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산림식생에서 착생식물의 종다양성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pecies Richness of Epiphyte on Forest Vegetation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의 난대상록수림지역과 온대낙엽활엽수림지역에서 식생대에 따라 분포하는 유관속착생식물의 특성과 숙주목의 종 특성 등에 따른 관계를 조사하여 착생식물의 종 다양성과 종 조성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구실잣밤나무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후박나무 (Machilus thunbergii), 참가시나무 (Quercus salicina),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 등의 숙주목 51종 531개체에 부착하여 수목 위에서 자라는 유관속착생식물 20종을 확인하였다. 제주도에서 수목 위에 착생하는 식물은 처녀이끼과 (Hymenophyllaceae), 넉줄고사리과 (Davalliaceae),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일엽아재비과(Vittariaceae), 고란초과(Polypodiaceae) 등 양치류 5과 15종 및 난과(Orchidaceae)식물 5종 등 모두 6과 20종이었다. 유관속착생식물 분포는 식생대 및 지역에 따라 따라 7개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종 조성 차이는 기온조건, 강수량조건 등 환경요인 및 식생대와 일치하는 점이 많으나 종군의 상세한 생태적 특성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았다.
유관속착생식물을 출현빈도 (%)와 평균피도 (㎡)에 따라서 작성된 종 조성표에 의하여 비교한 결과 낙엽성 곶자왈, 섶섬, 상록성 곶자왈, 비자림, 난대상록활엽수림 지역 등이 유사도가 높고, 낙엽성 곶자왈, 섶섬, 상록성 곶자왈, 비자림, 난대상록활엽수림지역과 온대낙엽활엽수림과 구상나무림지역은 공통종군이 없어 이질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난대상록활엽수림 지역이 유관속착생식물 종수가 12종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착생식물 다양성은 비자림이 2.89로 가장 높고 평균은 1.44이며, 유관속착생식물도 식생대와 비슷하게 해발 등 선호하는 조건에 따라 착생식물 각각 종 고유의 분포범위를 가지고 있었다.
숙주목에 부착하는 착생식물 종수와 숙주목의 DBH에는 오직 구실잣밤나무만 미약하지만 정(+)의 상관이 확인되었고, 착생다양성의 수종 간 차이는 수종이 가진 수피성질의 차이에 근거한다고 판단되었다. 착생하기 어려운 수종은 감탕나무(Ilex integra), 광나무 (Cleyera japonica), 비쭈기나무 (Eurya japonica), 사스레피나무(Meliosma oldhamii),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목련(Magnolia kobus), 솔비나무(Fraxinus sieboldiana)이고, 착생이 쉬운 수종은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팽나무(Celtis sinensis), 졸참나무(Quercus serrata),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서어나무 류(Carpinus spp.) 등으로 확인되었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유관속착생식물 중 난과에 속하는 착생식물은 한라산 북쪽사면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남쪽사면에서도 점차 분포지역이나 분포하는 종 및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북쪽사면에서 비자림을 제외하고 착생하는 난과 식물이 전혀 조사되지 않은 원인은 산림훼손에 의한 착생식물 종 공급원 자체가 소실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정밀한 조사와 자생지 복원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species richness of the vascular epiphytes were investigated in the ever-green broad leaved forests and deciduous forests of Mt. Halla in Jeju. In order to do so, we have examined into species richness of the vascular epiphytes, relations between diameter breast height (DBH) of each host tree and species composition in accordance to field survey regions.
The study area includes the altitude between 200m to 1,600m in Jeju. The data of host tree(species name, size) and epiphytes(species name, frequence, coverage) were recorded in sampling sites. The species composition of epiptytes was compared among seven areas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s. The relationships of host tree and epiphytes species richness were analyzed using Excel and SPSS program.
As a results, the 20 species of the vascular epiphytes were found from the 51 species of the host tree including 70 Castanopsis sieboldii, 30 Quercus acuta, 10 Machilus thunbergii, 11 Quercus salicina, 140 Quercus serrata, 39 Quercus mongolica, 22 Carpinus laxiflora and 209 others. The vascular epiphytes on the host trees consisted of the six families, such as Hymenophyllaceae, Davalliaceae, Aspleniaceae, Vittariaceae, Polypodiaceae, Orchidaceae. The dominant species of the epiphytes in Jeju was pteridophytes and orchids.
The epiphytes were classified into 7 area group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e(%) and mean coverage(㎡) of each species. We have witnessed coincidence in difference of species composition from 7 survey regions in accordance with climatic condition, rainfall condition as well as envirionmental factor. When it comes to specific ecological traits on species group, we cannot guarantee that. Five area, such as seopseom, evergreen broad-leaved gotjawal, deciduous broad-leaved gotjawal, nutmeg tree forest an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had similar species composition each other with the exception of deciduous forests and korean fir forest. The mean of epiphyte richness were appeared 1.44. The ordinations of epiphytes were obtained by altitude change. The diameter breast height (DBH) of host tree had a positive and the altitude had a negative effect on epiphyte richness.
It is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 of epiphytic diversity on the host trees stems from characteristics of the host tree bark. Species that prevent epiphytes from growing on the host tree is the following- Irex integra, Cleyera japonica, Eurya japonica, Meliosma oldhamii, Daphniphyllum marcropodum, Magnolia kobus, Fraxinus sieboldiana. The other species on which epiphytes can easily grow include the following-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Quercus acuta, Celtis sinensis, Quercus serrata, Quercus mongolica, Carpinus spp.
Author(s)
강영제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11
Alternative Author(s)
Kang, Young J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물학과
Advisor
김문홍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4
1. 조사지개요 4
1-1. 지형특성 9
1-2. 기후특성 9
2. 조사방법 11
2-1. 착생식물 11
2-2. 숙주목 11
2-3. 자료분석 12
Ⅲ. 결과 14
1. 착생식물 14
1-1. 현황 14
1-2. 종다양성 및 종조성 18
1-3. 상관분석 50
2. 숙주목 54
Ⅳ. 고찰 58
Ⅴ. 요약 65
Ⅵ. 인용문헌 67
Appendices 74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영제. (2010). 제주도 산림식생에서 착생식물의 종다양성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