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정책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신뢰가 수용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akeholders′ Trust in Local Government Tourism Policy and Its Effect on the Level of Acceptance : A Case of Tourist Establishments in Jeju Island
Abstract
인간심리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관광분야에서도 관광객, 지역주민 등 관광과 관련된 인간에 대한 심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관광정책과 관련해서는 지역주민과 관광정책 간의 관계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관광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지역주민은 관광정책의 수혜자인 동시에 시행자의 역할을 동시에 행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가격인하정책과 관련하여 관광사업체가 이러한 정책을 수용하여 적극적으로 실시해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행정이론을 통해 수용이라는 개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영향요인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요인들 중 수용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변수를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살펴본 결과 관광정책에 대한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천적 목적과 이론적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관광정책에 대한 신뢰요인이 관광정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관광정책에 관련되어 있는 집단을 여러 기준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에 개념 간 영향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한 과학적 조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책시행범위인 제주도 전 지역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설문조사시점은 2009년 10월 15일부터 10월 29일까지로 하여 가격인하정책대상업체인 음식업, 숙박업, 골프장, 관광지 등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조사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위해 350부 설문지를 배부한 것 중 335부(95.7%)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응답에 신뢰성이 떨어지거나 결측치가 있는 설문지 20부를 제외한 총 315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통계패키지인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요인분석, K-평균군집분석,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7.0을 활용하여 관광정책신뢰요인들과 관광정책수용 간의 구조모델적합성을 파악하였으며 또한 이들 요인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관광정책을 집행하는데 지역주민 또는 관광사업자의 적극적 협조를 얻어낼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론적 연구분야에서는 신뢰와 수용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관광사업자 또는 종사원의 관광정책에 대한 심리적 반응을 연구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목적을 수립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학에서 연구되어왔던 정책에 대한 신뢰와 수용 간의 관계를 관광정책에서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관광정책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관광정책에 따른 영향인식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관광정책 수용 또는 불신에 미치는 파악하는 연구가 중심적으로 이뤄져 왔지만 영향인식이 개인적 측면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니라는 점에서 비판이 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의 연구에서 관광정책에 대한 개인적이고 심리적 반응이 정책에 대한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의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책에 대한 영향인식이 정책 자체가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개인적인 관점에서 파악한데 반해, 신뢰요인은 관광정책에 대한 개인적 믿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관점에서 관광정책 수용자를 연구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게 해준다.
둘째, 관광정책은 관광정책을 수용하고 실행하는 지역주민 또는 관광사업자가 잘 이해할 때 관광정책 수용 또는 적극적인 참여가 이뤄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주는 다양한 관광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홍보를 높이고 관광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면 관광정책에 대한 수용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특히 관광정책 관여도가 높은 집단에서 관광정책 신뢰가 관광정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이 높은 것을 확인할 때 일반적인 관광정책에 대한 지역주민 또는 관광정책 수용자의 이해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한번 더 확인해볼 수 있다.
셋째, 관광정책을 수용하고자 할 때 관광사업자와 관광사업체 종사원을 비교해볼 때 관광정책에 대한 신뢰가 있으면 관광정책을 수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종사원이 사업자보다 높은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관광정책 수용에 따라 경제적 파급이 직접적으로 관광사업체 종사원에게는 영향을 주지 않는 점에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관광정책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선행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점이 경제적 영향정도인데 이를 간접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는 것이 관광사업자와 종사원의 비교분석이었다. 관광사업자는 관광정책이 신뢰가 가더라도 이러한 정책이 자신의 사업 또는 영업에 부정적 영향 또는 아무런 긍정적 영향이 없을 때에는 정책 수용을 미룰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광정책을 수립하여 집행할 때에는 만약 단기적인 관광사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있더라도 정책의 진행에 따라 관광사업체가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경제적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는 노력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신뢰 구축과 홍보를 통한 우호적인 사회 여론 형성이 궁극적으로는 관광사업자의 정책지지 및 수용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임을 실증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The study reviews the influence of trust in a tourism policy, and on the policy acceptance by the concerned parties, so that social expenditure can be minimized when implementing the tourism policy. It also assesses the level of policy acceptance among residents in the region, which can help establish appropriate measures to carry out the region's tourism policy.
Accordingly, the research methodologies are applied in a practical manner with a detailed approach and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government's tourism policy, while looking into the importance of trust in the policy, and the status of policy acceptance during the period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econdly, the study examines preceding studies to establish a theoretical concept with respect to the trust of the tourism policy and its acceptance by the concerned parties. Variables are also identifi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olicy acceptance.
