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동굴의 조명평가 및 모델설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odel Design and Illumination Effect Assessment in Jeju Cave
Abstract
제주도의 자연동굴이 관광지로써의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관광 이용자로 하여금 안전성 및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만족감을 제공하여야 한다. 그에 따른 자연동굴의 생태계를 보존, 관리 등을 위하여 자연동굴의 현장 실측을 토대로 조명현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일부 과다한 용량의 투광기의 사용으로 눈부심이 현저하게 발생하여 안전사고 유발
⊙부적절한 용량과 등기구 사용으로 동굴내벽에 녹화현상 발생
⊙관람시간의 장시간 개방에 따른 빛 공해로 인한 동·식물 생식 저해
⊙출입구 계단 부분에 대한 암순응 적응대책이 미흡
이에따라 본 논문은 제주도내 대표적인 동굴 5개의 내부 조도 현장 실측을 토대로 조명현황에 대하여 평가 하였고, 이를 토대로 미천굴을 모델로 한 진입 부 계단 조명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광원과 에이밍 조정 등으로 동굴내부 진입에 따른 순응상태를 고려한 적합한 설계안을 제시 하였다.
그러나 자연 생태계 보존 및 관광 방문자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조명설계를 통한 모델을 제시함은 물론 관람개시를 시간대별로, 방문객을 그룹화 하여 일정시간 점등 및 소등을 유지 하였으면 한다. 또한 이 해석을 통하여 제주 자연동굴에 대한 생태학적인 해석이 새로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사료된다.
금번 조명 설계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영향들을 고려하여 동굴 전체에 대한 조명 설계가 제시되어야 하리라 생각된다.
This paper presents illumination effect assessment through actual investigation of Jeju cave and model simulation about Mi-Cheon Cave.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have been emerging as a new mecca of Jeju tourism as they were enlisted on the list of World Natural Heritage.
Lava tubes received much recognition for their beauty and geological values, so they should be reinvestigated and prevented from damages in their stability and ecosystem caused by unlimited openings. The design of a cave lighting system involves consideration of visibility, safe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e try to evaluate measuring lighting fixtures in Jeju Caves and suggest proper model designs to preserve environment and ecology through model simulations.
Author(s)
현동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32
Alternative Author(s)
Hyun, Dong-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전기전자공학과 전기공학전공
Advisor
오성보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제주도 동굴 분포 및 특성 = 2
Ⅲ. 동굴의 조명 현황 = 4
1. 만장굴의 조도실측 = 4
2. 미천굴의 조도실측 = 6
3. 협재굴의 조도실측 = 8
4. 쌍용굴의 조도실측 = 10
5. 진지동굴의 조도실측 = 12
Ⅳ. 조도기준 = 14
Ⅴ. 시뮬레이션 = 15
1. 조명기구 특성 = 15
2. 컴퓨터 시뮬레이션 = 17
Ⅵ. 결과 및 고찰 = 22
Ⅶ. 결론 = 24
참고문헌 = 2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Citation
현동주. (2009). 제주 동굴의 조명평가 및 모델설계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Electrical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