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와산리 멩감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Meng-Gam-Je' at Wa-San-Ri of Jeju
Abstract
와산리의 멩감제는 제주도의 한 지역에 국한된 무속의례이지만 그것을 통하여 제주도 무속의 한 단면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 멩감제는 규모가 작은 의례이지만 그 속에는 무속이라는 종교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현상들이 복합적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와산리의 멩감제에 대한 조사 및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와산리의 멩감제는 마을신앙 전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매개는 심방의 존재이다. 와산리에는 본향당, 불도당, 산신당이라는 삼본향이 있었다. 특히 본향당은 베락장군, 베락·제를 신으로 모시고 있어서 제주도의 본향당신 체계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산간지역의 수렵과 목축을 관장했던 산신당도 별도로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와 생업의 변화에 따라 삼본향이 불도당으로 통합되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불도당 의례를 하면서 본향당신본풀이가 구연되고 있으며, 수렵문화를 상징하는 산신놀이가 불도당 의례에서도 행해지고 있다. 이는 수렵과 목축을 했던 와산리의 역사와 전통이 메인심방에 의해 현재에도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와산리에서 멩감제를 하고 있는 가정들도 조상대에 목축과 수렵을 했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내력은 의례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즉, 멩감제를 지속하고 전승되고 있는 배경에는 마을의 무속신앙 전통이 있으며, 생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의례로 멩감제가 존재해 온 것이라 하겠다.
둘째, 멩감본풀이의 기능과 성격을 의례와의 관련성 속에서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멩감본풀이는 두 가지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에 따라 멩감신의 성격과 역할이 달라지고 있는 것을 알았다. 멩감신의 역할은 액맥이과 풍요이다. 특히 와산리 멩감제에서 멩감신은 풍요를 가져다 주는 조상신과 관련이 있다. 이는 불교에서 멩감을 빌려왔지만, 무속에서 조상신과 연관을 지으면서 재창조된 것이다. 즉, 수렵과 목축을 해 왔던 조상신들에 대한 신앙이 백년해골이라는 조상숭배 전통과 관련을 맺으면서 멩감제라는 의례를 창조하고 전승시킨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액맥이를 위한 의례에서 차사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멩감본풀이가 기능하고 있으며, 멩감제와 같은 신년기원 의례에서는 풍요의 신으로 멩감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산신멩감이 있는 가정에서 멩감제를 하고 있는 현상은 멩감신이 조상신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셋째, 멩감제는 드르멩감과 문전제라는 두 가지 의례가 합쳐진 의례이다. 각각의 의례에서 청하는 신들이 다르며, 기원하는 방식도 다르다. 특히 문전제에서는 혈연 조상이 아닌 무속신앙 전통에 따른 조상신들을 청하며 이들을 위한 의례를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제주도만의 독특한 신앙 형태라 하겠으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고찰을 통하여 그 현상과 의의를 정리하였다. 향후 제주도내 다른 지역에서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가정에서의 신년 기원 의례에 대한 연구를 위한 기초 조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넷째, 와산리라는 마을에서 멩감제가 어떻게 지속 또는 중단되고 있는지를 면접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현대에 들어와서 무속신앙이 쇠퇴하고 있다고 여겨지지만 와산리에서는 전승이 지속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다. 이는 집안의 전통으로 멩감제가 자리를 잡기 때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앙민의 시각에서 멩감제의 위상을 구명하였다. 반면에 중단된 가구들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하여 종교관의 변화, 세대 전승의 단절, 생업의 변화에 따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 글은 와산리의 멩감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지만, 하나의 사례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마을 전체에서의 멩감제가 어떻게 존재하고 있으며 전승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또한 제주도 전체를 대상으로 멩감제라는 의례와 관련 신앙이 어떻게 존재하고 전승되고 있는지를 조사 연구하는 것도 향후의 과제라고 하겠다. 멩감제는 다양한 신년 무속의례 중의 한 부분이다. 또한 심방과 단골간의 깊은 관련성 속에서 치러지는 의례이기도 하다. 따라서 심방과 단골의 관련계도 연구 대상이다. 아울러 신앙민들의 종교 의식 및 신념 등도 연구 대상이다. 이 글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의 다양한 현장 조사와 사례 연구를 통하여 보완하기로 한다.
In Jeju's home, they are doing shamanism which are about praying for wealth in living and the security and peace in the family. Meng-Gam-Je is one of them.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situation of Meng-Gam-Je's tradition is getting stagnant, however, a part of Jeju's families are still doing the Meng-Gam-Je. This study shows the aspects and changes in Meng-Gam-Je which is transmitt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farming village called Wa-San-Ri. Also it interprets the meaning of Meng-Gam-Je.
