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노인급식 프로그램 관리시스템 실태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zing the Current Management Practices of Elderly Foodservice program in Jeju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주도 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노인급식 프로그램(노인복지시설 급식, 재가노인 급식)의 운영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급식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노인급식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노인복지시설 급식 프로그램의 실태는 제주도 내에 있는 노인복지시설 21개 기관을 전수 조사하였으며 재가노인을 위한 급식 프로그램의 실태는 경로식당을 운영하는 4개 기관과 식사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6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으며 각 기관의 실무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급식 프로그램 수혜대상 노인들의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노인복지시설 입소노인 165명, 경로식당 이용 노인 120명, 식사배달 서비스 수혜 노인 64명을 대상으로 한 면담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조사항목은 단순빈도와 평균을, 일반사항 및 노인급식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만족도 조사 결과는 t-test, ANOVA(Duncan multiple comparison)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노인급식 프로그램 제공기관의 실태조사 결과, 급식 서비스에 관여하는 인력 현황에 있어서 영양사가 없는 기관이 경로식당의 경우 75%, 식사배달 서비스의 경우 50%를 차지하였고 영양사가 없는 기관에서는 조리사나 자원봉사자에 의해 식단 작성, 식품구매 등이 행해지고 있었고 영양교육, 치료식 제공 및 위생교육 등이 거의 실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위생관리에 있어서 보존식은 노인복지시설의 경우 90.5%가 보존하고 있는 반면, 경로식당과 식사배달 서비스의 경우는 대부분 보존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HACCP system 반영 여부에 있어서는 노인복지시설, 경로식당, 식사배달 서비스 모두 시설·설비 부족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인급식 프로그램 유형별(노인복지시설, 경로식당, 식사배달 서비스)로 수혜대상 노인들의 일반사항을 조사한 결과 남자노인보다는 여자노인의 비율이 현저히 높았으며, 경로식당과 식사배달 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들의 경우 독거노인의 비율이 각각 46.7%, 84.4%로 나타났고 음식도 직접 조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일주일에 필요한 급식 제공일수에 대해서는 경로식당의 경우 매일(66.7%), 식사배달 서비스의 경우 3~4번(45.3%)이 가장 높게 조사되어 대부분의 노인들이 3일 이상 제공되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혜대상 노인들의 급식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노인복지시설, 경로식당, 식사배달 서비스 수혜대상 노인들 모두 치료식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급식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경로식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들의 만족도가 노인복지시설이나 식사배달 서비스 수혜대상 노인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로식당 이용실태 조사결과에서 가장 만족했던 것에 대한 질문에 친구들과 만나는 즐거움이라고 응답한 노인의 비율(60.8%)이 가장 높은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성별에 있어서 남자노인들과 여자노인들 모두 경로식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았으며, 이용기간과 학력에 따른 만족도 분석 결과에서는 1~2년 미만의 이용기간과 초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노인들의 경우 노인복지시설과 경로식당 서비스 보다 식사배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의 만족도가 낮게 조사되었다.
건강상태에 따른 만족도 분석 결과에서는 노인복지시설과 경로식당 서비스는 건강상태가 양호한 노인들의 만족도가 보통이나 허약한 노인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식사배달 서비스의 경우는 허약한 노인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질환 보유 숫자에 따른 만족도 분석 결과에서는 3개 이상의 질환을 보유한 노인들의 경우 노인복지시설이나 식사배달 서비스 보다 경로식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management practices of foodservice programs for elderly of health care facilities and homebound in Jeju.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 foodservice managers(21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4 congregate meal services, 6 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a survey on foodservice program management operations and 349 old people(165 at the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120 offered the congregate meal services and 64 served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a survey on satisfaction of foodservice program.
Using the SPSS Win 12.0,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ANOVA(Duncan multiple comparison) for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satisfaction levels by the elderly foodservice program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foodservice program for elderly, 75% of the congregate meal services and 50% of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did not have any nutritionist. The facilities which had no nutritionist were dependent on cooks or volunteers in menu planning and food purchasing, and hardly performed nutrition education, cure meal provision and hygiene education.
