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자생 식물들의 항산화 활성 검색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Jeju Native Plant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식물 11종(구실잣밤나무, 자주괴불주머니, 애기달맞이, 큰천남성, 광대나물, 밤나무, 산국, 약모밀, 산딸나무, 곰취, 떡쑥)을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측정 및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nitric oxide 소거 활성 측정, xanthine oxidase 활성 억제 및 superoxide 소거 활성 측정과 hydroxy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이 좋은 식물 8종(구실잣밤나무, 애기달맞이, 밤나무, 산국, 약모밀, 산딸나무, 곰취, 떡쑥)을 선별하였다. 이 8종에 대해 유기용매 분획을 실시하여 추출 분리한 뒤 각 분획물도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산딸나무의 methanol 추출물에서 283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분획물의 경우 밤나무의 BuOH 층에서 712 ㎍/mg으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methanol 추출물에서 곰취의 methanol 추출물의 IC50 값이 8.6 ㎍/mL으로 좋은 활성을 보였고, 분획물은 구실잣밤나무의 EtOAc 층과 애기달맞이의 BuOH 층에서 각각 1.6 ㎍/mL, 2.4 ㎍/mL으로 대조군인 Vitamin C (2.7 ㎍/mL)보다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실험에서 대조군 quercetin은 500 ㎍/mL 농도에서 77%의 보인데 반해 제주도 자생식물의 methanol 추출물들은 활성이 그다지 높지 않았다. 그 중 밤나무 methanol 추출물의 55%의 저해율을 보였고, 분획물의 경우 밤나무의 EtOAc 층에서 85%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의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산딸나무의 methanol 추출물의 IC50 값이 59 ㎍/mL으로 높은 활성을, 분획물의 경우 밤나무의 EtOAc 층에서 16 ㎍/mL으로 대조군 allopurinol의 7 ㎍/mL과 비교했을 때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radical 소거 효과는 methanol 추출물에서 구실잣밤나무의 methanol 추출물의 IC50 값이 13 ㎍/mL, 분획물은 EtOAc 층에서 7 ㎍/mL으로 대조군인 allopurinol의 16 ㎍/mL보다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은 100 ㎍/mL의 농도에서 methanol 추출물 중 밤나무 추출물이 74%, 분획물은 구실잣밤나무의 BuOH 층에서 76%로 대조군인 Vitamin C의 77%와 비교했을 때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제주도 자생 식물 11종의 항산화능을 탐색한 것으로 이 중 8종을 이용한 항산화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밤나무를 비롯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종에 대해 단일 물질에 대한 분리 작업과 함께 항염증이나 항암, 항노화 등의 실험이 더 깊이 있게 진행된다면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 활성 물질로서 학술 및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uthor(s)
장현주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60
Alternative Author(s)
Jang, Hyun-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화학교육
Advisor
李璿柱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List of Tables
List of Figures
I. 서 론 1
1. 연구배경 1
2. 연구동향 7
3. 연구목적 10
II.재료 및 실험방법 10
1. 재료 10
1) 시료준비 10
2) methanol 추출물 11
3) methanol 추출물 용매분획 과정 11
2. 시약 및 기기 13
3.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분석 14
4. 항산화 실험 14
1)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14
2)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측정 15
3)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 및 Superoxide 소거 활성 측정 16
4) Hydroxy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17
III. 실험결과 및 고찰 18
1.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분석 18
1-1 시료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분석 18
1-2 시료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분석 18
2. 항산화 실험 22
2-1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22
1) 시료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22
2) 시료 분획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24
2-2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측정 27
1) 시료 추출물의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측정 27
2) 시료 분획물의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측정 29
2-3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 측정 32
1) 시료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 측정 32
2) 시료 분획물의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 측정 34
2-4 Superoxide 소거 활성 측정 37
1) 시료 추출물의 Superoxide 소거 활성 측정 37
2) 시료 분획물의 Superoxide 소거 활성 측정 39
2-5 Hydroxy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42
1) 시료 추출물의 Hydroxy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42
2) 시료 분획물의 Hydroxy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44
IV. 결 론 47
Ⅴ. 참 고 문 헌 51
Ⅵ. 부 록 57
ABSTRACT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장현주. (2007). 제주도 자생 식물들의 항산화 활성 검색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hem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