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노인의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간 변이와 개인내 변이조사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Investigatory Study of between-and within-individual Variation on nutrition Intake of Elders Living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86명(남자 76명, 여자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5년에서 2006년의 겨울, 봄, 여름, 가을 4계절에 걸쳐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총 9일간의 식이조사를 하였다. 계절간, 주중과 주말의 요일별, 각 일별 조사일수에 따른 식이섭취양상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식이섭취의 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노인의 일상 섭취량을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1. 열량섭취량은 남녀노인 모두 필요추정량의 기준이하로 섭취하고 있었고, 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B6, 인, 나트륨, 철분은 권장섭취량의 기준치 이상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B2와 칼륨을 제외하고는 섭취량이 권장섭취량의50%를 상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칼슘, 칼륨, 비타민 A, 비타민 B2, 엽산등은 46.4~54.3%로 권장섭취량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남자노인의 경우는 칼슘과 비타민 C에서 각 계절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여자노인의 경우는 열량,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슘, 인, 칼륨,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C, 콜레스테롤에서 각 계절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남자노인은 주중보다 주말의 섭취량이 높게 조사된 반면, 여자노인은 주중이 주말보다 섭취량이 높게 나타나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식이섭취에서 계절 및 주중과 주말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1일간과 9일간, 3일간과 9일간, 4일간과 9일간의 영양소 섭취량의 비교에서는 4일간과 9일간 비교치의 pearson상관계수가 0.88~0.93, spearman상관계수가 0.84~0.96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1일간과 9일간, 3일간과 9일간의 영양소 섭취량의 비교치보다 4일간과 9일간의 비교치가 가장 높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영양소 섭취 변이요인들의 총 변이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는 개인내 변이>개인간 변이> 계절에 의한 변이> 조사요일에 의한 변이순으로 나타났다. 남녀노인 모두 개인내 변이, 개인간 변이등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계절에 의한 변이에서는 여자노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더 많이 나타났다. 조사요일에 의한 변이에서는 남자노인은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여자노인은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 비타민 C, 엽산, 콜레스테롤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5.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간 변이계수는 20.7~48.4였고, 개인내 변이계수는 40.0~97.3으로 모든 영양소에서 개인간 변이계수 즉, 개인간 섭취량의 차이보다 개인내 변이계수인 개인에서 날에 따른 섭취량의 차이가 더 컸다.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간 변이에 대한 개인내 변이비가 가장 낮은 영양소는 나트륨(1.3)이었고, 가장 높은 것은 비타민 B1(2.6)로 조사되어 영양소간 변이비의 큰 차이가 없었다.

