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Learning Method of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Abstract
향토사 학습은 지역 사람들의 유,무형의 역사적 산물을 통해 역사를 학습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친근감과 생동감을 갖게 하고 역사에 대한 호기심을 느끼게 해주는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현행 사회 교과서와 지역화 교과서를 살펴보면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 향토사 내용을 담지 못하고 있으며 서술방법 및 방식에 있어 아동들의 흥미 및 역사적 상상력을 자극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토사 학습의 자료로서 제주신화의 가치를 주목하고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향토사 학습의 개념 및 필요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고,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 제주신화가 어떤 의의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제주신화를 활용한 세 가지 학습유형을 제시하였고, 각 유형별로 워크북을 제작하여 실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행한 수업을 바탕으로 향토사 학습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주신화의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신화에는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역사의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공식적인 역사 기록으로 남지 않은 일반 민중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아동들은 제주신화를 통해 거대담론에 의해 서술되지 않은 향토의 역사를 배움으로써 비판적 역사 의식을 기를 수 있다. 둘째, 제주신화는 향토의 풍습, 자연환경, 가치관 등을 찾아볼 수 있는 흥미로운 학습 자료이다. 제주신화의 탄생 배경에는 민중들의 사고가 반영되어 있는데 이는 주변의 자연, 인문환경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게 된다. 아동들은 제주신화를 통해 가치관, 풍습의 유래 등에 대해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안을 '다르게 읽기 ', '두껍게 읽기', '작은 것을 통해 읽기'로 제시하여 수업을 실행하였다. 첫째, 제주신화를 활용한 '다르게 읽기' 수업에서 학생들은 김통정 장군의 신성성을 방증하는 애월읍 고내리 본향당 신화를 알아보고, 추체험 역사 학습 모형을 통해 이를 재연해봄으로써 역사는 기록된 것과는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하였다.
둘째, 제주신화를 활용한 '두껍게 읽기' 수업에서 학생들은 수산진안할망당 본풀이를 통해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일반 민중의 역사가 엄연히 존재할 수 있음을 알고 공식적으로 기록된 것과 기록되지 못하는 것의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제주신화를 활용한 '작은 것을 통해 읽기' 수업에서 아동들은 남선비신화, 영등할망신화를 통해 사람들의 풍습과 행동을 지배하는 것은 가치관이며 이러한 가치관은 인문․자연환경에 따라 형성되고 이것은 신화에도 반영되어 있음을 이해하였다.
향토사 학습 실행 후 얻은 설문지 및 수업 반응을 분석한 결과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의 의의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은 지루하지 않고 즐거운 것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실제 수업을 하는 동안 각각의 신화 이야기는 관련된 장소 사진과 함께 아이들에게 흥미를 불러 일으켰고 이야기를 직접 듣고, 연극으로 만들어봄으로서 역사 공부가 아닌 역사 여행으로 받아들였다. 둘째, 제주신화는 현존하는 지역의 당과 관련되며 심방에 의해 구전되는 내용이므로 아동들에게 살아있는 역사, 변화하는 역사, 생동감있는 역사를 느끼게 해주는 좋은 소재였다. 아동들은 본향당과 본향당 당신의 이야기를 사진으로 보고 직접 들으면서 조상들의 역사 인식을 체감할 수 있었다. 셋째, 제주신화에는 중앙집권적인 교과서에서는 다루어지지 않는 제주 민중의 이야기, 교과서의 서술을 부정하는 이야기 등이 담겨있어서 비판적인 역사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을 실행할 경우 다음의 세 가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신화 선정 및 제시 방식이다. 제주신화를 향토사 학습의 소재로 선정할 경우 학습목표 및 이에 적합한 신화를 골라야한다. 신화 선정 기준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접근하기에 심리적 거부감이 없고 역사, 인문환경, 자연환경의 구체적인 개념 및 주제를 명확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야기의 기-승-전-결이 뚜렷하여 상대적으로 학습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내용이어야 한다. 또한 신화를 제시할 때에도 연극 대본 형식, 구연동화, 플래시동화, 사료형태 등의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신화 번역 및 사료화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신화는 심방의 구연내용을 여과 없이 담고 있기 때문에 아동들이 접하기에는 부적절한 지역 방언, 비속어, 잔인한 표현들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분량 및 내용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셋째, 신화의 사료적 가치와 종교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신화는 민간신앙이 반영된 문화적 산물이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오해의 소지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교사는 이러한 점을 충분히 숙지하고 신화의 이야기적 요소에 한정짓고 향토사 학습에 활용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제주신화는 다루기에 따라 재미있는 향토사 자료가 될 수도 있고 난해하고 심오한 자료가 될 수도 있다. 이는 단점도 될 수 있겠지만 중학교, 고등학교로 이어지는 연속성에서 볼 때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드러낸 것이라 여겨진다. 이처럼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교재의 단계형 자료 개발은 추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Learning of local history has advantages to help children have senses of closeness and liveliness by learning history through the local people's tangible․intangible historic products and make them feel a curiosity about history. However, examining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 ․localized textbooks weaknesses are found out that they don't contain contents of local history as its learning materials, and that in narrative styles and methods they don't stir up children's interest and historic imagin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imed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s of the Jeju myth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and propose a direction of teaching local history for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planning and applying methods of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concept and need of learning local history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examined what meanings the Jeju myth had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In addition, in applying the Jeju myth to learning local history teaching methods were provided being divided into three types and workbooks were made by each type to apply them to practical classes. Based on the class conducted,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learning local history.
The values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of the Jeju myth are as follows First, the Jeju myth reflects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o lived in the times and contains the general public's stories which are not left in official historical records. Children can grow critical historical consciousness through the Jeju myth by learning local history which is not described with meta discourse. Second, the Jeju myth is an interesting learning material to find local customs and manners, natural environments, and values etc. In the background to bear the Jeju myth the general public's thinking is reflected, which comes to be closed associated with surrounding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The children are able to learn naturally about the origin of customs and values through the Jeju myth.
