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진로성숙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stract
본 연구 본 논문은 2008년 8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진로성숙과 진로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문제 1 :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진로성숙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
문제 2 :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진로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 가 있는가?
문제 3 :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사전검사, 교육집단과 비교집단의 구성,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통계처리 및 자료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소재의 J초등학교 6학년 아동 70명씩(교육집단 35명, 비교집단 35명)으로 선정하였다.
진로성숙도검사는 강원도교육연구원(1993)에서 제작한 초·중학생용 진로성숙도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검사는 진로유형, 태도검사, 능력검사로 구분되며 본 연구에서는 진로태도와 진로능력 검사만 사용하였다. 진로 태도검사에는 계획성, 성향, 타협성, 결정성이 포함되어 있고, 능력 검사에는 자신의 이해, 직업의 이해, 직업선택 이해, 의사결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 20문항,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3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진로자기효능감검사는 남미숙(1998)이 자신의 연구를 위해 OSES( Hackett와 Betz,1981)를 기초로 제작한 초등학생용 진로자기효능감검사를 사용하였는데, 교육진로자기효능감 24문항, 과업진로자기효능감 24문항 총 48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교육인적자원부(2003) '양성평등한 진로지도프로그램', 곽광선(2004)의 '진로인식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대구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2002)의 '초등학생용 진로프로그램', 중앙고용정보원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2004)의 '초등학교 진로와 직업', 김진희(2005)의 '학급단위 진로인식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강원도교육과학연구원(2006)의 '꿈을 키워주는 초등학교 진로지도 자료(5,6학년용)', 서울특별시교육정보원(2006)의 '알롱달롱 함께 엮어가는 우리의 꿈(초등학교5-6학년 진로교육자료)' 등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에 알맞게 수정 보완하고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재구성하였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실시는 본 연구자가 매주 1회, 40분씩 총 16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처리 분석은 SAS 통계처리 프로그램 version 9.1을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육집단 아동의 진로성숙도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 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육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의 진로태도 및 진로능력 영역은 사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진로태도 하위요인에서는 계획성, 성향, 결정성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진로능력 하위요인에서는 직업의 이해능력, 선택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진로성숙도의 진로능력은 진로자기효능감을 높여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에게 자기이해, 직업 세계 이해, 의사결정, 직업선택 등의 진로능력 탐색 기회가 제공되고 일의 소중함, 일에 대한 가치, 태도, 직업관을 포함한 직업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 형성에 기여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로 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일과 직업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다양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thesi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8.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by a class uni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y a class unit will improve on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y a class unit will improve on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3. The career 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will be rela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 students from a classroom 2 classes of 6th grade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35 each, an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a 16 session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was conducted in optional classes for fifteen weeks, once to twice a week for 16 session.(each session took 40 minutes).
The rating scale of career maturity by Gangwon-do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1993) for 5th-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st of middle school was used in this study. The rating scale of career self-efficacy used by Nam Mi-Suk(1998)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used in this study. For data handling, the post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their subfactor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ve influence on enhancing the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scores in the sub-variables for experiment group such as area of course attitude and course ability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By subarea, that favorably affected their decidedness, career disposition, planning, career comprehension and career choice abi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mpromise, self comprehension and career decision.
In conclusion, career education program would be a benefi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igure out their temperament, aptitude competence and choose their careers, understanding work and occupation with positive attitude, and finally develop themselves and society. Therefore, it is needed to employ continuant, organizing career education program more constructively to the teaching fields of school.
Author(s)
김경화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362
Alternative Author(s)
Kim, Kyung-Hwa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허철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2

Ⅱ. 이론적 배경 4
1. 진로교육의 개념과 내용 4
2. 진로성숙의 개념과 구성요인 10
3. 진로자기효능감의 개념과 요소 13
4.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성숙과 진로자기효능감과의 관계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9
1. 연구 대상 19
2. 연구 설계 19
3. 연구 절차 20
4. 측정 도구 22
5. 자료 처리 2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7
1. 연구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27
2. 가설 검증 30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39
1. 요약 39
2. 결론 42
3. 제언 43

참고문헌 45
Abstract 50
부 록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경화. (2008).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진로성숙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