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성인들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dults' Recognition and Intak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섭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바른 이해와 올바른 선택 및 건전한 섭취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세부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자 48.1%, 여자 51.9%이며, 연령은 30-39세가 32.2%, 결혼여부는 기혼이 59.7%, 학력은 대졸이 35.1%, 거주 지역은 구. 제주시가 69.3%, 직업의 경우 사무직이 35%, 월평균 소득은 100-200만원 38.7%로 가장 많았다.
2.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점수 전체 평균과 표준편차는 19.15±4.08점, 생활습관 전체평균과 표준편차는 9.36±2.43점으로 나타나 "보통"으로 평가되며, 성별, 직업, 소득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3.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도는 "보통이다"가 47%,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는 "조금 알고 있음"이 73.2%로 가장 많아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편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광고 및 제품설명서 신뢰도의 경우 "신뢰하지 않는다"라는 응답이 47.3%로 "신뢰 한다"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정 및 시행에 관한 질문에는 79%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홍보 및 교육경험은 12.2%에 불과했다.
4.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요인 분석한 결과 신뢰성, 질병치료에 대한 믿음, 안정성에 대한 인식도는 낮게나와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고, 반면에 접근의 편리성에 대한 인식도는 높은편으로 나타났다.
5.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를 보면, 조사대상자의 62%가 건강기능식품 섭취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기능식품 섭취품목으로는 영양보충용제품이 60.6%, 홍삼제품이 39.4%순으로 나타났다.
6.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이유로는 건강유지 53.6%로 가장 많았고, 반면에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이유로는 "건강하므로 필요성을 못 느껴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32.5%로 가장 많았다.
7. 섭취 후 효과에 대해서는 "보통이다", 섭취한 기간은 6개월 미만, 구입가격대는 5~10만원이 가장 많았다. 구입동기로는 가족, 친척, 친구 등 주위 사람들의 권유가 가장 많았으며, 구입 장소로는 전문판매점이 가장 많았다.
8. 건강기능식품 구입시 ⌜건강기능식품⌟이라는 표시를 "확인한다"라는 응답이 55.1%로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건강기능식품 성분 및 효능을 알고 섭취하는 경우가 67.2%, 구입가격대는 "비싼편이다"가 74.1%로 가장 많이 나왔으며, 구입 시 정보의 충분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제품 설명서에 대한 이해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9. 건강기능식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많을수록, 농어촌지역보다 도시지역에서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율이 높았다. 또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이 좋을수록,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신뢰성, 접근의 편리성, 질병치료에 대한 믿음, 안정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 수록 섭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여겨지며, 이를 위해 국가, 기업, 소비자, 영양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doing the right choice or not and taking well or not the health functional foods for the adults in Jeju, Korea.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December 2007 to January 2008. The collected questionnaire of 616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at were used the SPSS WIN Program(version 12.0) for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Duncan multiple range test), Chi-Square(𝑥²)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48.1% of males and 51.9% of females. The age from 30 to 39 were 32.2%, married respondents were 59.7%, gra여ated from university or college were 35.1% and Juju city resident were 69.3% of the whole. In occupation, office workers were 35% and monthly income from 1,000,000won to 2,000,000 were 38.7%.

2.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ting habit and life style are 19.15±4.08 and 9.36±2.43, relatively which are evaluated "normal".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degree of occupation and income.

3. 4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normal" to the question of the interest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73.2% respondents "a little" to the question of the awareness of health functional food, which mean positive attitude toward health functional food. 47.3% of respondents reliable to the advertisement and descri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re taking a slightly bigger portion of numbers than respondents unreliable which shows lower reliability of health functional food. 79% of the respondent answered "not know" to the question whether they know about regulation and enforcement of law on health functional foods. Only 12.2% of respondents answered "yes" to question whether they have an experience of educ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4. Awareness of convenience of accessibility to the health functional food was higher in contrast with the fact that awareness of reliability, belief to be cure, stability of health functional food were rather low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health functional food.

5. 62 percentage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y have taken health functional food. The question of kind of health functional food showed that Dietary supplements and Red ginseng products included 60.6% and 39.4%.

6. The reason why taking health functional food included "to maintain health" reported by 53.6%, however, 32.5 %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reason for not taking health functional food was "do not need due to good health condition"

7. The most common response toward the effects of health functional food were showed "moderately effective". And also, they have usually taken for the period under 6 month, and paid from 5,000 won to 10,000 won every month. The biggest motivation for tak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 was suggestions by family members, relatives or friends. The main place of purchasing them was a special store.

8. 55.1% respondents said that they "check" the label which tells 「Health functional food」when they purchase them, and als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67.2% told that "they know the ingredients and the efficacy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74.1% said that they are "pretty expensive". Moreover, the most respondents showed that there was not enough information when purchasing, and they had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9.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why purchasing health functional foods, people either aged more or living in city, are tend to take more them. The more respondents were purchased health functional foods, the more they were having better eating habit and life style, having positive attitude toward reliability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conclusion, in order to give correct information, not only government but also customer and dietitian need to show collaborated effort to give useful information to the public for the public health and nutrition.
Author(s)
李枝姸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38
Alternative Author(s)
Lee, Ji-Yea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申東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배경 4
Ⅲ. 연구내용 및 방법 17
1. 조사대상 및 기간 17
2. 조사내용 및 방법 17
1) 일반 사항 조사 17
2) 식습관 및 생활습관 조사 18
3) 건강기능식품섭취의 실태 18
3. 통계분석방법 19
Ⅳ. 연구결과 및 고찰 20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2.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및 건강관련특성 22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 22
2) 조사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 27
3. 조사대상자의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인식도 29
1)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조사 29
2)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태도 32
(1)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태도 32
(2)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요인분석 34
(3)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도 35
4. 조사대상자들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36
1) 건강기능식품 섭취 경험 36
2)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이유 37
3) 건강기능식품의 섭취품목 38
4) 건강기능식품의 이용실태 조사 40
(1) 건강기능식품의 이용실태 40
(2) 건강기능식품의 구입동기 43
(3) 건강기능식품 구입시 ⌜건강기능식품⌟ 표시 확인 여부 45
(4) 건강기능식품 섭취 경험자의 견해 46
5) 건강기능식품의 지속적인 섭취여부 48
(1) 건강기능식품의 지속적인 섭취여부 48
(2)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후 경험에 따른 지속적인 섭취여부 49
5. 건강기능식품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0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유무 50
2) 식습관 및 생활습관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유무 52
(1) 식습관 및 생활습관 평가 항목 점수와 건강기능식품 섭취유무와의 관계 52
(2) 식습관 및 생활습관 태도와 건강기능식품 섭취유무와의 관계 54
3)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유무 55
4)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유무 57
(1)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점수와 섭취유무와의 관계 57
(2)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도와 섭취유무와의 관계 58
Ⅴ. 결론 및 제언 60
Ⅵ. 참고문헌 66
부록 71
Abstract 7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李枝姸. (2008). 제주지역 성인들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