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ONSUMPTION VALUE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OF ADOLESCENT CONSUMER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소비자를 대상으로 환경활동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정도를 분석하고,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 하위개념과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과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대한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을 구매, 사용, 처분행동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소비자들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청소년소비자를 대상으로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실증적 자료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소비자 1,050명을 조사하였으며, 99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분석목적에 따라 요인분석, 빈도분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소비자들은 환경문제에 관련하여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환경문제 심각성, 환경지식, 환경활동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정도가 높았으며, 환경친화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환경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환경지식 수준,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및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의 하위개념은 절약성, 과시성, 차별성, 친환경성, 심미․향유성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소비가치의 5개 차원을 중심으로 청소년소비자의 전반적 가치성향을 분석한 결과 절약성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친환경성, 과시성, 차별성, 심미․향유성의 순이었다.
다섯째, 환경친화적 구매행동은 월평균 용돈, 종교, 모연령, 환경활동 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섯째, 환경친화적 사용행동은 성별, 월평균 용돈, 환경활동 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곱째, 환경친화적 처분행동은 성별, 월평균 용돈, 주거형태, 부직업, 환경활동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덟째, 환경친화적 구매, 사용행동에 가장 큰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절약성이었으며, 환경친화적 처분행동에는 친환경성이 가장 큰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소비자의 소비행동을 보다 환경친화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소비자 교육의 방법과 내용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 볼 수 있다.
첫째, 환경활동 경험이 환경친화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환경활동 경험정도는 2.04로 비교적 낮았으며, 환경활동 경험 중 대중매체의 활용경험, 시청각 자료를 본 경험이 다른 경험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의 환경활동 경험 즉, 매체를 적극적으로 구성, 활용하며 견학 및 토론의 기회가 제공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경문제 심각성은 소비가치유형과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매개요인으로서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은 환경친화적 사용행동과 처분행동에 매개요인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소비자의 환경교육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학교에서 교과목을 통한 환경교육 뿐만 아니라 방과 후 학교활동 및 특별활동을 통하여 환경오염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직접적인 실험과 측정 등 체험학습의 환경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정도와 전체적인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및 환경친화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 수준이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 사회가 성별 역할이 공유되는 점을 생각할 때, 남학생의 보다 많은 환경친화적 의식 전환 및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의 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이 학교뿐만 아니라 사회, 가정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절약성과 친환경성의 소비가치가 환경친화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에 일관되게 인과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치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가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청소년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청소년소비자들의 절약성과 친환경성의 소비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가정, 학교, 대중매체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develope an environmental educational program for adolescent consumers'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 survey of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environment on adolescent consumers residing in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It also tried to analyze their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additional analysis was to find out the subordinate concept of adolescent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The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were divided into the subordinate concepts of purchase, use, and disposal behaviors to find out the factors, thereby analyzing related factors and the correlation of cause and effec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d 999 adolescent consumers living in jeju.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ies, Percent, Means, Standard, one-way Anova, Scheffe test, t-test, path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survey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dolescent consumers are aware of the corelation betw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ith regard to environment, followed by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blem, the knowledge of environment and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activities, in order.
Secondly, female students are more aware of environmental problem and the corelation betw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by their consumption behaviors such as purchase, use and disposal are more environment-friendly compared to the ones of male students.
Thirdly, the more experience of environment they have, the more aware they are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Fourthly, the subordinate concept of adolescent consumers' consumption value consists of economy, distinction, environment-friendliness, beauty, and value. The analysis based on adolescent consumers' value, their econom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nvironment-friendliness, and beauty ․ possession in order,
Fifthly, the type of environment-friendly purchase behaviors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onthly average allowance, region, their mother's age, their environmental experience, knowledge, and their awareness of corelation between their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Sixthly, the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sex, monthly average allowance, their environmental experience, their knowledg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eventhly, environment-friendly disposal behavio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sex, monthly average allowance, the type of housing, their environmental experience, their knowledg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Lastly, the economy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on cause and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purchase and use, while the environment-friendliness was the most influence on the cause and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disposal behavior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desirable teaching program for changing consumers to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is recommended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 has cause and effect relations with environment-friendly purchase, use and disposal. Despite this, the degree of environmental experience was lower by 2.04 than through mass media including audio-video programs. This means that adolescent consumers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environmental experience, such as educational trips and discussion.
Secondly, the serious problem of environment is an intermediate factor on the type of consumption value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I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awareness of the corelation betw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indirect effects on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and disposal patterns through the intermediate factors. This means that programs to study the reality of environment should be promoted through experiment and extra curriculum in after school activities as well as through regular school curriculum.
Thirdly, according to their sex,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type of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purchase, use and disposals. This means tha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oles of gender is common in the modern society, male students should be more provided with environment-friendly educational program at home as well as at school.
Lastly, economy and the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value have cause and effect relations with environment-friendly purchase, use and disposal. This means that value can have an influence on behaviors. Therefore, by changing the value of consumption, we can promote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In summary, to strengthen adolescent consumers'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learn economy and the value of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at school, at home as well as through mass media.
Author(s)
오진숙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86
Alternative Author(s)
Oh,Jin-s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金正淑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청소년소비자 4
2. 소비가치 6
1) 소비가치의 개념 6
2) 소비가치의 하위개념 7
3.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9
1) 환경친화적 소비의 개념 9
2)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10
3) 소비가치와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12
4.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
1) 사회인구학적 요인 13
2) 환경활동 경험 15
3) 환경지식 15
4)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16
5)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17

Ⅲ. 연구 방법 18
1. 연구 문제 18
2. 측정도구 19
1) 사회인구학적 요인 19
2) 환경활동 경험 20
3) 환경지식 20
4) 환경문제 심각성 인식 20
5)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21
6) 소비가치 21
7)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22
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2
1) 자료수집 22
2) 분석방법 22

Ⅳ. 연구결과 및 분석 2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2. 환경활동 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및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26
1) 청소년소비자의 환경활동경험 정도 26
2) 청소년소비자의 환경지식 정도 26
3) 청소년소비자의 환경문제심각성인식 정도 27
4) 청소년소비자의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정도 28
5)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및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 정도의 차이 29
6) 환경활동 경험에 따른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및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의 차이 32
3.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 32
1) 소비가치의 하위개념 32
2)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정도 34
3)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소비가치의 차이 36
4) 환경활동 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및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에 따른 소비가치의 차이 40
5) 관련요인들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41
4. 청소년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44
1) 청소년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정도 44
2)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의 차이 45
3) 환경활동 경험, 환경지식, 환경문제 심각성 및 소비와 환경오염과의 관계인식에 따른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의 차이 46
4) 소비가치에 따른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의 차이 48
5) 관련요인들이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49
5.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관련요인들의 인과적 효과 51
1) 환경친화적 구매행동 51
2) 환경친화적 사용행동 53
3) 환경친화적 처분행동 55

Ⅴ.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1
영문초록 67
부록 7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오진숙. (2007).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