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志賀直哉의 『和解』論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Reconciliation』of Siganaoya
Abstract
志賀直哉는 격변하는 일본 근대사의 메이지(明治)ㆍ다이쇼(大正)ㆍ쇼와(昭和)기를 체험하면서, 1904년 처녀작 『菜の花と小娘』를 시작으로 1956년『白い線』에 이르기까지 약 50여년의 창작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白樺派'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그 예민한 감수성과 정확한 표현으로 사소설을 완성한 작가이다. 志賀直哉는 자신의 눈에 보이는 것 게다가 눈에 실제로 보이지 않는 것 즉 인간의 내면에 있는 것까지도 선명하고 간결하게 표현하는데 뛰어난 작가로 '소설의 神'이라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志賀直哉의 작품 성향을 대표하는 것으로『和解』를 들 수 있다. 志賀直哉의 인생에서 아버지와의 장기간의 대립으로 인한 내면적 갈등은 인생 최대의 난제였으며, 정신적 압박감의 근원으로,『和解』의 주인공 順吉을 통해서 당시 자신의 괴로움을 여실히 그려내고 있다.
志賀直哉는 어린 시절 조부모 손에서 성장하면서 각별한 사랑을 받게 되고, 이 같은 가정환경은 그의 강한 자의식을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 특히 志賀直哉는 할아버지를 존경하면서 상대적으로 아버지를 비하하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 그로 인해 志賀家의 가장으로서 아버지를 재인식하기까지 내면적 갈등을 빚게 되는데, 이러한 모습이『和解』의 주인공 順吉에게 반영되어 그대로 작품 내에 나타나고 있다
順吉은 그전에 있었던 자신과의 불화를 해소할 목적으로 그가 살고 있는 교토를 방문한 아버지의 만남을 거부한다. 더욱이 그에 관하여 사죄의 마음을 조금도 갖지 않는 順吉에게 격노한 아버지로부터 아자부 친가의 출입을 거부당하면서 갈등은 심화된다. 아버지와의 갈등의 또 하나의 원인은 順吉의 결혼문제로 그로 인한 불화로 아내 사다코(康子)는 신경쇠약증을 앓으면서 順吉부부는 불안으로 얼룩진 신혼생활을 시작한다. 무엇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태어난 장녀의 갑작스런 죽음 이 후 죽은 손녀를 가족 묘지로 이장하는 것을 거부하는 아버지에게 심한 분노를 느끼게 된다. 결국 아버지의 거부에도 불구하고 장녀의 가족 묘지의 이장을 하면서 아버지와의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진다.
順吉은 차녀 탄생 이후 가장의식을 자각하며 아버지와의 관계를 재조명하게 되면서, 자신의 지난 과오를 반성하며 아버지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인품이 한 단계 도약된다. 그리고 직업작가인 順吉은 장편「夢想家」집필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순화하고 여과하면서 아버지와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자아가 성숙된다.
順吉은 자신의 실질적인 부모라고 여겼던 할머니의 죽음을 인식하게 되면서, 의지할 수 있는 사람으로 아버지의 존재를 자각된다. 또한 아버지와의 화해를 위해 중재자가 되어준 계모의 배려와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친구 M의 도움으로 順吉은 조화적 심경이 되어 아버지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재조명하게 된다. 그리고 여행을 통한 자연과의 교감으로 順吉은 조화로운 심경이 되어 아버지와 진정한 화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가족간의 갈등 특히 부모와 자식간의 갈등은 어느 시대나 존재하는 가정 문제이다. 경우에 따라서 그 갈등의 정도는 다르지만, 志賀直哉의 경우는 조부모 손에서 성장한 배경과 맞물려 그 정도가 심했다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아버지와의 화해를 뜻깊게 아로새기는 작품『和解』를 통해서 그가 얼마나 아버지와의 화해를 희구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志賀直哉 자신이 아버지와의 화해를 통해서 개인적으로 안정적 생활을 추구하게 되고 작가로서의 자신감을 얻고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志賀直哉의 강한 혈연의식을 통해서 현대의 퇴색해가는 가족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자각할 수 있었다.
Author(s)
고동옥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47
Alternative Author(s)
Ko, Dong-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어교육
Advisor
金成俸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I. 서 론 1
II. 시가나오야(志賀直哉) 문학의 배경 5
1. 시가의 가정환경 5
2.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와의 교류 7
3. 「白樺」의 영향 10
III. 아버지와의 갈등 14
1. 교토(京都) 사건 14
2. 결혼문제 16
3. 장녀 사토코(慧子)의 죽음 18
IV. 자아의 성숙 22
1. 차녀 루메코(留女子)의 탄생 22
2. 자기 반성적 사고 24
3. 「夢想家」 집필을 통한 자아성찰 27
V. 조화적 심경 31
1. 할머니의 죽음에 대한 인식 31
2. 주위의 배려 35
3. 자연을 통한 자기순화 40
VI. 결론 45
참고문헌 47
ABSTRACT 4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고동옥. (2007). 志賀直哉의 『和解』論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Japanese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