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일부 중학생의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Students' Recognition and Acceptance for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at Middle School in Jeju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and acceptance for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to find out the way to put into practical use the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to school food services at middle school in Jeju. So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December 10, 2008 to December 24, targeting at 200 middle school students, girl students and boy students, living in eight regions in Jeju province in part, collected 752 questionnaires of 800 ones(collection ratio: 94%), and used 726 questionnaires for statistic materials except 26 unfaithful ones.

The summarized result is as followings.
First, investigation objects were men 50.6%, women 49.4% in sex, grade1 34.1%, grade2 33.9%, and grade3 32% in grade, Jeju-si region 50.3%, west area eup and myun 49.7% in living region, nuclear family 71.1% in family composition, 40~45 years old 53.5% in mothers' age, high school graduation 54.9% in mothers' academic history, full time mother 29.9% in mothers' job, 1 million ~ 2 million 38.4% in monthly income, and mother 77.3% in food servers at home, highest.
Second, recognition on traditional food was average 36.73 points versus total 50 points, high recognition. Grade3(38.21 points) in grade, and west area eup and myun students(35.80 points) in living regions had high recognition.
Third, concernments on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were respectively 2.48 points and 2.50 points, out of 5 scale. "Mass communication" was 44.6%, 36.4% in the motivation of concernments, highest. Pride of the subjects on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was 3.23 points, 3.00 points respectively. Traditional food which the subjects thought to be proud was kimchi(35.4%), and native food to be proud was abalone porridge(27.4%).
Fourth, acceptance of the subjects for the day of traditional and local food was 3.13 points in school foodservices. The most favorite operation cycle was one time a month(26.2%).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ith the day of traditional and local food was 2.87 points out of 5 scale.
Fifth, experience in taking in local food and traditional food offered in school food services was out of the school(house, eating house) in the case of pajjuk and jeonbokjuk in the kind of bap and juk, galchihobakkuk and hobakipguk in the kind of guk and chigae, gogisanjeok, okdomgui, jogigui, dombaegogi, in the kind of gui, jeok, zzim and jorim, gosarinamul, tangpyeongchae, bindaeddeok, saengseonjeon, beoseotjeon, aehobakjeon, umunaengchae in the kind of namul and jeon, chapsaldeok and injeolmi in the kind of ddeok, yeolmujangachi, altarikimchi, pakimchi, buchukimchi, ggaeipjangachi, and yangpajangachi in the kind of kimchi and jangachi.
Sixth, mostly, boy students' recognition in food kinds of the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offered in school food services was higher than girls'. Girl students'recognit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musaengchae(p<.001), totnamul(p<.01), and altarikimchi(p<.001). Recognition in the studentsliving in west are as was high in living region.
Seventh, mostly, boy students had high acceptance of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classified with the kind, offered in school food services. Mostly, students living in west eup and myun areas had high recognition in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in living areas. Students living in Jeju province had significantly high recognition of ssalbap(p<.001), bibimpap(p<.001),ddeokguk(p<.01), gamjatang(p<.05), doenjangjjigae(p<.05), and gogisanjeok (p<.001).
Eighth,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kind of bap and juk and the kind of kimchi and jangachi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and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kind of ddeok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ecognition of traditional foods such as the kind of guk and jjigae, the kind of namul and jeon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cceptance of traditional food. Recognition in Jeju local food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cceptance of Jeju local food. It means that traditional food and Jeju local food had a strong significant influence on acceptance.