It is hard to tell when Meng-Gam-Je started at Wa-San-Ri but it has come down by the house traditional religion. Simbang, who are Mudang and priest, supervise not only Meng-Gam-Je but also the village's Dang-Good. They have strong ties to the villagers for a long time. Nowadays Meng-Gam-Je is showing the changes in the aspect of tradition. First, the place where the ceremony takes was switched from the ground to an orchard's storehouse. Then it changed into the inside of a house. Second, a part of traditional food, which is hard to make, for offering disappears and substituted to a new thing. Third,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 at Meng-Gam-Je. However, the essential divinity, the process of the ceremony, and a mythological story, which are the basis of the ceremony, maintains the traditional form.
'Dru-meng-gam' and 'mun-jun-chul-gal-e' are the two kinds of the ceremonies and are performing one after another in Meng-Gam-Je at Wa-San-Ri. Two ceremonies are divided clearly by the God, a place, an offering, and the process so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existed independently before. Yet, it is added up together and it is recognized as Meng-Gam-Je by putting together the two ceremonies which are Simbang and the people who trust it.
'Dru-meng-gam' is doing the ceremony for the abundance in farming and stock raising to the Meng-Gam God, the God of agriculture, and the God of orchard. 'Mun-jun-chul-gal-e' is doing ceremony to the house Gods and the ancestor Gods (which are not blood related but prayed as a God in the base of shamanism.) People pray for the protection during whole year, keeping the prayers away from the misfortune, and the families' health.
This study views Meng-Gam-Je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nalyzed the meaning of the myths which are called in the ceremony's essential components, the religious service and the ceremony. Especially, Meng-Gam God's character could not clearly defined in the research in Jeju's belief in shamanism so we tried to examin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myth (Meng-gam-bon-pul-e) and the ceremony.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eng-gam God could be the hunting God, who formed in the time of hunting and pasturage from antiquity. Now, it was put in order that it is recognized as a guardian of occupation at present.
In addition, we researched about Mudang(Simbang) who controls the 'Meng-Gam-Je' and the believer by interviews about the understanding of the ceremony, the process of the tradition, and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ceremony. As a result, we were able to clarify that an occupation (farming and stockbreeding) and home belief in traditional shamanism are the important variable to continue Meng-Gam-Je. In other words, Meng-Gam-Je is handed down actively in the families that are having the occupation as agriculture and a stockbreeding and the families' financial power is above the middle class. Also the families worship their ancestor. The believers understand Meng-Gam God as a the mighty one who will bring abundance of the occupation. Through the Meng-Gam-Je, they also believes that it guarantees the abundance of the farming for one year and it's possible to accomplish the safety and peace of the family. Moreover, they think it as the rite of passage that must be performed when the New Year begins.
The significance of the transmission in 'Meng-Gam-Je' is that maintaining the traditional belief and the family communal culture. Modern times of Jeju's rural society is influenced by the modernization and its communal is breaking down rapidly. It comes out as the traditional belief also declines and vanishes. On the other hands, there is the phenomenon that the families' traditional is kept and continued in individual family rather than absorbing in the outside's change flow like 'Meng-Gam-Je'. Holding on the religious tradition from ancestors means that Meng-Gam-Je does the function of the complement on the other Confucianism's way of ceremony.
The existing research about Jeju's belief in shamanism studies at various sides, but there aren't a lot of achievements which made the individual ceremony such as Meng-Gam-Je. Meng-Gam-Je is related to the religious belief in God of a mountain which was developed by hunting and stock farming. Because Jeju is an island, it can be seen as the belief in the mountainous areas rather than the coastal area.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 presence of the individual family's ceremony of shamanism. In this study, the phenomenon of Meng-Gam-Je's ceremony and transmission was focused and studied. Jeju's mountainous area's religious tradition, the relevance of the belief in the village's community, the relation between the myth and the ceremony, and especially worship of ancestor in shamanism should be studied from now on.
Author(s)
윤순희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78
Alternative Author(s)
Yoon, Sun-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Advisor
허남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대상 및 방법 5
Ⅱ. 와산리 개관 7
1. 역사와 현황 7
2. 생업활동 9
3. 신앙 13
1) 공동체신앙 14
2) 개인신앙 16
Ⅲ. 멩감제와 멩감본풀이 19
1. 와산리 멩감제 사례 19
1) 멩감제 준비 19
2) 멩감제 제차 및 의미 21
3) 드르멩감과 문전철갈이 의례 비교 27
2. 멩감본풀이 분석 41
1) 멩감본풀이 성격 42
2) 관련 의례 비교 44
3) 멩감본풀이 의미 47
Ⅳ. 멩감제 전승과 변화 양상 50
1. 멩감제 조사 사례 정리 50
1) 기존 조사 50
2) 와산리 55
2. 와산리 멩감제 전승과 변화 양상 58
1) 전승 상황 59
2) 변화 양상 72
Ⅴ. 멩감제 전승 요인과 의의 78
1. 멩감제 전승 요인 78
1) 신앙 전통 78
2) 생업과 경제력 83
2. 멩감제 의의 84
1) 신년제의 기능 85
2) 가족공동체 통합 증대 87
Ⅵ. 결론 89
참고문헌 9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윤순희. (2010). 제주도 와산리 멩감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Postgraduate Program in Korea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