6.. 90% 신뢰수준에서 개인의 실제 섭취량의 20% 오차내로 일상 섭취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11일(열량, 탄수화물)~64일(콜레스테롤)이 필요하였다. 10% 오차내로 개인의 일상섭취량을 추정할 경우는 열량, 단백질, 탄수화물, 회분, 칼슘, 철분, 나트륨, 칼륨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80일 이상의 조사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일상섭취량에 근사치의 값일수록 필요한 조사일이 더욱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하루 동안의 조사로 표본의 크기에 따른 집단의 일상섭취량 추정에는 탄수화물이 일상섭취량의 14.7%의 오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콜레스테롤은 일상섭취량의 30.0~35.7%의 오차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본 연구에서 9일간의 조사결과와 일상 섭취량과의 상관계수는 0.76~0.91의 범위를 나타냈다. 그리고 0.9이상의 상관계수를 얻기 위해 필요한 조사일수는 열량,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 회분, 칼슘, 철분, 나트륨, 칼륨, 비타민 B2, B6, 나이아신, 엽산등이 8~15일로 상대적으로 짧았고, 탄수화물, 인,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콜레스테롤은 16~28일의 조사일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8. 쌀은 열량, 단백질, 탄수화물, 인,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 B1, B2, B6, 나이아신의 가장 중요한 급원식품임과 동시에 열량, 단백질, 탄수화물, 철분의 개인간 분산을 가장 잘 설명하는 주요 변이식품이었다. 쌀과 돼지고기, 배추김치, 얼갈이 배추등은 거의 모든 영양소 섭취에서 가장 큰 급원식품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집단의 총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보면, 상위 5가지 주요 급원식품의 섭취량을 조사할 경우에 모든 영양소 섭취량의 34%이상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개인간 분산의 설명정도는 모든 영양소에서 상위 5가지 주요 변이식품으로부터 40%이상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총 섭취량에 대한 설명정도나 개인간 분산에 대한 설명정도 모두 식품목록의 수가 많아질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체적으로 남자노인에 비해 여자노인이 영양소 섭취에 있어서 주중과 주말, 각 계절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간 변이보다 개인내 변이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되어 식이섭취 계획시 개인간 변이와 개인내 변이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식이섭취조사일수와 조사대상자수가 늘어날수록 개인과 집단의 일상 섭취량에 더 근사치의 값을 갖게 되므로 식이섭취조사 계획시 조사일수에 따른 영양소의 선택 및 연구목적에 부합한 조사일수와 조사대상자수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targets on 186 elders(76 men, 110 women), more than 65 years old, living in Jeju province.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by dietary investigation for total nine days through four seasons,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from 2005 to 2006, applying to 24-hour recall method. This study grasped the tendency of dietary intake, classifying with the seasons, the weeks including the inside and the end of a week, and the days spent for investigation.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influence on dietary intake variation of the factors and offering basic data to estimate elders' usual intake.

1. Both of the men elders and women elders took in caloric intake below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They took in more than recommended intake, protein, vitamin C, vitamin B6, phosphorus, natrium, and iron, more than 50% of recommended intake except vitamin B2 and potasium. calcium, potasium, vitamin A, vitamin B2, and folic acid, 46.4~54.3%, were below recommended intake.
2. Men elde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lcium and vitamin C between seasons, but women elders in energy, carbohydrate, dietary fiber, calcium, phosphorus, potasium,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C, and cholesterol between seasons. But, investigation found out that men elders took in more at the end of a week than at the inside of a week, however, women elders took in more at the inside of a week than at the end of a week. So, women elders were more influenced on seasons, inside of a week, and end of a week in dietary intake than men elders.

3. This study compared nutrition intake between one day and nine days, three days and nine days, four days and nine days, and found out tha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n four days and nine days was 0.88~0.93,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4~0.96, highest. The comparison value on four days and nine days' nutrition intake has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value on one day and nine days, three days and nine days' nutrition intake.

4. The relative contributions on total variation of nutrition intake variation factors were within-individual variation > between-individual variation > season based variation> Investigation day of the week based variation in order. Both of the men elders and women elder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ithin-individual variation and between-individual variation. But season based variation ha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elders. Investigation day of the week based variation didn't have significance in the men elders. Women elders had a significance in protein, fat, dietary fiber, vitamin C, folic acid, and cholesterol.

5. Between-individual variation coefficient of nutrition intake was 20.7~48.4, and within-individual variation coefficient was 40.0~97.3. That is, difference in day based intake, within-individual variation coefficient, was more than difference in between-individual difference. The nutrition which had the lowest within-individual variation ratio versus between-individual variation of nutrition intake was natrium(1.3), but the nutrition which had the highest one was vitamin B1(2.6). It means that nutrition didn't have a big difference in variation ratio.

6. It took 11 days(energy, carbohydrate)~64 days(cholesterol) to presume one-day's usual intake within 20% error of respective persons' real intake at the reliance level of 90%. It took 80 days to presume one-day's usual intake within 10% error in all of the nutrition except energy, protein, carbohydrate, ash, calcium, iron, natrium, and potasium, which means that the more approximate to respective person's one-day intake a value was, the more investigation days it took. One day's investigation found out that usual intake assumption of a group, according to the size of a sample, had 14.7% error of usual intake in the case of carbohydrate. vitamin A, vitamin C, vitamin E, and cholesterol had 30.0~35.7% error of usual intake.

