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일간지 등장인물의 특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appear on the sections in Jeju's daily newspapers
Abstract
지역신문은 지역밀착성으로 인해 지역민과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은 지역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룸으로써 지역민에게 지역 사람들이나 단체들의 소식을 알리는데 중요한 메신저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일간지 등장인물의 특성 분석을 통해 어떠한 사람들이 어떠한 내용으로 보도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의 대표적인 일간지인 제주일보, 한라일보, 제민일보의 을 1996년부터 2006년까지 5년 단위로 10년 동안 총 5,363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이와 함께 실제 의 기사를 취사선택하는 게이트키퍼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병행했다.
분석결과 의 등장인물은 지역사회의 행정 관료나 유지, 그 밖의 엘리트층에 편중되어 전체의 40% 이상이 공무원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성별에 있어서는 남성이 전체의 90%를 차지할 만큼 높게 나타났다. 기사의 지면위치 분석에 있어서도 중앙정부,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등은 주로 시각적으로 집중도가 높은 윗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 일반사회단체 구성원이나 일반인들은 주로 집중도가 낮은 아랫부분에 위치하고 있었다.
한편 등장인물의 기사주제에 있어서는 사회사업, 행사개최, 격려/당부, 회의개최 등 주로 공적인 업무 수행이나 개인의 대외 PR용기사가 보도되고 있었다. 또한 등장인물의 관련사진 제시에 있어서는 대부분 증명사진 크기의 사진이 사용되고 있었다.
각 연도별 등장인물의 유형과 기사주제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과거 협회 및 단체 구성원과 일반인의 비율이 높았던 반면 현대로 올수록 공무원이나 경제계, 전문가 등 엘리트 집단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었으며, 기사주제 역시 현재로 올수록 공식적 업무수행과 더불어 인사이동, 수상/수여 등의 다소 개인적인 치적과 활동들에 중심을 둔 퍼블리시티 성격의 기사들이 보도되고 있었다.
특히 기사유형에 있어서는 1단 단신기사 위주의 비취재기사가 전체의 95%를 차지하고 있었던 반면 취재기사는 5%로 나타나 대부분 짧은 토막기사 형식으로 보도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취재기사에 등장하는 인물의 직업유형이 주로 공무원 집단에 분포되어 있는 반면 취재기사에서는 일반인이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하여 일반인의 등장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서도 시사하듯이 제주지역 일간지의 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이는 일반 사람들보다 특정한 사람들 즉, 공무원 위주의 행적 알리기식 보도경향을 보였다. 지역주민의 시각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보도하기보다는 지역사회의 행정 관료나 유지, 그 밖의 고위 엘리트층의 동정을 살핌으로써 기득계층만을 계속 부각시키고 키워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도행태는 제주지역 특유의 괸당문화로 인해 나타나는 지역밀착적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이라 볼 수 있으며, 이는 공식적 권력집단과 언론 간의 공생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는 예라 하겠다.
Local newspap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close relationships among local people considering these papers' closeness to the regions. In particular, the sections in these newspapers, play the role of a messenger, informing local residents about the events involving other local residents or organizations.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what kind of local people are reported in what cont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appear on the sections in daily newspapers in Jeju.
The study analyzed a total of 5,363 articles which appeared from 1996 to 2006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Jeju daily newspapers including Jejuilbo, Hallailbo, and Jeminilbo. This analysis was conducted in tandem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gatekeepers, who select and edit articles on the sections.
Results showed that most articles were partial to administrative officials, people of influence, or those who were in the elite class in these regions, and over 40% of the articles were allotted to government officials. In terms of gender-based distribution, most articles introduced men, taking over 90% of the articles. In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of articles in the newspapers, articles on peopl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provincial offices, and local councils were often found on the upper part of the newspaper, which has high visual concentration, whereas those for the members of ordinary social organizations or citizens were usually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newspapers.
Regarding the subjects of these articles, most articles reported official businesses or promotional articles for individuals, such as social projects, events, encouragement or suggestions, or meetings. Furthermore, most articles used ID card size photos of persons featured in the artic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types of people and article subjects by each year showed that while the ratio of members of associations or organizations, or normal citizens was high in the past, the ratio of officials, business people, or specialists and others in the elite groups increased as the articles became more recent. More promotional articles served as subjects of the articles compared to personal achievements and activities, e.g. personnel appointments or awards as well as official businesses.
Particularly, non-news articles based on one column articles took up over 95% of the total articles, and only 5% of these articles were news articles. Additionally, the types of job of the people who appeared on these non-news articles were mainly government officers, and those of people who appeared on the news articles were mainly ordinary citizens. This indicates an increase in the appearance of ordinary citizens in newspapers.
As these results showed, the sections in Jeju daily newspapers exhibited a tendency to report achievements and events involving people in specific classes, such as government officials, rather than ordinary citizens. These articles were recognizing and promoting vested classes by focusing more on what was happening with administrative officials, people of importance, or those who were in elite classes, rather than on those of local people from the viewpoint of the local people.
Such tendency may be attributed to the specificity of daily newspapers in Jeju, which have been close to the local communities, caused by Jeju's unique 'Gwoendang Culture'. This serves as an example from which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official power groups and the media can be inferred.
Author(s)
이경미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33
Alternative Author(s)
Lee,Kyong-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언론홍보학과
Advisor
김경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분석 7
1. 이론적 논의 7
1) 게이트키핑 7
2) 지위부여기능 10
2. 선행연구 분석 13
1) 뉴스선택 과정으로의 접근 13
2) 보도행태 및 보도경향으로의 접근 17
3) 정보원(취재원) 활용경향으로의 접근 18

Ⅲ. 제주지역 일간지 현황 21

Ⅳ. 연구방법 24
1. 분석대상 신문선정 24
2. 분석기간 25
3. 분석단위 25
4. 분석유목 27
5. 분석방법 30
6. 신뢰도 검증 30

Ⅴ. 연구결과 및 논의 31
1. 에 대한 분석결과 31
1) 신문사별 등장인물의 직업유형 분석 31
2) 신문사별 등장인물의 지위유형 분석 33
3) 신문사별 등장인물의 성별 분석 35
4) 지면위치에 따른 등장인물의 직업유형 분석 36
5) 지면위치에 따른 등장인물의 지위유형 분석 38
6) 지면위치에 따른 등장인물의 성별 분석 40
2. 에 대한 분석결과 41
1) 신문사별 등장인물의 기사주제 분석 41
2) 신문사별 등장인물의 사진제시 분석 43
3. 에 대한 분석결과 44
1) 연도별 등장인물의 직업유형 분석 44
2) 연도별 등장인물의 지위유형 분석 47
3) 연도별 등장인물의 성별 분석 49
4) 연도별 등장인물의 기사주제 분석 50
5) 연도별 등장인물의 기사주제 재분석 53
4. 에 대한 분석결과 55
1) 신문사별 등장인물의 기사유형 분석 55
2) 연도별/신문사별 등장인물의 기사유형 분석 56
3) 연도별 기사유형에 따른 등장인물의 직업유형 분석 57
4) 연도별 기사유형에 따른 등장인물의 지위유형 분석 59
5) 연도별 기사유형에 따른 기사주제 분석 60
6) 연도별 기사유형에 따른 성별 분석 61
5. 연구결과 요약 62

Ⅵ. 결론 및 제언 66
1. 결론 및 논의 66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0

【참고문헌】 73
【ABSTRACT】 80
【부록: 심층면접지】 83
【부록: 코딩지】 8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이경미. (2007). 제주지역 일간지 등장인물의 특성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