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靑少年 消費者의 健全消費 影響要因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the Factor Affecting Healthy Consumption by Adolescent Consumers in Jeju
Abstract
현대사회의 청소년들은 생산과 소비가 조화를 이룬 적극적인 경제활동이 아니라 부모님이 주신 용돈에 의지한 소비에만 참여함에 따라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고민하기보다는 유행을 쫓은 감정적인 구매에 매달리기 쉽다. 이러한 미래의 소비주체인 청소년들이 가치관과 의식 및 소비습관을 올바르게 형성하여 주체적 소비자로 거듭나기 위해서 어떻게 교육해야 할 것인가는 가정, 학교, 사회에 당면한 중요한 과제이다.
그동안 청소년 소비관련 연구는 청소년의 구매행동, 용돈사용, 소비의식, 소비기술 등 다양한 주제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청소년의 건전한 소비수준을 측정한 연구들은 그다지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이 현실이다. 청소년 소비와 관련한 여러 논문을 검색한 결과 과시소비에 대한 연구,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는 많았지만 정작 가정, 학교, 사회에서 청소년들에게 가르쳐야 할 바람직한 소비의 형태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 소비자의 건전소비에 대한 의식을 조사할 뿐만 아니라 건전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건전소비란 합리적 소비와 윤리적 소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한 후 질문지법을 통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건전소비란 "합리적 소비 개념에 소비자의 의무인 비판의식, 적극적인 참여, 생태학적 책임, 사회적 책임, 단결을 실천하는 소비"라고 정의해 볼 수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건전소비의 내용(구매 시 부모 경제력 고려, 사전 구매 계획, 구매 시 비교구매 등의 소비의식적인 측면과 영수증․설명서 보관, 중고제품 구매, 구입물품 장기사용 등의 소비생활적인 측면 그리고 친환경 제품류 선택, 구매 시 에너지 소비량 고려, 구매 시 지역 공동체 고려 등의 윤리적인 소비태도 측면)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건전소비에 영향을 주는 소비자 사회화 요인들을 가정, 학교, 사회로 구분하여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 사회화 독립변인들이 건전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험적 추론들을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가설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의 부모의 소비지도와 소비생활이 건전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가 소비 지도를 많이 할수록, 부모이 건전소비생활이 건전할수록 청소년의 건전소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에서의 경제교육과 또래집단이 건전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제교육을 받은 집단일수록 건전소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집단의 소비문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더라도 건전소비에 대한 인식은 높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에서 대중매체와 직업체험이 건전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중매체에 적게 노출될수록, 직업체험 경험이 많을수록 건전소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른 결과로는 성적이 높을수록 인문계학교 학생일수록 건전소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자를 제주도 지역 고등학교 학생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의 상황으로 확대 해석하기에는 제한이 따른다. 또한 청소년이라는 개념은 고등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들도 있는데 이들이 조사에서 제외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질문지법을 이용하였는데,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는 실제 소비자의 성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조사 대상자가 무작위로 체크하거나, 도덕적으로 옳다고 생각하는 문항에 의식적으로 대답하는 경향이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와 같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후속연구에서는 면접법이나 관찰법과 같은 심층적인 조사방법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eenager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end to participate in consumption only depending on the allowance given by their parents, deeply attached to trend-oriented emotional shopping which cannot be said to combine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rmoniously, rather than seriously thinking about what is truly reasonable consumption.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hat the juveniles, as a future subject of consumption, should be educated to become a subjective consumer with desirable sense of values, awareness and habit of consumption, which is what households, schools and society have to do.

While the studies on the adolescent consumption have largely focused on various topics--purchasing behavior, allowance use, awareness on consumption and consumption techniques, researches on how healthy the teenagers consume have not been conducted that much. After searching for several papers related to the adolescent shopping, the author finds that the studies on other topics--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ulsive buying--have been carried out a lot but there is a lack of efforts to grasp what is a desirable consumption which should be taught to teenagers. Regarding this as a problem, the author studies not only the awareness on healthy consumption by the juveniles but also the factors that affect on such healthy consumption.

After the preliminary study on literature, the author defines 'healthy consumption' as a concept to include not only reasonable but also ethical consumption, and then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 questionnaire method. Healthy consumption is defined as "an activity of reasonable buying in harmony with consumers' duties--criticism, active participation, ecological and social responsibilities, and solidarity". For such empirical analysis, the author selects dependent variables from three dimensions of the contents of healthy consumption: consumption awareness(financial power of parents, prior purchasing plan, comparative purchasing, etc); consumption life(keeping of receipts and product description, purchase of secondhand articles, long-term use of purchased products, etc); and ethical behavior of consumption(selection of eco-friendly products, considering energy efficiency and local community when buying, etc). As well, socialization factors of consumers, which affects on healthy consumption, a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household, school and society--as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a priori reasoning on how each independent variable of socialization have an impact on healthy consumption, a study model and hypotheses are set up.

Consequently, the result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s' guide and actual consuming life on their children' healthy consumption reveals that the more guidelines for healthy consumption parents provide for their children and the healthier consumption the parents actually have, the higher awareness on such consumption their children show. Second, for the impact of economic education at school and peer group on healthy consumption, the more financially educated groups, the highly awareness on sound purchasing, who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peer group, but they shows a higher awareness of healthy consump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edia and occupation experience in society on healthy consumption showcases that the less exposed to the media and the more experience of occupation, the higher awareness on healthy consumption. Fourth, the results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tell that the higher grades a high school student records and the higher number of students enter classical high schools, the greater recognition on healthy consumption they have.

The study's subjects are defined to the teenage students going to high schools in Jeju, which can be said to reflect only a limited situation of the whole juvenile in Korea. The juvenile includes not only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the teenagers not entering a high school, who are excluded from the study, leaving that aspect as a limit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method used for the study may provide a different result from the actual propensity to consume. That is to say, the subjects of the study tends to answer the questions on a random basis or check only the one they recognize as ethically correct. Suggested is that further focused investigation methods--interview, observation--should be introduced and paralleled for the follow-up studies to make up for such limits.
Author(s)
姜炫汀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55
Alternative Author(s)
Kang, Hyun j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사회교육
Advisor
정진현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1. 소비의 개념과 청소년 소비자의 특징 4
2. 건전소비 개념과 소비자 사회화의 영향 5
3. 선행연구의 검토 12

Ⅲ. 연구모형의 설정 및 분석방법 16
1. 연구모형의 설정 16
2. 질문지의 구성 18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19

Ⅳ. 실증분석 결과 21
1. 청소년의 소비행태 21
2. 건전소비 및 영향요인 분석 27
3. 영향요인에 따른 건전소비 분석 31

Ⅴ. 결론 및 제언 47
1. 연구결과 요약 47
2. 시사점 및 제언 50

※ 참고문헌 52

※ 질문지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姜炫汀. (2010). 靑少年 消費者의 健全消費 影響要因에 관한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