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규방공예는 바깥출입이 자유롭지 못했던 조선시대의 부녀자들이 규방이라는 공간 안에서 생활에 필요한 주머니, 보자기, 기타 침선소품 등을 만들던 작업이었다. 이 중 자수 규방공예품은 규방공예품이 실용적인면 뿐만 아니라 장식성을 더하여 규방안에서 지내던 부녀자들의 생각과 염원을 표출하여 주는 도구이기도 하였다.
현대에 와서 많은 나라들이 각자의 고유문화를 내세운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문화상품 개발에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많은 기관에서 문화상품 개발을 꾸준하게 진행해 왔으나 재현품이 주류를 이루고 대다수의 상품들이 중국에서 저렴한 가격에 낮은질로 제작되면서 이미지가 안좋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많은 고유문화 중에서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의 종류를 분류하고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박물관 도록 및 서적을 통한 간접고찰방법과 박물관 유물을 통한 직접고찰방법을 병행하여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 429점을 중심으로 색상, 문양, 소재, 자수기법, 장식기법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전통장식기법인 자수법을 이용한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한국의 전통 규방자수공예소품에는 물건을 담는 용도의 주머니류, 물건을 싸거나 덮는 용도의 보자기류, 담거나 싸고, 덮는 용도가 아닌 바느질에 필요한 도구나 그 이외의 것인 기타 소품의 유형이 있다. 여기서 분석한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에 나타난 유형별 출현율을 보면 주머니류(44.52%), 보자기류(16.78%), 기타 소품류(38.70%)로 주머니류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의 의복인 한복에는 조끼가 들어오기 전까지 주머니가 없어 실생활에서 불편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대다수가 사용한 주머니가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몸에 항상 지니고 다니는 주머니류에는 다양한 상징적인 길상문양을 화려하게 자수 놓았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의 색상별 출현율을 보면 홍색(53.85%), 백색(12.35%), 청색(10.02%), 황색(6.76%)의 순으로 나타났다. 홍색의 비율이 많은 이유는 붉은색이 귀신을 물리친다는 벽사의 의미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에 자수로 사용된 문양의 출현율을 보면 식물문(20.37%)과 식물문+동물문(17.59%)을 가장 많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꽃이나 꽃과 나비를 자수한 규방공예품이 가장 많았다. 이는 규방안에서 가장 쉽게 관찰할수 바깥풍경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한가지의 문양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30.55%)보다 2∼3개의 문양을 함께 사용한 복합형의 비중(69.45%)이 월등하게 높았다. 이것은 단독문양보다 여러 종류의 문양을 함께 사용하여 다양한 상징성을 함축적으로 전달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문양의 배치구도에 따른 출현율은 회화형(56.67%), 충진형(42.16%), 산점형(1.17%)으로 회화형의 비중이 월등하게 높았다. 회화형에는 십장생도나 꽃과 나비가 많았고 충진형은 골무같은 작은 소품에 많이 사용되었고 산점형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자수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 소재는 단(73.43%)이며 명주(15.03%), 면(5.59%), 모(4.9%), 사(0.70%), 삼베(0.35%)의 순으로 두께감이 있는 단의 견직물이 자수에 적합했고 삼베같이 성근 직물은 실용성을 강조한 이불보 같은 보자기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장식성을 지닌 규방소품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자수 공예품 유물 중에는 평수기법(69.90%)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음수기법(44.21%), 씨앗수기법(29.40%), 평수+징금수기법(25.69%), 자련수기법(25.46%), 가름수기법(19.91%) 등의 순서인데 뛰어난 솜씨가 없어도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평수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보이고 대부분의 자수가 한가지 기법만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기법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에는 여미거나 옷에 부착하기 위한 실용성과 장식성을 위해 끈(32.48%), 끈+매듭+술(18.98%), 끈+술(12.04%)등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외 단추, 괴불, 고추 등의 장식을 매달은 경우도 있었다.
Gyubang crafts refer to women's daily necessities craft such as Jumoni (pouches), Bojagi (wrapping cloths), and other accessories made by women in the Joseon Dynasty era, who were not able to freely go outside. Among these crafts, embroidery handicrafts had the practicality of women's handicrafts as well as decorative features. In addition, they were also a vehicle for the thoughts and wishes of women who had spent most of their time inside gyubang.
Recently, many countries have trie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from their own unique culture. Korea also has had an increasing interest in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and many agencies or institutions have kept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However, most of the products are reproduced goods made in China with low quality and low price, which led to a damage of their reput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mbroidery handicrafts of the Joseon Dynasty era an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from a modern and practical viewpoint.
Through the second-hand study of books and museum collection books as well as the first-hand study of relics in museums, 429 pieces of handicraft embroidery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ir colors, patterns, embroidery methods, and decoration techniqu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The types of embroidery handicraft items included jumoni (pouches used for carrying small objects), bojagi (clothes used for wrapping or covering objects), and other accessories used for sewing or for other purposes. Most of the handicrafts were jumoni (44.52%), followed by bojagi (16.78%) and other accessories (38.70%). Jumoni seemed to be used a lot because there were no pockets attached o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until a vest is introduced. Since people carry it with them all the time, various kinds of lucky symbols were embroidered on jumoni.
The study of patterns used in embroidery handicrafts showed plant patterns (20.37%) and animal and plant patterns (17.59%) had been greatly used. Flower patterns or flower and butterfly patterns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because flowers and butterflies may be the easily observable outside view from the gyubang area. In addition, compound types using two or three patterns together (30.55%)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an individual pattern used alone (30.55%). It can be inferred that women tried to express various symbols at a timeby using several patterns together rather than using only one pattern.
The study of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s showed that pictorial types (56.67%) werethe most frequently used and dense types (42.16%) and sparse types(1.17%) were followed. In the pictorial type, Shibjangsaeng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flowers, orbutterflie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while the dense type was mostly used in small items such as thimbles. The sparse type was rarely used.
The study of materials used for embroidery showed that dahn(73.43%) was us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silk (15.03%), cotton (5.59%), wool (4.9%), Sa (0.70%), and linen (0.35%). Dahn, thick silk fabric, seemed to be suitable for embroidery. Linen, sparse fabric, was rarely used although it was frequently used for bojagi.
The study of stitches used in the relics of embroidery handicrafts showed that satin stitch (69.90%)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outline stitch (44.21%), French nut stitch (29.40%), satin and running stitch (25.69%), long and short stitch (25.46%), double leaf stitch (19.91%), and so on. Satin stitch seemed to be used a lot because it is easyto learn and to express various things. Most of the embroidery handicrafts showed that more than one stitches were used.
For both practical and decorative purposes, women's handicraft was attached with strings (32.48%), string and maedeup (Korean knots) and tassel (18.98%), string and tassel (12.04%). In addition to those, it was decorated with buttons, goebul (an embroidered pouch), pepper made of fabric, and so on.



Key words: embroideredhandicrafts, Jumoni, Bojagi, other accessories
Author(s)
권수연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09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장현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Ⅱ.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의 종류 4
1. 주머니류 4
2. 보자기류 21
3. 기타 소품류 32

Ⅲ. 규방자수공예소품의 조형적 특성 39
1. 색상 41
2. 문양 46
3. 소재 53
4. 자수기법 57
5. 장식기법 60

Ⅴ. 결론 65


참고문헌 67
ABSTRACT 6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권수연. (2009).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