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기본심리적욕구 및 스포츠퍼슨십과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portspersonship on achievement goals for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Abstract
운동 상황에서 운동선수들의 도덕적 행동과 발달은 주요 타자에 의해 조성된 개인적 성취, 목표성향과 스포츠 환경 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기본심리적욕구와 스포츠퍼슨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구기종목 운동선수 310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 기본심리적욕구와 스포츠퍼슨십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과제성향은 기본심리적욕구의 관계성과 자율성을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스포츠퍼슨십 하위요인들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자아성향은 기본심리적욕구의 유능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로 밝혀졌으며, 스포츠퍼슨십 하위요인 중 판정존중과 승부집착에 상대적으로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목표성향에 따라 기본심리적욕구와 스포츠퍼슨십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기본심리적욕구와 스포츠퍼슨십 향상을 위해서는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상황에서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기본심리적욕구와 스포츠퍼슨십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for sport and exercise setting in athletes were influence which significant others by individual orientation and sports environment. A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portspersonship on achievement goal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were examined. 310 male athletes completed the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Basic Psychological Questionnaire and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Sportspersonship Orientations Scale in Youth Sport.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FA, internal consistenc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generally Task-orientation is the best predictor on autonomy, relatedness and sportpersonship subfactor in athletes students. In contrast, Ego-orientation only significant competence factor fo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respect of judgement and competitive spirit for sportpers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view of achievement goal motivation on enhanc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portpersonshi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port and exercise setting will be insight by the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for athletes students. Also athletes for basic psychological needs will be able understand.
Author(s)
김명훈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178
Alternative Author(s)
Kim, Myoung H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Advisor
임상용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8
3.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0
1. 성취목표성향 10
2. 기본심리적욕구 20
3. 스포츠퍼슨십 24
4. 선행연구 고찰 32
5. 연구의 가설 36


Ⅲ. 연구방법 37
1. 연구대상 37
2. 측정도구 38
3. 연구절차 42
4. 자료처리 42
Ⅳ. 연구결과 44
1. 성취목표성향, 기본심리적욕구와 스포츠퍼슨십간의 상관관계 44
2. 성취목표성향, 기본심리적욕구와 스포츠퍼슨십에 대한 설명력 46
3. 스포츠퍼슨십에 대한 기본심리적욕구의 설명력 48
4. 성취목표성향, 기본심리적욕구와 스포츠퍼슨십간에 경로모형 50


Ⅴ. 논 의 53


Ⅵ. 결 론 57


참고문헌 59


73


7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명훈. (2010).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기본심리적욕구 및 스포츠퍼슨십과의 관계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