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량부하 걷기 운동이 비만 여대생의 건강관련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 weighted load walking on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lipid i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12주간의 중량부하 걷기운동이 비만 여자대학생의 건강관련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대 여자 대학생 21명을 선정한 후 통제그룹 7명, 걷기운동그룹 7명, 중량부하 걷기운동그룹 7명으로 분류하여 최대산소섭취량, 최대환기량, 무산소성역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 지방률, TG, TC, HDL-C, LDL-C에 어떠한 개선 효과를 보이는지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관련체력에 미친 효과
1) 심폐기능은 12주간 중량부하 걷기운동 후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환기량은 그룹 간, 그룹 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무산소성 역치는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처치기간 간에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걷기운동그룹과 중량부하 걷기운동그룹은 통제그룹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근력은 12주간 중량부하 걷기운동 후 그룹 간, 그룹 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검증 결과 중량부하 걷기운동그룹에서 통제그룹과 걷기운동그룹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근지구력은 12주간 중량부하 걷기운동 후 그룹 간, 그룹 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유연성은 12주간 중량부하 걷기운동 후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처치기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신체조성은 12주간 중량부하 걷기운동 후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에서 그룹 간, 그룹 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혈중지질에 미친 효과
1) TG는 12주간 중량부하 걷기운동 후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처치기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검증 결과 중량부하 걷기운동그룹과 걷기운동그룹에서 통제그룹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TC, HDL-C, LDL-C은 12주간 중량부하 걷기운동 후 그룹 간, 그룹 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중량부하 걷기운동이 무산소성역치, 근력, TG 요인에서 유의하게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산소섭취량, 최대환기량, 근지구력, 유연성,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 지방률, TC, HDL-C, LDL-C 요인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체적인 증가나 개선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장기간의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중량부하 걷기운동을 통해 비만 여대생의 건강관련체력을 향상시키고 혈중지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12 weeks weighted load walking on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lipid i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which are control group, walking exercise group and weighted load walking group. Each group was consist of 7 subjects. The prescription program of walking and weighted load walking exercise was each loaded 60 minutes / 4 days / 12 weeks, each time factors or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lipids were measured. Measurement of pre & post prescription on each program was performed at 0 and 12 week. All data were express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using SPSS program, and two-way ANOVA(Scheffe) was performed to test interaction of groups and periods.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all statistics was set at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d within the groups for O2max and VE of cardiorepiratory in health-related fitness. A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but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the periods. In post-hoc test, AT was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in the walking group and the weighted load walking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between and within the groups, but muscular strength was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in the weighted load walking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walking group in post-hoc test. Muscular endurance and body com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d within the groups.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eriods. T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but not different between the periods. In post-hoc test, TG was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in the walking and the weight load walking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C, HDL-C, LDL-C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d within the groups.
In conclusion, AT and muscular strength in health-related fitness had positive effect and TG in blood lipids could be also improved through the 12 weeks walking and weighted load walking program. When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he exercise program of the study was not sufficient to apply for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for application, and necessary exercise program which can be available during life span.
Author(s)
노동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50
Alternative Author(s)
Roh, Dong-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이창준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3. 연구의 가설 = 4
4. 연구의 범위 = 5
5.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1. 비만 = 6
1) 비만의 정의 = 6
2) 비만의 원인과 분류 = 7
3) 비만의 진단 = 8
2. 건강관련체력(health-related fitness) = 11
1) 심폐기능 = 12
2) 근력 = 12
3) 근지구력 = 13
4) 유연성 = 13
5) 신체조성 = 14
3. 걷기 운동 = 14
Ⅲ. 연구 방법 = 17
1. 연구 대상 = 17
2. 실험 설계 = 17
3. 측정항목 및 방법 = 18
1) 측정항목 = 18
2) 측정 방법 및 도구 = 19
4. 운동방법 = 22
1) 운동형태 = 22
2) 운동강도 = 22
3) 운동시간, 빈도, 기간 = 22
4) 운동프로그램 = 23
5. 자료처리 = 24
Ⅳ. 연구 결과 = 25
1. 건강관련체력의 변화 = 25
1) 심폐기능의 변화 = 25
2) 근력(각근력)의 변화 = 28
3)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의 변화 = 30
4) 유연성(좌전굴)의 변화 = 31
5) 신체조성의 변화 = 32
2. 혈중지질(blood lipids)의 변화 = 37
1) TG(Triglyceride)의 변화 = 37
2) TC(Total Cholesterol)의 변화 = 38
3)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변화 = 39
4) LDL-C(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변화 = 40
Ⅴ. 논의 = 42
1.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 42
1)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 42
2) 근력(각근력)에 미치는 영향 = 44
3)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에 미치는 영향 = 44
4)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45
5)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 46
2. 혈중지질(blood lipids)에 미치는 영향 = 48
1) TG(Triglyceride)에 미치는 영향 = 49
2) TC(Total Cholesterol)에 미치는 영향 = 50
3)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에 미치는 영향 = 50
4) LDL-C(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에 미치는 영향 = 51
Ⅵ. 결론 = 53
1. 건강관련체력에 미친 효과 = 53
2. 혈중지질에 미친 효과 = 54
참고문헌 = 5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노동진. (2009). 중량부하 걷기 운동이 비만 여대생의 건강관련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ines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