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고등학생의 학교유형별 아침식사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Students' Breakfast Intake at High School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섭취실태, 간식 섭취실태, 식행동 및 영양지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식행동 정립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고등학생 570명을 대상으로 2007년 12월 26일부터 12월 29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Program(Ver. 1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t-test, x²-test, ANOVA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있어서는 일반계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전문계보다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가장 중요시 여기는 식사는 일반계 학생의 경우 아침식사, 전문계 학생의 경우 저녁식사가 가장 많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체중군 분포에 있어서는 일반계와 전문계 학생 모두 정상체중이 가장 많았고, 저체중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았고 과체중과 비만의 비율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사대상의 체중만족도에 대해서는 여학생의 경우 정상체중 비율이 높음에도 '체중이 줄었으면 한다'의 비율이 일반계 78.6%, 전문계 90.2%로 상당히 높게 나타나 마른체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체중조절 관심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관심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넷째, 조사대상의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있어서는 일반계 학생의 경우 매일 먹음 50.9%, 먹지 않음 10.0%로 나타났고, 전문계 학생의 경우 매일 먹음 28.0%, 먹지 않음 37.7%로 나타나 일반계 학생들의 아침식사 섭취빈도가 전문계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침식사의 규칙성, 만족도에 있어서는 전문계 학생들에 비해 일반계 학생들이 아침식사도 규칙적으로 하고 아침식사에 대한 만족도도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식사에 따른 아침식사 섭취빈도는 일반계와 전문계 모두 아침식사를 중요하게 여기는 학생들의 아침식사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식행동 점수는 학교유형과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아침식사를 가장 중요시 여기는 학생들의 식행동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침식사 섭취실태에 따른 식행동 점수는 일반계와 전문계 학생 모두 아침식사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식행동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아침식사 규칙성, 만족도에 따른 식행동 점수는 일반계와 전문계 학생 모두 아침식사가 규칙적이고 .아침식사 만족도가 높을수록 식행동 점수도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조사대상의 영양지식 점수는 총 20점 만점에 평균 13.1점이었고 일반계 고등학생의 영양지식 점수(14.2점)가 전문계 고등학생(12.0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성별에 따른 영양지식점수는 일반계와 전문계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아침식사 섭취실태와 각 요인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계와 전문계 모두 아침식사 섭취빈도와 아침식사 규칙성 및 만족도, 식행동 점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간식횟수와 식행동 점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식행동 점수는 일반계의 경우만 영양지식 점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아침식사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식행동 점수가 높을수록 아침식사 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의 중요성과 아침결식의 위해성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바람직한 식행동 확립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특히 전문계 학생들은 저녁식사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아침식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 영양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survey and analyse breakfast and snack taking projections,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s, targeting at highschool students in Jeju province, (b) and to put them into practical use so that the study could be helpful to offering nutrition education to take a triangular position of desirable dietary behaviors. The subjects included 570(76%)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and they were surveyed from December 26 to 29,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hes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ubjects indicated higher levels in the general school groups compared with the professional ones. For the most valued meals, the general school group preferred the breakfast the most, while the professional counterpart the dinner,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n the distribution of weight groups, both groups showed normal levels; female students showed lower level compared with the female counterpart; and the male students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in overweight and obesity than the female counterpart.
Third, although the female showed higher level of normal weight in the satisfaction with their weights, 78.6% general group expressed more needs for further 'loosing of weight' compared with the profession group with 90.2%, indicating their preference for slim body shapes. For the interest in the weight control, the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Fourth, in the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the general group responded positively to having breakfast everyday at 28.0% and skipping at 10% while the professional group responding positively to skipping at 28.0% and having everyday at 37.7%, which indicated the general group adhere in significantly higher level to their breakfast than those from the professional group. For the regularity and satisfactions in having breakfast,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level than the professional one in the regularity while both general and professional groups indicated high level of frequencies among the students who tried not to skip their breakfasts.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ypes of school in the scores of dietary behaviors; the scores of those who valued the breakfast the most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cores of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the breakfast intake projections, the higher scores the students got, the more frequently they had their breakfasts. For the scores of dietary behaviors in the regularity and satisfactions, both general and professional groups indicated regular breakfast taking behaviors; the higher satisfactions led to a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dietary behaviors.
Sixth, the scores of knowledges on nutrition in those surveyed indicated a mean score of 13.1 from the perfect score of 20; the nutrition scores of general group were higher(14.2 point) than those of professional group(12.0 point); and for the gender-wise scores of nutrition, both general and professional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in female students compared with the male counterparts.
Seventh, the analysis of the breakfast intake projections and correlations between each factors showed both general and professional groups had a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intake frequency, regularity and satisfactions, and dietary behaviors;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taking snacks and scores of dietary behaviors; and only the general grou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etary behaviors and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when having breakfast is more valued and the dietary behavior scores indicate higher level, the intake frequency is also higher, so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nutrition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having breakfast and affects of skipping it, for the settlement of desirable dietary behavio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breakfast especially to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values the dinner the most.
Author(s)
姜京문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21
Alternative Author(s)
Kang, Kyoung-M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蔡仁淑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청소년기 영양 4
2. 아침식사의 중요성 5
3. 영양지식 및 식습관 6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9
1. 조사대상 및 방법 9
2. 조사내용 9
1) 일반사항 9
2) 아침식사 및 간식 실태 9
3) 영양지식 10
4) 식행동 및 생활습관 10
3. 자료의 통계처리 10

Ⅳ. 연구결과 및 고찰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11
1) 일반사항 11
2) 체중 관련 사항 13
3) 생활습관 15

2. 아침식사 섭취실태 19
1) 학교유형별 아침식사 섭취실태 19
2) 일반사항에 따른 아침식사 섭취빈도 22
3) 아침식사 섭취실태에 따른 아침식사 섭취빈도 28
3. 간식 섭취실태 32
1) 학교유형별 간식 섭취실태 32
2) 일반사항에 따른 간식섭취 실태 34
3) 간식 섭취실태에 따른 아침식사 섭취실태 36
4. 식행동 42
1) 학교유형에 따른 식행동 42
2) 일반사항에 따른 식행동 42
3) 아침식사 섭취실태에 따른 식행동 점수 44
5. 영양지식 46
1) 영양지식의 습득경로 46
2) 학교유형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 48
3) 일반사항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 48
4) 아침식사 섭취실태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 51
6. 각 요인별 상관관계분석 53
1) 아침식사 섭취실태와 식행동·영양지식 점수 상관관계 53
2) 아침식사 섭취실태와 각 요인별 상관관계 55

Ⅴ.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60
부록 67
Abstract 7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姜京문. (2009). 제주지역 고등학생의 학교유형별 아침식사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