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교 사회과 통합형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ntegrated Teaching Model for a Middle School
Abstract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볼 때 1980년대 이후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이 종래의 분과형에서 통합형으로 개편,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외형적으로는 통합을 지향하고 있으나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은 아무런 유기적 연계성을 가지지 못한 채 대단원이나 중단원별로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다. 구체적인 학습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통합의 이점을 살릴 수 있는 실질적인 통합이 미흡한 실정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불완전한 교과서를 가지고 불완전한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사회과의 학습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인식 아래 본 연구는 현행 제7차 교육과정과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통합의 실태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집트 문명을 사례로 통합형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설문 조사를 통한 피어 디브리핑(peer debriefing : 동료 연구자에 의한 조언과 지적)방법에 의해 구체적인 교수․학습 수준에서 통합의 가능성과 학습 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된 연구의 문헌과 중학교 10종의 1학년 사회교과서들을 비교, 분석 하면서 살펴보았다. 둘째,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인 통합교육과정의 개념, 필요성, 유형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회과 통합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은 어떤 모습인지 살펴보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상에 나타난 통합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현행 교육과정에서 형식적인 통합을 탈피하여 교수․학습 수준에서 통합이 가능한 내용을 재구성하여 이집트 문명을 사례로 통합형 수업 모형을 설계함으로써 통합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넷째, 통합형 수업 모형을 동료 교사들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통합의 가능성과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게 되었다.
첫째, 교육과정 차원의 통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현재로서는 교수․학습 수준에서 통합 밖에 없다. 교수․학습 수준에서의 통합은 가능성과 효율성을 아울러 갖고 있다.
둘째, 통합적 교육과정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이다.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에서는 각각 분과 전공을 갖고 있는 교사 혼자 지식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작업은 대단히 고난도의 작업이다. 지리, 역사, 일반사회처럼 전공이 다른 교사들의 분업적 원리에 의한 상호 연대가 중요하다. 즉, 교과 모임이나 교사 협의회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협동 작업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이집트 문명에 한정하여 통합형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집트 문명 뿐만 아니라 통합이 가능한 단원인 경우는 통합형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교수․학습 수준에서 문답법 위주로 통합을 시도하면서 그림 자료를 사용하였다. 문답법뿐만 아니라 역할 놀이, 협동 학습 등 다양한 수업 방법과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수업 자료를 활용할 필요도 있다.
끝으로 제언을 한다면, 현재의 형식적인 통합을 탈피하여 통합이 가능하고 바람직한 단원은 내용면에서 확실하게 통합하고 나머지는 분리하여 분과형으로 구성하는 방안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In the transition of a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the social subject in the middle school has been revised from subdivision to integration since 1980. Although the revision is to integrate social subjects, the subjects such as geography, history and general social subjects are not closely connected. The subjects are just arranged in separate units. When looking into the composition of learning contents in detail, the integration even for its advantage needs improvements in practical manner. By teaching students with such incomplete textbook, the curriculum leads to hampering the efficiency of social subjects learning.
This study reviews the subjects of the 7th curriculums and the textbooks for social studies critically, and attempts to suggest an integrated social studies units, Egyptian civilization as an exmaple gearing effective learning in classroom teaching.
The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10 different kinds of the first graders'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s are compared and analyzed. Second, unified curriculums are considered with the concepts, necessity and patterns of contents.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are discussed in the integration on the curriculum and text book. Third, the contents are reconstructed that can be unified at the level of teaching and learning by avoiding the formal unity in the current curriculum. In such, an integrated teaching model was made on Egyptian civilization seeking the possibility of its unification. Finally, I analyzed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and the effect of studying with the unified teaching model from the questionnaire of my fellow teachers.
Less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Integration can provide efficient teaching and thus its necessit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integrated curriculum is teachers' ability to reconstruct the textbooks. It's very difficult for a teacher who majored in each specific section to gather and organize information. Teachers need to cooperate on the basis of their specialized principl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have group work exchanging useful information in school subjects or teachers council. As this study used graphic materials for the integration focused on the interrogatory method of teaching at the teaching and learning levels, it is necessary to use a wide range of teaching methods like role-playing, group studying as well as answers and questions method,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interests and take part in their classes. The units of social subjects which need or should to be integrated should be integrated in their contents. But other units if not easy to be integrated or ineffective in integration would be taught in separate as branches of social subjects.
Author(s)
송미화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77
Alternative Author(s)
Song,mi-hw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Advisor
손명철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배경과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3. 연구 동향 4
II. 현행 사회과 교과서의 통합적 접근 7
1. 사회과 통합의 필요성과 유형 7
2. 중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에 관한 인식의 전환 16
3.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19
4. 제7차 중학교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의 실태와 문제점 22
III. 사회과 통합형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27
1. 통합형 수업 모형 개발의 기본 방향 및 설계 27
2. 통합형 수업 모형의 실제 29
3. 통합형 수업 모형의 현장 적용 66
4. 통합형 수업 모형의 평가 66
IV. 결론 및 제언 68
참고 문헌 70
Abstract 7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송미화. (2007). 중학교 사회과 통합형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