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무속복식의 유형과 특성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제주도는 좁은 경작지에 불리한 농업환경으로 자연스럽게 민간신앙에 의지를 하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제주도민에게 바다는 가장 위협적인 존재이기도 했다. 따라서 바닷가 마을이나 바다를 상대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절대적인 위협에 대비하는 행위가 나타나게 되었으며 바로 이 행위는 무당굿으로 표출되었다. 이렇듯 많은 신들을 모시고 있는 제주지역은 지리적으로 내륙지방과 멀리 떨어진 입지적 환경과 가뭄, 홍수, 바람의 삼재를 안고 사는 척박한 자연환경에 대해 맞서기 위해 제주만의 독특한 의생활양식이 형성되었다. 무속인들이 착용한 무복 역시 육지의 무복과 차이점을 보일 것이라 생각되며 제주지역의 민간신앙이 크게 발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무복 역시 제주도만의 독창성을 가지며 발달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복식 문화를 이해하는 과정 중 무속행사를 주관하고 참여하는 제관과 무속인들의 복식을 정리함으로써 이들이 착용한 복식인 무복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주 무복의 유형을 문헌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분류하였고 각 복식의 행사별, 성별에 따른 복식의 종류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제주에서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무속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제주지역의 무속 행사는 주관하는 주최에 따라 도제, 마을제, 일반굿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제는 제주의 안녕과 발전을 기원하는 것으로 탐라국 입춘굿과 건시대제, 영산대재가 있으며, 마을제는 마을의 당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합동으로 굿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다시 유교식과 무교식으로 나눌 수 있다. 유교식 마을제로는 포제, 별제, 기우제, 해신제, 제석제가 있으며, 무교식 마을제는 칠머리당 영등굿, 잠수굿 등이 있다. 일반굿은 일반 가정에서 생사, 건강, 죽음 등을 신령에게 축원하는 것을 말하며 무혼굿과 지노귀굿이 대표적인 행사이다.
둘째, 무속행사의 종류별로 특성을 보면 남녀가 모두 주관하는 도제는 제복, 단령, 도포, 쾌자, 두루마기, 저고리·바지/치마차림, 특수복차림을 볼 수 있다. 유교식 마을제 또는 무교식 행사의 구분에 따라 행사의 주체가 되는 사람이 그 지역의 유지가 될 수도 있고 심방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복식에 차이가 나타난다. 남자만이 주관하는 유교식 마을제에는 유교식 격식을 제대로 갖춘 제복, 단령, 도포차림만 볼 수 있으며 남녀가 모두 주관하는 무교식 마을제 혹은 도제 중 입춘굿에서는 단령, 도포, 쾌자, 두루마기, 저고리바지/치마, 특수복차림을 모두 볼 수 있다.
셋째, 도제에서는 유교식 마을제와 무교식 마을제의 모든 차림을 볼 수 있고 유교식 마을제는 유교식 격식을 제대로 갖춘 제복, 유건과 도포, 흉배가 달린 단령차림을 볼 수 있다. 반면, 무교식 마을제의 경우는 흉배가 없는 단령이나 도포가 가장 정장차림으로 여기지며 그 외는 행사의 목적에 따라 쾌자, 두루마기, 저고리·바지/치마, 특수복을 착용한다. 일반굿은 심방이 주관을 함으로 무교식 마을제와 그 차림이 같다.
셋째, 남자의 경우 제복차림, 조복차림, 단령차림, 도포차림, 쾌자차림, 두루마기차림, 저고리·바지차림, 특수복차림으로 나눌 수 있다. 제복과 유건과 도포차림은 유교식 마을제의 행사에서 제관들과 집사의 차림이며 조복차림은 도제 중 영산대재의 차림이다. 단령차림은 유교식인지 무교식인지에 따라 흉배가 결정이 되며 무교식에서는 가장 정장차림으로 여겨진다. 도포차림은 단령의 구성 요소와 혼합되어 새로운 형태를 생겨났고, 쾌자차림은 섭수차림이라고도 하며 제주지역 특유의 무복차림으로 질치기, 석살림 등을 할 때의 착용한다. 두루마기차림은 보통 앉아서 하는 굿이나 작은 굿을 할 때 착용한다. 저고리와 바지차림은 주로 소미들의 복장이며, 특수복차림은 굿의 정점을 치솟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옷차림을 하는 것이다.
