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해변과학캠프가 초ㆍ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Jeju Beach Science Camp on a chang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해변과학캠프를 통하여 과학캠프의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참여한 학생들이 프로그램 선호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캠프에 참여한 대상은 초ㆍ중학생 360여명과 50여명의 지도교사였으며, 2박 3일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구성은 8개 영역에 20여개 세부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다. 프로그램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수공적 기능에서는 해보기, 만들기를, 탐구 기능에서는 기초탐구를, 지식 기능에서는 개념 단계를, 태도 영역에서는 즐김 단계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캠프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결과를 보면, 학생스스로 직접 관심이 많아서라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의 권유에 의해 참가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운영 결과, 다수의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가 높았으며, 그저 그렇다와 재미없다. 라고 응답한 학생도 23.5%로 나타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캠프 후 전체적인 태도의 변화를 살펴봤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두 집단은 선발이 아닌 선착순에 의한 같은 집단이고, 태도 변화를 일으키기에는 캠프 기간이 너무 짧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영역별 과학에 대한 태도는 과학적 태도의 수용 항목에 대한 변화가 가장 컸고, 항목 내에서는 읍면 지역이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 비교적 과학캠프나 학교 밖 과학 활동을 접하기 어려운 학생들에게 과학캠프는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과학자의 평범성 및 과학적 태도의 수용 항목에 대해서 캠프 후에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과학적 탐구의 태도 및 과학 수업의 즐거움 항목에 대한 평균 점수는 오히려 점수가 떨어져 본 과학캠프가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의 모든 영역에 점수가 향상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성별 학년별 논리 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프로그램이 달라지므로 그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캠프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수가 너무 많고 초등학생에서부터 중학생까지 참여하는 캠프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년별 또는 성별을 나누어서 운영하는 새로운 형태의 캠프 운영이 필요하고, 선발 방법에 있어서도 과학반이나 학교의 추천에 의한 방법이 필요하다. 과학에 대한 태도 7가지 하위 영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eju Science Camp devised to know how the students`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reference were affected by the program. 360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and 50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2nights and 3days. This program was divided into 8 domains and the domains have 20 specific programs.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science changed in a favorable way in that the students preferred trying and making by themselves in hands operated skill domain, simple inquiring in researching domain, concept stage in knowledge domain, enjoying stage in attitude domain. The students assessment on the program showed that their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was encouraged by others rather than their interest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develop a program which can motivate the students` interests because there are 23.5% of the students said that "the program was so-so and not interesting."
By analyzing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ing the whole attitudes of the two groups after the camp. This is because the groups were made by the order of arrival not selecting the students and three days of experience at this camp must have been too short to influence their attitude toward the science. Among the categories, there was the most changes in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in accepting domain. We can suppose that the program is more effective for the students who have less chances to experience science activities or science camps because among the domains, small communities showed the most changes in the attitudes. The average result was generally high in the category of scientist`s commonness and the acceptance of scientific attitude but the average result was somewhat low in the category of the attitudes of scientific research and the interesting degree of the science class. By judging from the results we can see that not all the results of the categories were improved by the programs.
In conclusion, we need to develope proper programs matching to the students` preference to get the ideal results because the programs preferred chan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gender or grades. The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amps are too many to control so we need new types of camps managed by dividing into genders or grades. We also need other ways to select students like science class or school recommendation.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e new programs satisfying the seven categories attitudes toward science.
Author(s)
강선탁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74
Alternative Author(s)
Kang, Seon Ta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생물교육
Advisor
오홍식
Table Of Contents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의 제한점 3
4. 용어 정의 3

II. 이론적 배경 5
1. 과학캠프 5
2. 과학관련 태도에 관한 이론 8
3. HASA 교육과정 기준안 10

III. 연구 방법 14
1. 연구의 절차 14
2. 연구 대상 15
3. 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15
4. 검사도구 15
5.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17

IV. 결과 및 논의 18
1. 과학캠프의 운영 18
2. 과학캠프 프로그램 개발 적용 18
3. 과학캠프 세부프로그램 이원분류 결과 19
4. 과학캠프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 22
5. 과학캠프 평가 27
6. 과학캠프를 통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29
V. 결론 및 제언 44
1. 결론 44
2. 제언 45

참고문헌 46
부록 49
Summary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선탁. (2010). 제주해변과학캠프가 초ㆍ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Biolog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