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종가시나무, 조록나무 및 수련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활성성분 규명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smetically Active Compounds from Quercus glauca, Distylium racemosum and Nymphaea tetragona
Abstract
With a view of proper utilization of plants in Jeju island, we have studied three plant species in order to develop functional cosmetic additives. Dried samples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 crude extracts were subjected to solvent fractionations. The active components from the selected fractions were obtained by a series of chromatographic separations. Phytochemical study of the 70% ethanol extract of Quercus glauca, Distylium racemosum, Nymphaea teragona affored seven new compounds along with thirty-three known compounds. The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made using extensive 1D and 2D NMR, HR FAB-MS experiments. We have examined the isolated compounds for the activities on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ion as well as DPPH radical scavenger.
Author(s)
고려경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313
Alternative Author(s)
Ko Ryeo Kye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화학과
Advisor
李南昊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시약 및 기기 = 7
Ⅲ. 연구과제 1 : '종가시나무 잎'의 유효성분 및 활성검색 = 8
1. 재료 = 8
2. 실험방법 = 10
2-1. 시료의 추출 및 유효성분 분리 = 10
2-1-1. 종가시나무 잎의 70% EtOH 추출물 및 용매분획 = 10
2-1-2. Celit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분획과정 = 10
2-1-3. EtOAc 분획물에서 compound 1-4 분리과정 = 10
2-1-4. EtOAc 분획물에서 compound 12, 13 분리과정 = 11
2-1-5. n- Butanol 분획물에서 compound 6-11 분리과정 = 11
2-2. 활성 검색 = 13
2-2-1.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 13
3. 결과 = 14
3-1. 에탄올 추출물과 각 용매분획들에 대한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 14
3-2. Compound 1의 분리 및 구조 확인 = 15
3-3. 종가시나무(잎)에서 11종의 다른 화합물 확인 = 23
3-4. 종가시나무(잎)에서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실험결과 = 29
4. 결론 = 31
Ⅳ. 연구과제 2 : '조록나무 가지'의 유효성분 및 활성검색 = 32
1. 재료 = 32
2. 실험방법 = 34
2-1. 시료의 추출 및 유효성분 분리 = 34
2-1-1. 조록나무 가지의 70% EtOH 추출물 및 용매분획 = 34
2-1-2. Celit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분획과정 = 34
2-1-3. Celite Et2O 분획물에서 compound 1-13, 15-18 분리과정 = 34
2-1-4. Celite EtOAc 분획물에서 compound 8, 14, 19, 20 분리과정 = 35
2-2. 활성 검색 = 37
2-2-1.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 37
2-2-2. Tyrosinase inhibition test = 37
2-2-3. Elastase inhibition test = 38
3. 결과 = 39
3-1. 에탄올 추출물과 각 용매분획들에 대한 활성 실험결과 = 39
3-1-1. 항산화 실험결과 = 39
3-1-2. Tyrosinase 저해 활성 실험결과 = 40
3-1-3. Elastase 저해 활성 실험결과 = 40
3-2. Compound 16의 분리 및 구조 확인 = 41
3-3. 조록나무(가지)에서 S-1과 같은 종류의 3종에 화합물 확인 = 50
3-4. 조록나무(가지)에서 2종에 다른 새로운 화합물 확인 = 55
3-5. 조록나무(가지)에서 14종의 다른 화합물 확인 = 59
3-6. 조록나무(가지)에서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활성실험 결과 = 66
3-6-1. 조록나무(가지)에서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실험결과 = 66
3-6-2. 조록나무(가지)에서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tyrosinase inhibition test = 68
3-6-3. 조록나무(가지)에서 분리된 화합물 대한 elastase inhibition test = 70
4. 결론 = 72
Ⅴ. 연구과제 3 : '수련 뿌리'의 유효성분 및 활성검색 = 74
1. 재료 = 74
2. 실험방법 = 76
2-1. 시료의 추출 및 유효성분 분리 = 76
2-1-1. 수련 뿌리에서 70% EtOH 추출물 및 용매분획 = 76
2-1-2. Celit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분획과정 = 76
2-1-3. Celite Et2O 분획물에서 compound 1-8 분리과정 = 76
2-2. 활성 검색 = 78
2-2-1.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 78
2-2-2. Tyrosinase inhibition test = 78
3. 결과 = 79
3-1. 에탄올 추출물과 각 용매분획들에 대한 활성 실험결과 = 79
3-1-1. 항산화 실험결과 = 79
3-1-2. Tyrosinase 억제 실험결과 = 80
3-2. Compound 6의 분리 및 구조 확인 = 80
3-3. 수련(뿌리)에서 7종에 다른 화합물 확인 = 86
3-4. 수련(뿌리)에서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활성실험 결과 = 90
3-4-1. 수련(뿌리)에서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실험결과 = 90
3-4-2. 수련(뿌리)에서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tyrosinase inhibition 실험결과 = 92
4. 결론 = 94
Ⅵ. 결론 = 95
Ⅶ. 참고문헌 = 9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려경. (2008). 종가시나무, 조록나무 및 수련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활성성분 규명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hemistr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