넷째, 여자의 경우 단령차림, 도포차림, 쾌자차림, 두루마기차림, 저고리·치마차림, 특수복차림으로 나눌 수 있다. 단령차림은 1990년대 이후부터 착용된 것으로 보이며 흑립은 착용하지 못하였다. 도포차림은 단령 대신의 가장 큰 정장차림으로 여겨졌고 쾌자차림에서는 남자 쾌자차림에서는 볼 수 없었던 관을 쓴 할망의 모습이 나타난다. 두루마기차림은 현재 100년 전 사진에서만 확인할 수 있지만 현재에는 의복의 간소화로 인하여 도포로 흡수가 된 것으로 보인다. 저고리와 치마차림은 주로 소미들이 비념을 할 때의 차림으로 100년 전 개화기 때에는 치마길이가 짧아져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특수복차림은 남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화의 내용에 따라 의복이 달라지는데 영등 할망 외에도 큰굿에서는 가면을 쓰고 짚을 엮은 것을 어깨에 두르기도 하고 탈을 쓰고 탈춤을 추기도 한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shamanists' costumes worn for various ritual events and to analyze their features. Je-ju island had folk beliefs because of worse agriculture with narrow land, and ocean was dangerous existence to citizen of Je-ju island. So, people, who made their life on ocean, and ocean town made performance of threat prevention, and it is shaman exorcism. As Je-ju area trusts many gods, unique life pattern of Je-ju is created because of opposition of conditions such as isolation from land, dryness, flood, and tornado. Exorcism clothes will be different from that of land, and Je-ju island might have creativity because shaman exorcism of Je-ju island is very progressed. This research focuses on Je-gwan and costumes of exorcists from understanding of costumes culture of Je-ju, and it will analyze characteristic of clothes of the exorcism.
Type of exorcism clothes is classified through literature and field survey, and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each costumes followed by event and sex distinction are on the below.
First, characteristics of each exorcism are uniform, Dan ryung, Do po, Kwe ja, Durumagi, Jegori·pants/skirts in coed festival. Confucianist town festival by men has uniform, Dan ryung, Do po with confucianist form. Non religional town festival by coed has Dan ryung, Do po, Kwe ja, Durumagi, Jegori·pants/skirts, and special clothes.
Second, Looking characteristic of costumes with sex distinction, 8 types of clothes, uniform, Jo bok, Dan ryung, Do po, Kwe ja, Durumagi, Jegori·pants, and special clothes, are costumes for men. 6 type of costumes, Dan ryung, Kwe ja, Durumagi, Jegori·skirt, and special clothes, are costumes for women.
Third, Looking characteristic of type of the Je-ju clothes of exorcism, Dan ryung was uniform for men, and it was limited clothes for women. Most of female Sim bang still wore Do po although society structure was changed after 1990's, and female Sim bang could choice Dan ryung in the same situation of male Sim bang. Kwe ja has difference between male exorcism clothes and female exorcism clothes. Kwe ja of male have separated Yup mu on front and back, and it makes activity to Kwe ja of male. However, Kwe ja of female have rectangle silhouette with non separated Yup mu, but it gives an opening for activity. For male exorcist, he wears kwe ja after wearing Durumagi on Jegori and pants, but female exorcist wears kwe ja with skirts and Jegori. 100 years ago, female exorcists use only Durumagi and white Han sam after they finish shaman exorcism of beginning of spring, but these traces are disappeared on nowadays. It happens because Durumagi becomes one of types of Do po, and Han sam is totally disappeared due to minimization of clothes.
Author(s)
박눈설미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47
Alternative Author(s)
Park, Noon Seol 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장현주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3
표목차 7
그림목차 8
Ⅰ. 서론 1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1
2. 연구방법 및 내용 13
Ⅱ. 제주지역 무속의 기원 및 종류 14
Ⅲ. 제주지역 무속복식의 유형 18
1. 남자복식 18
(1) 제복차림 18
(2) 조복차림 18
(3) 단령차림 20
(4) 도포차림 29
(5) 쾌자차림 31
(6) 두루마기차림 36
(7) 저고리·바지차림 38
(8) 특수복차림 39
2. 여자복식 41
(1) 단령차림 41
(2) 도포차림 42
(3) 쾌자차림 44
(4) 두루마기차림 49
(5) 저고리·치마차림 49
(6) 특수복차림 52
Ⅳ. 제주지역 무속복식의 특성 54
1. 제주 무속 행사별 특성 54
2. 성별에 따른 복식 종류별 특성 56
Ⅴ. 결론 59
참고문헌 63
ABSTACT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눈설미. (2010). 제주지역 무속복식의 유형과 특성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