7.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nine days' investigation result and usual intake showed 0.76~0.91 coverage. It took 8~15days, somewhat short period, to get correlation coefficient more than 0.9 in the case of energy, protein, fat, dietary fiber, ash, calcium, iron, natrium, potasium, vitamin B2, vitamin B6, niacin, and folic acid, and 16~28 days in the case of carbohydrate, phosphorus, zinc, vitamin B1, vitamin C, vitamin E, and cholesterol.

8. Rice wa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of energy, protein, carbohydrate, phosphorous, iron, potasium, zinc,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and niacin, and at the same time it explained between-individual variation of energy, protein, carbohydrate, and iron. Rice, pork, cabbage kimchi, and eolgari kimchi were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n almost of all intakes of nutrition.

9. As for information on total intake of a group, by investigating intake of upper five resources, this study could get information on more than 34% nutrition intake. As for between-individual variation, this study could get information on more than 40% by investigating upper five important variation foods in all nutrition. The more food list increased, the more this study could explain total intake and between-individual variation

From the above result summary, this study found out that generally women elders were influenced on the inside of a week, the end of a week, and respective seasons in taking nutrition than men elders. In addition, within-individual variation was higher than between-individual variation, which means that within-individual variation and between-individual variation have to be considered on at the time of making dietary intake plan to enhance study reliability. The longer this study investigated dietary intake, and the more subj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re respective persons and groups'usual intake get approximate. So, it is important to select nutrition according to investigation days, and investigation days and subject numbers according to aims at the time of making a dietary intake investigation plan.
Author(s)
박준영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75
Alternative Author(s)
Bak, Jun-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고양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문헌고찰 3
Ⅲ. 연구내용 및 방법 8
1. 조사대상자 및 조사기간 8
2. 조사내용 및 방법 8
1) 일반사항 및 신체계측조사 8
2) 식이섭취조사 9
3. 자료 분석 및 통계처리 9
1) 영양소 섭취실태 10
2) 영양소 섭취변이요인들의 총 변이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 10
3)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간 변이와 개인내 변이의 크기 11
4) 일상섭취량의 추정에 필요한 조사일수와 표본의 크기 11
(1) 개인의 일상 섭취량 평가에 필요한 조사일수 11
(2) 집단의 일상 섭취량 평가에 필요한 표본의 크기와 조사일수 11
(3) 영양소 섭취량에 따른 개인 순위결정에 필요한 조사일수 12
5) 식품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설명정도 12
(1) 영양소별 주요 급원식품 및 주요 변이식품 12
(2) 영양소 섭취량의 설명에 필요한 식품의 수 13
Ⅳ. 연구결과 1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14
1) 조사대상자의 성별ㆍ연령별 분포 14
2) 조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14
3)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15
2.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실태 17
1)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 17
2) 계절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 비교 23
3) 주중, 주말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 비교 29
4) 조사일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 비교 33
(1) 집단의 평균 영양섭취량 비교 33
(2) 개인의 평균 영양섭취량 비교 38
3. 영양소 섭취변이요인들의 총 변이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 41
4.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간 변이와 개인내 변이 크기 46
1)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간 변이 46
2)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내 변이 47
3)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간 변이에 대한 개인내 변이의 비 48
5. 일상 섭취량의 추정에 필요한 조사일수와 표본의 크기 52
1) 개인의 일상 섭취량 평가에 필요한 조사일수 52
2) 집단의 일상 섭취량 평가에 필요한 표본의 크기와 조사일수 56
3) 영양소 섭취량에 따른 개인 순위결정에 필요한 조사일수 60
6. 식품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설명정도 64
1) 영양소별 주요 급원식품 및 주요 변이식품 64
2) 영양소 섭취량의 설명에 필요한 식품의 수 90
Ⅴ. 고 찰 93
Ⅵ. 요약 및 결론 122
Ⅶ. 참고문헌 128
Abstract 14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준영. (2009). 제주지역 노인의 영양소 섭취량의 개인간 변이와 개인내 변이조사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