Accordingly, in the current study classes were conducted providing the method of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in three ways including 'reading differently', reading thickly' and 'reading through little things'.
First, in the class of 'reading differently' using the Jeju myth the students investigated the myth of Bonhyangdang in gonae-ri, Aewol-eup to demonstrate the sacredness of general Kim Tong Jung, and revived through reenacting a historical learning model and by this, they understood that history may be different from what was recorded.
Second, In the class of 'reading thickly' using the Jeu myth the students could find out that through explaining grandmother's origin of Susan Jinan the general public's history which is not recorded in official history may exist undoubtedly and they could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what was recorded officially and what was not recorded.
Third, in the class of 'reading through little things' using the Jeu myth the children understood through the myths of Nam Sunbu and Yungdeung Halmang that the things that dominate people's customs and behaviors are values and they are formed depending on human․natural environments, which are reflected in the myth as well.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survey obtained after conducting local history learning and class responses, the summary of the meanings of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is as follows.
First, awareness was generated that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is not boring but interesting and amusing. Each myth story aroused children's interest along with photos of places related to it and by directly hearing the stories and making them into plays, they took them not as history study but as a historical journey.
Second, as the Jeju myth is concerned with the existing shrine of the region and has contents handed down orally by shamans, it was a good material to make children feel living, changing and vivid history. Children could experience ancestors' understanding of history by looking at and listening to Bonhyangdang and its gods.
Third, the Jeju myth contained stories of Jeju's common people and stories to deny the narration of textbooks etc which are not addressed in centralized textbooks, a opportunity was given to inculcate critical consciousness of history.
However, if you conduct teaching local history using myths, you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involves how to select and present the myth. If you select the Jeju myth as a material of local history learning, you should select appropriate learning objectives and myth. The criteria to select the myth should be that there's no psychological repul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cess and concrete concepts and themes of historical,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s should be indicated clearly and contents should have a relatively substantial effect of learning as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of the story are obvious. In addition, when you present the myth, you should various methods such as a form of the play script, orally narrated children's story, flash fairy tales, a form of historical data etc. Second, myth translation and the process of making them into historical data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yth contains what was orally narrated by a shaman without any correction, improper local dialects, slangs and cruel expressions may be inserted. Thus, the work to reorganize the volume and contents must be followed. Third, the historical values of myths and religious issues should be considered. Since myths are cultural products to reflect popular beliefs, they may cause misunderstanding inevitably. Teachers should be fully aware of these aspects and apply them to local history learning limiting them to their elements of the st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eju myth may be an interesting material of local history depending on how it is addressed or it may be a difficult and deep one. This may be a weak point, but when viewed in terms continuity to be connected to high school it is considered that it shows infinite potentials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As mentioned above, to develop materials by step in relation to local history textbooks using the Jeju myth is a task which should keep being studied in the future.
Author(s)
고안나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210
Alternative Author(s)
Koh, An N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사회교육
Advisor
김은석
Table Of Contents
목 차

국문 초록 ⅰ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4
3. 선행 연구 검토 4

Ⅱ.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의 이해 7
1. 향토사 학습의 개념 및 필요성 7
2.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 제주신화의 의의 10
3.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유형 13
가. 유형 1 - 다르게 읽기(역사 거꾸로 보기의 사료 제공) 15
나. 유형 2 - 두껍게 읽기(가르쳐지지 않는 역사 사료 제공) 18
다. 유형 3 - 작은 것을 통해 읽기(일상적 역사 사료 제공) 26

Ⅲ.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수업 실행 32
1. 제주 신화에 관한 인지도 조사 32
가. 교사 인식 조사 32
나. 학생 인식 조사 37
2. 향토사 수업 구성 41
3. 향토사 수업 실행 45

Ⅳ.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향 58
1. 신화 선정 및 제시 방식 58
2. 신화 번역 및 사료화 과정 60
3. 사료적 가치와 종교 문제 61

Ⅴ. 결론 및 제언 63

참고 문헌 66

ABSTRACT 69

부록 7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안나. (2010).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