이는 蛇神에 대한 절대적 崇拜에서 對決로까지 나아가고 있다. 또한 중앙에서 내려온 관원들은 표면상으로는 중앙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면적으로는 이런 설화들이 중앙의 지방에 대한 완전한 지배라는 儒學的 이데올로기에 대립되는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제주의 전통 사회가 중앙과는 다른 나름대로의 체계로 움직이고 있어서 儒敎的 질서로 편입할 수 없는 장애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신당 철폐는 제주의 전통적인 祭祀인 漢拏山祭의 儒敎式으로의 변질과 風雲雷雨祭의 혁파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신당을 비롯한 제주 전통 제의의 혁파는 중앙 지배 질서의 강화를 위해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설화에 등장하는 허좌수와 영천 이목사로 대표되는 지배 집단은 堂信仰을 중심으로 하는 제주의 질서 체계를 중앙 집권의 장애 요인으로 보고 이를 파괴하려는 중앙 지배 권력으로 파악된다. 이런 모습은 본토의 蛇神說話에서도 비슷한 양상과 구조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제주의 蛇神說話에는 본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人間의 도움으로 蛇神이 승천하는 變身譚이 드러나고 있지 않으며, 본토에서 보이는 이시미, 용 등과 같이 蛇神의 다양한 형태도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것은 제주에는 남아 있는 蛇神說話의 흔적이 본토에는 희미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또한 제주의 蛇神說話에는 많이 남아 있는 '광정당과 이형상 목사'와 같은 설화가 본토에는 남아 있지 않은 것은 이 유형이 후대에 내려오면서 民譚化되었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蛇神說話의 소재가 현대문학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재홍의 , 玄吉彦의 , , 玄基榮의 를 통해 검토하였다. 이재홍의 는 고전적 소재가 완전히 현대적으로 융화되어 버리게 하는 방법을 취하면서, 설화가 소설의 揷話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 설화를 바탕으로 여드렛당을 모시지 않으면 안되는 숙명을 다루고 있다. 고향과 토속, 뱀의 전설에 얽혀진 뱀의 저주의 숙명에서 빠져나오려는 고통 끝에 다시 그 세계로 회귀해 가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와 는 김녕뱀굴과 廣靜堂과 관련된 전설의 의미를 충실히 수용하였다. 옛날 설화의 세계로 거슬러 올라가서 시대와 무대를 옛날 그대로 두고 再構하는 방법으로, 설화가 소설전체의 구조로서 참여하는 '구조로서의 설화'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 특히, 玄吉彦의 작품들은 시대적·사회적 상황과 관련하여 변용하고 재창조함으로써 제주설화의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玄基榮의 를 통해서는 업신으로 崇拜의 대상이었던 蛇神에 대한 인간 인식의 변화를 읽을 수 있다.
蛇神說話의 연구는 지렁이, 지네, 거북 등을 포괄할 수 있는 龍蛇說話와의 관계 속에서 더욱 의미가 견고해질 것이며, 인류학·비교문학 등 다양한 인접학문의 도움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대·심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중국의 海南島, 일본의 오키나와를 비롯한 여러 지역, 동남아시아, 동북아시아 지역 등과의 비교를 필수적으로 행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 추가로 자료 수집 및 보완이 계속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추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I will check the aspects of snaketales in Jeju-do and extract the features of them, compared with those of mainland. For this, I am considering the aspects and meanings of snake tales in Jeju-do as follows; "the story that snake is superior to human beings", "the story that snake and human beings are fighting each other", "the story that human beings are superior to snake". I treated the various aspects of snake tales in Jeju-do through this classification. Also, I looked this story as the possibility among current novel. The main contexts that is being discussed are as follows.
At first, snake is the object of religion that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wealth and honor in the tales of "the story that snake is superior to human beings" as in Jeju-do. The snake is an ancestral god, and the religious object of richness. The snake in mainland is the fortunate being for human brings, but there is no any tale similar to tales in Jeju-do. So this is the unique feature of tales in Jeju-do. In mainland, the dragon bringing water into paddy fields area replaced the snake. On the contrary, in Jeju-do, people didn't do rice-farming but work at the sea.