The summarized results suggest as followings. School foodservices have to offer students the chances to experience various tastes of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and have to search for improvement methods of tastes and cooking methods by using various cooking methods of traditional food. In addition,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have to search for the way to enhance recognition in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such as increasing operation cycle and have to offer direct education on menu and origin of traditional food and local food and offer information continuously.
본 연구는 제주지역 학교급식의 "전통․향토음식의 날" 시행과 더불어 제주지역 중학생들의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향후 중학생들의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을 학교급식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일부 소재의 8곳의 남녀 중학생 총 8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 10일부터 12월 2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배부된 총 800부의 설문지 중 752부(회수율 : 94%)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26부를 제외하고 726부를 모두 통계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자 50.6%, 여자 49.4%이며, 학년별로는 1학년 34.1%, 2학년 33.9%, 3학년 32.0%였고 거주지역에 있어서는 제주시지역 50.3%, 서부읍면지역 49.7%였으며, 가족의 구성형태는 핵가족 71.1%, 어머니의 연령은 40~45세가 53.5%,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 54.9%, 어머니의 직업은 전업주부가 29.9%, 월평균 소득은 100~200만원이 38.4%, 집에서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은 어머니가 77.3%로 가장 높았다.
둘째,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도는 총점 50점에 대해 평균 36.73점으로 나타나 조사대상자들의 인식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학년별로는 3학년(38.21점), 거주지역에 있어서는 서부읍면지역 학생들(35.80점)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관심도는 각각 2.48점, 2.50점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관심을 갖게 된 동기는 "매스컴"이 각각 44.6%, 36.4%로 가장 높았으며, 자부심에 있어서는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이 각각 3.23점, 3.00점으로 나타났고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전통음식은 김치(35.4%),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향토음식은 전복죽(27.4%)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학교급식에서 시행하는 전통․향토음식의 날에 대한 선호도는 3.13점으로 나타났고, 운영주기에 대해서는 한 달에 1회(26.2%)가 가장 많았으며, 전통․향토음식의 날에 대한 만족도는 2.87점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만족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급식에서 제공된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섭취경험에 있어서는 밥․죽류의 팥죽과 전복죽, 국․찌개류 중 갈치호박국과 호박잎국, 구이․적․찜․조림류 중 고기산적, 옥돔구이, 조기구이, 돔배고기, 나물․전류 중 고사리나물, 탕평채, 빈대떡, 생선전, 버섯전, 애호박전, 우무냉채, 한치초회, 떡류 중 찹쌀떡과 인절미, 김치․장아찌류 중 열무김치, 알타리김치, 파김치, 부추김치, 깻잎장아찌, 양파장아찌 섭취경험의 경우 학교급식 외(가정, 음식점)에서 섭취한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급식에서 제공된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음식종류별 인지도는 대부분 남학생의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고, 그 중 무생채(p<.001), 톳나물(p<.01), 알타리김치(p<.001)는 여학생들의 인지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지역에 있어서는 대부분 서부읍면지역 학생들의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학교급식에서 제공된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음식종류별 기호도는 대부분 남학생들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거주지역에 있어서는 대부분 서부읍면지역 학생들의 인지도가 높았으며, 쌀밥(p<.001), 비빔밥(p<.001), 떡국(p<.01), 감자탕(p<.05), 된장찌개(p<.05), 고기산적(p<.001)에 대해서는 제주시지역 학생들의 인지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밥․죽류, 김치․장아찌류의 인지도와 기호도는 약한 정(+)의 상관관계를, 떡류의 인지도와 기호도는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국․찌개류, 구이․적․찜․조림류, 나물․전류 전통음식 인지도는 전통음식 기호도와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제주향토음식 인지도는 제주향토음식 기호도와는 강한 정(+)의 상관관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전통음식과 제주향토음식 인지도가 기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교급식을 통해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의 다양한 맛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위해서는 전통음식의 다양한 조리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맛과 조리방법을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운영주기를 늘리는 등 학교급식에서의 전통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영양(교)사를 통한 전통․향토음식의 메뉴와 유래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과 지속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uthor(s)
신지희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79
Alternative Author(s)
Shin, Ji-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채인숙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

Ⅱ. 이론적 배경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

Ⅲ. 연구내용 및 방법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8
1. 조사대상 및 기간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8
2. 조사내용 및 방법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8
3. 통계분석방법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2

Ⅳ. 연구결과 및 고찰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3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3
2. 조사대상자의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5
1)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5
2)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관심도 및 이해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1
3)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자부심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7
3. 학교급식에서 실시하는 "전통 ․ 향토음식의 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3
1) 전통․향토음식의 날을 지정운영에 대한 선호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3
2) 전통․향토음식의 날 운영주기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4
3) 전통․향토음식의 날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6
4)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전통․향토음식 섭취량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9
4.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섭취경험, 인지도 및 기호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2
1) 밥․죽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2
2) 국․찌개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8
3) 구이․적․찜․조림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4
4) 나물․전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0
5) 떡류, 김치․장아찌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6

Ⅴ. 결론 및 제언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72

Ⅵ. 참고문헌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79

부 록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79
Abstract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8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신지희. (2009). 제주지역 일부 중학생의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