Thirdly,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the study seeks an influential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a tourism policy in relationship to the trust of the tourism policy and the intention for policy acceptance.
Fourthly, the study aims to propose practical measures that can help the local government establish efficient tourism policies by carrying out theoretical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f trust in the tourism policy, its acceptance,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The research adopts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and positive research. In positive research, the survey time frame is from 15 to 29 October 2009. With literature research, the study reviews a variety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search papers and other publications. They identify cases of tourism policies; the supporting theories of the trust and acceptance of the policies among the concerned residents;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the theories. Subsequently, the influential variables are captured and the systematic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re verified.
Positive research is carried out through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survey questions are composed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The hypothesis is verified by adopting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 in which the survey results are analyzed. By using a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SPSS 12.0 version, statistical analysis is conducted to includ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k-mean cluster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other statistical program, Amos 7.0 version, is used to identify factors of tourism policy trust and a structural model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the factors.
The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trust and acceptance of the pricing policy in Jeju, as it is currently practiced through a price-cut campaign. Consequently, the research outcome is expected to help other researchers to study the psychological reaction of the operators in the tourism industry and their employees. Concurrently, the study also suggests certain points of significance achieved from review of preceding research and by conducting positive analysis.
First, although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has been the main domain fo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a policy and acceptance of the policy,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it to tourism related policies. In the area of the recognition of the policy influence, the focus is to identify the potential influence of the tourism policy to society from an individual view. However, the study on the trust factor is to identify a personal belief in the tourism policy. As such, the study helps recognize the necessity for further research, on the consumers of tourism policy, to be examined in different aspects.
Secondly, the study confirms that the acceptance of a tourism policy with active participation can be accomplished. It requires the local residents and concerned parties in the tourism industry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policy and to accept and practice its principles.
Thirdly, the study confirms that when trust in the tourism policy has been established, the intention to accept a tourism policy is comparatively higher among the employees than the operators.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empirically indicate that establishing trust in the local government's policy, and the development of a favorable social opinion, are the main variables that can ultimately influence the operators to support and accept the policy. Nevertheles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lies in the use of the limited number of antecedent variables that can influence the acceptance of a tourism policy. This is due to the lack of availability in the preceding research. A further study on developing a more clarified and applicable structural model between trust and acceptance variables to a general tourism policy may contribute to help draw active participation from local residents, and all other interested parties, in the tourism policy implementation. This will lead to a better and enhanced implementation of tourism policies.
Author(s)
김태진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05
Alternative Author(s)
Kim, Tae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Advisor
허향진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1
제2절 연구의 목적 3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제2장 이론적 고찰 7
제1절 관광정책 7
1. 정책의 개념 7
2. 관광정책의 개념 8
3. 관광정책과정과 영향요인 13
제2절 관광정책 이해관계자와 관여도 29
1. 관광정책 이해관계자의 유형 및 선행연구 29
2. 관광정책 관여도의 개념 및 선행연구 36
3. 제주지역 관광사업체 현황 41
제3절 관광정책 신뢰 44
1. 신뢰의 개념과 중요성 44
2. 관광정책 신뢰에 대한 선행연구 52
제4절 관광정책수용 65
1. 수용의 개념 65
2. 관광정책수용에 대한 영향요인 67
제5절 관광정책 신뢰가 수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72
제6절 관광정책 추진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78
1. 가격인하정책 추진과정 78
2. 국내사례 79
3. 국외사례 91
4. 사례연구에 따른 관광정책 신뢰와 수용의 제고방안 93
제3장 연구 설계 96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96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99
1. 관광정책 신뢰 100
2. 관광정책 수용 101
3. 관광정책 관여도 101
제3절 연구의 조사 설계 102
1. 설문지 구성과 자료의 측정 102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02
제4장 연구자료의 분석 및 결과 104
제1절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104
제2절 측정변수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105
1. 측정변수에 대한 신뢰성 분석 105
2. 측정변수에 대한 타당성 분석 107
제3절 측정변수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112
제4절 가설검증 115
1. 모형 및 가설1~4의 검증 115
2. 가설5의 검증 117
3. 가설6의 검증 121
4. 가설7의 검증 125
5. 가설검증 요약 133
제5장 결론 135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135
제2절 연구의 한계점 137
참고문헌 139
설문지 148
ABSTRACT 152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태진. (2010).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정책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신뢰가 수용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Tourism Management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