Secondly, in "the story that snake and human beings are fighting each other", the hatred and worship toward the snake coexist. And this leads to from the absolute worship to the confrontation against snake in "the story that snake is superior to human beings". Also, in this story, government officials are seemingly trying to reinforce the ruling ideology of the government. But, on the other hand, these tales show the adversarial nature against the confucian ideology that expresses the government's complete dominance over the district. We know that the traditional society of Jeju-do couldn't be assigned to the confucian system because Jeju-do had an independent system different from the government. In this context, abolishing traditional and religious temples degenerate the traditional Mt. Hala ritual of Jeju-do into the confucian ritual, and innovate "Windy rain and thunderstorm ritual". The innovation of traditional rituals in Jeju-do, including the innovation of religious temples, was made for the reinforcement of government. So, the dominant group represented by Huh Jwasoo, Yeongcheon Lee moksa in these tales considered the temples in Jeju-do as the obstacles for the government and was trying to destroy them. This is similar to the snake tales in mainland.
Third, there is no transformation-story that snake ascends to heaven with the help of human beings, which is common in mainland, including the story of dragon as the various kinds of aspects for snake, in these tales. This prove that the trace of snake tales remaining in Jeju-do can't be found in the mainland. Also, the tales such as "Khwangjeongdang and Lee Hyung-sang moksa" that can be easily found in the tales in Jeju-do can't be found in the mainland, which is the evidence that this story was turned into the tales in later generations.
Fourthly, I studied how the materials of snake tales can appear in modern literature in by Lee Jae-hong, by, Hyun Gil-un, , by Hyun Ki-young. In by Lee Jae-hong, tales served as the illustration in novels, and traditional materials were completely fused. Through tale, the fate that had to take Yeodretdang appears. In this tale, the fate entangled with the hometown, the folk, and the legend of snake shows the pattern of repetition and going back. and accept truly the meaning of the legend related with Kimnyoung snake cave and Khwangjeongdang. And this serves as 'tale as a structure' that tale is involved in the whole novel as a structure, in a way that age and stage are restructured tracing back to the world of tale. Especially, Hyun Gil-un's works serve as the modern narrator for the tales in Jeju-do recreating and changing them related with the social situations at the time. Through by Hyun Ki-young awareness of the snake that was considered as a guardian for worship is changed.
The research of snake tale can be meaningfully fortified in a relationship with dragon-snake tales including earth worms, centipedes, turtles, and intensifies the realm of research with the help of various neighboring literatures like anthropology, comparative literature. Also, the comparison with the literature of Hainan island in China, Okinawa in Japan, South Asia, and Northern Asia will be necessarily needed. And additional data-gathering and data-supplement have to go together with this work. I am going to hand additional discussion about this down the later stage.
Author(s)
강철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04
Alternative Author(s)
Kang, Cheo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허춘
Table Of Contents
Ⅰ. 序論 1
1. 硏究의 目的 1
2. 硏究史 檢討 3
3. 硏究 資料와 硏究 方法 6
Ⅱ. 濟州 蛇神說話의 傳承 樣相과 意味 9
1. 蛇神이 人間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 10
1) 濟州의 境遇 10
2) 本土의 境遇 17
3) 意味 21
2. 蛇神과 人間이 對決하는 이야기 21
1) 濟州의 境遇 22
2) 本土의 境遇 32
3) 意味 37
3. 人間이 蛇神보다 優位에 있는 이야기 37
1) 濟州의 境遇 38
2) 本土의 境遇 41
3) 意味 43
Ⅲ. 蛇神說話의 文學的 受容의 樣相과 意味 45
1. 文學的 受容의 樣相 45
1) 蛇神의 優位 47
2) 蛇神과 人間의 對決 51
3) 人間의 優位 57
2. 文學的 受容의 意味 59
Ⅳ. 結論 60
參考文獻 62
Abstract 66
附錄 全國의 蛇神說話 資料 槪要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철. (2010). 제주도 사신설화의 특성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