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지리 수업에서 교수학적 변환의 실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in the Geography Class : the Korea Geography classes in high school by novice teachers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학교 지리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변환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초임지리교사의 한국지리 수업을 참여관찰하였다. 교육활동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업이며, 수업은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한다고 볼 때 교수학적 변환은 수업의 질적 향상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수학적 변환이란 교육적 의도에 의하여 교과 내용을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그 과정에는 인식론적인 두 과정인 개인화/맥락화와 탈개인화/탈맥락화가 순환적으로 나타난다. 개인화/맥락화가 개인에게 의미있는 지식의 형성과정이라고 한다면 탈개인화/탈맥락화는 방만하게 확장된 지식이 안정된 상태로 정리되는 과정으로서 지식을 표현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만드는 과정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와 타 교과의 연구로는 교수학적 변환의 개념과 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편이나 그 유형에 대한 정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적 변환의 유형을 실제 수업 상황에서 확인하고 유형화하여 각 수업 상황에 적합한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에 접근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참여관찰, 면담 등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교수학적 변환의 개념과 유형, 구조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교수학적 변환을 유형화하고자 노력하였다.
참여관찰은 2010년 3월 15일부터 4월 10일까지 25일간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에서 실시하였다. 참여관찰한 수업은 한국지리 교과내용 중 '기후단원'에 해당하고, 참여관찰 후 참여교사들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참여관찰의 방법은 실제 수업의 장면을 자세히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미시기술적인 연구방법을 채택하였고 소형녹음기를 교실 앞 교탁 위에 설치하여 수업의 전 과정을 녹음 후 전사하여 교수학적 변환 사례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수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교수학적 변환 유형은 지리 지식의 전달 유형에 따라 이해형 변환과 경험형 변환, 적용형 변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해형 변환이란 지리적 현상의 현재 상태를 이해시키기 위한 변환이고, 경험형 변환은 이해형 변환을 통하여 얻어진 지리 지식을 학습자 스스로의 활동과 분석을 위한 교수학적 변환이다. 적용형 변환은 지리 개념 및 지식을 다른 사례에 적용해 보거나 해석 또는 변환의 방향을 예측하도록 하는 변환에 해당한다.
둘째, 초임지리교사의 수업 사례에서는 극단적 교수현상 중 토파즈 효과를 가장 많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수업 종료 후 면담과정에서 수업의 진도에 치중하여 학습자의 답변 기회를 박탈하거나 연관성이 적은 경험이나 사례를 수업과 연결하려는 시도 혹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교과내용을 단순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셋째, 초임지리교사의 교수학적 변화의 문제점은 사실적 지식의 전달을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어 교수학적 변환의 유형 중 이해형 변환이 주로 나타나고 원리의 이해에 필요한 경험형 변환이나 적용형 변환이 드물게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과내용의 체계적 이해와 교사들의 수업 경험의 공유, 지리 교과서 내용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제 지리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변환의 유형화와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했다는 의의가 있으며 지리 교과에서의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는데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사례 연구 수의 제한과 시간적 제약은 이후의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igh school geography class to categorize them into didactic transposition after observing Korea Geography class taught by novice teacher. Classroom teaching is the most important activity in education and didactic transposi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classroom teaching since it closely link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Didactic transposition refers to a way of transforming curriculum contents for educational purpose and two epistemological processes of personalization/contextualization and depersonalization/decontextualization occur in circular fashion. The former personalization/contextualization is a meaningful knowledge-building process for individual and the latter depersonalization/decontextualization is a process of building randomly expanded knowledge, thereby organizing those knowledges in an expressive and communicable forms. Numerous studies on the concept and the process of didactic transposition have been conducted, but mostly done in other subjects and a summary of the category needs further study.
This study is to identify types of didactic transposition in real class teaching and to group them as a basic foundation to a better didactic transposition suitable for diverse classroom situation. To fulfill the objectiv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classes and interview with teachers. Class observation was don in 3 high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rom March 15 to April 10 in 2010. Observed classes were the Climate of Korea chapter in Geography class and interviews were done after class observation. To closely observe and analyze the whole class, a portable recorder was placed on top of podium to record the whole class and transcribed the recordings to examine the types of didactic transposition as a micro-ethnography metho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ypes of didactic transposition in the geography class can be categorized into 3: understanding type, experience type, and application type. Understanding type is a transposition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n the current status of geographical phenomena; the experience type is a didactic transposition for acting and analyzing geographical knowledge of individual learner which acquired from understanding type transposition; and application type is a method transposition of applying geographical concept of knowledge into other cases or predicting transposition direction.
Second, one of extreme didactic phenomenon, Topaz effect could be seen many times in classes led by novice geography teachers. As disclosed in after class interview, this phenomena could be found when teachers are too much focused on study plan and don't allow learners' opportunity to answer. In addition, this effect could be found when teachers make attempts to connect experiences or cases less related with classes or simplify controversial contents on the textbook.
Third, the problems on didactic transposition by novice teachers are that they use understanding-type transposition since they conduct class focusing on fact-based knowledge. Rarely occurred are experience-type and application-type transposition which are needed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To address these issues, systematic understanding on the textbook contents, sharing the class experiences by teachers, and improvement on the geography textbook contents are needed.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and mak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s on the types of didactic transposition in actual geography class. While the limited number of cases and time span covered in this study are not enough to draw conclusion, this study hopefully facilitates further research on didactic transposition in geography class.
Author(s)
손현진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99
Alternative Author(s)
Son, Hyun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Advisor
손명철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3
3. 연구동향 9
4. 연구의 제한점 11

Ⅱ. 이론적 배경 12
1. 교수학적 상황과 교수학적 변환론의 개념 12
2. 지리교육에서의 교수학적 변환론의 구조 16
3. 지리 수업에서의 교수학적 변환 18

Ⅲ. 지리 수업에서의 교수학적 변환 유형 22
1. 연구지역의 한국지리 교과서 선택 현황 22
2. 연구단원 내용분석 23
3. 지리 수업에서의 교수학적 변환 유형 25
4. 지리 수업에서의 극단적 교수현상 38

Ⅳ. 초임지리교사의 교수학적 변환의 실제 41
1. 초임지리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변환 41
2. 초임지리교사의 교수학적 변환의 개선방안 44
Ⅴ.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48
ABSTRACT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손현진. (2010). 지리 수업에서 교수학적 변환의 실제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