With respect to hygiene, 90.5% of the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preserved preservative foods while most of the congregate meal services and home- delivered meal services did not have the preservative foods. A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ACCP system, it has found out that all of the programs did not introduce it due to lack of facilities and equipment.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ld people benefited by the foodservice program(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congregate meal services, and home-delivered meal services) have shown that the rate of old females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old males, and that 46.7% of the old people from the congregate meal services and 84.4% of the old people served by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were living alone and most of them cooked by themselves.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necessary foodservice days per week, it appeared that 66.7% of the old people offered the congregate meal services wanted the services to be given on the everyday base and 45.3% of the elderly served by home-delivered meal services 3∼4 times per week. This means that most of the elderly wanted the services to be provided for more than 3 days per week.
In case of old people's opinions about foodservice program offered by the facilities, all of them reported that they desperately wanted cure meal.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old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 foodservices has shown that those who were provided with the congregated meal services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benefited from the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and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 elderly persons (60.8%) reported that the joy of meeting friends was the most satisfactory thing in using the congregate meal services.
Regardless of genders, the male and female old persons were considerably satisfied with the services which they were provided with. A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duration of using the programs and to education experiences, those using the programs for less than 1∼2 years and those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lower than the middle school level showed lower satisfaction with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than with the other servi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health states, it has appeared that healthy old people showed middle level satisfaction or higher satisfaction than weak ones with the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and the congregate meal services, but weak old people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diseases appeared that in the case of old persons with more than 3 diseases, those who were offered the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or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than those who were provided with the congregate meal services.
Th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moving situation has appeared that both the old persons able to move and the ones with difficulty in moving who were provided with the congregate meal services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who were offered the other services. The old persons whose were able to move using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and the ones with difficulty in moving using the services offered by the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level.
Author(s)
이강미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65
Alternative Author(s)
Lee, Kang-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채인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서언 = 1
2. 이론적 배경 = 4
1) 노인복지시설 입소노인을 위한 급식 프로그램 = 4
2) 재가노인을 위한 급식 프로그램 = 9
Ⅱ. 연구방법 = 11
Part 1. 노인급식 프로그램 제공기관 운영실태 분석 = 11
1. 조사대상 및 방법 = 11
1) 노인복지시설 급식 프로그램 = 11
2) 경로식당 급식 프로그램 = 11
3) 식사배달 급식 프로그램 = 11
2. 조사도구의 개발 = 12
3. 통계분석 방법 = 13
Part 2. 노인급식 프로그램 수혜대상 노인들의 만족도 분석 = 13
1. 조사대상 및 방법 = 13
1) 노인복지시설 입소노인들의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 13
2) 경로식당 이용 노인들의 급식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 13
3) 식사배달 서비스 수혜대상 노인들의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 13
2. 조사도구의 개발 = 14
3. 통계분석 방법 = 15
Ⅲ. 연구결과 및 고찰 = 16
Part 1. 노인급식 프로그램 제공기관 운영실태 분석 = 16
1. 일반사항 = 16
2. 메뉴 및 영양관리 = 23
3. 식품구매, 음식생산 및 배식관리 = 26
4. 위생관리 = 34
5. 기타 관리 = 39
Part 2. 노인급식 프로그램 수혜대상 노인들의 만족도 분석 = 40
1. 일반사항 = 40
2. 급식에 대한 요구도 = 48
3. 급식에 대한 만족도 분석 = 50
1) 노인복지시설 입소노인들의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 50
2) 경로식당 이용 노인들의 급식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 58
3) 식사배달 서비스 수혜대상 노인들의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 69
4) 노인급식 프로그램 유형별 만족도 분석 = 76
Ⅳ. 결론 및 제언 = 84
참고문헌 = 88
Abstract = 94
부록 = 9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강미. (2008). 제주지역 노인급식 프로그램 관리시스템 실태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