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楸子群島의 海藻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Marine Algal Flora of the Chujado Islets
Abstract
추자군도의 조간대 해조류에 대한 지리적 분포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추자도와 인근의 무인도서 20개 지역에서 해조류 식생을 조사하였다.
해조상 조사 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2종, 갈조류 46종, 홍조류 94종으로 총 152종이었다. 본 조사 결과와 기존 연구를 종합하면 현재까지 추자군도에는 녹조류 21종, 갈조류 58종, 홍조류 150종으로 총 229종이 생육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20개의 조사지역 중 출현종 수가 가장 많은 채집지는 예초이며 78종이 채집되었고, 출현종 수가 가장 적은 채집지는 섬생이이며 24종이 채집되었다.
추자군도의 조사지역에 공통적으로 자라는 해조류는 미역이었고, 50%이상의 조사지역에 자라는 해조류는 바위수염, 톳, 미아베모자반, 비늘산호말, 불등풀가사리, 풀가사리, 애기돌가사리, 돌가사리, 진두발, 넓은붉은잎, 참도박, 긴까박살, 가는개도박, 마디잘록이, 산호잇바디가지, 누운분홍잎, 서실, 검은개서실, 깃꼴개서실, 참보라색우무이다.
8개 지역(추자군도, 제주도, 거문도, 완도, 진도, 부산, 죽변, 외연도)의 해조상의 특징을 비교하기 위하여 R/P, (R+C)/P 및 C/P 지수를 사용하였다. 추자군도의 해조류 식생에 대한 R/P값은 2.58로 외연도(R/P값 2.67)와 가장 가까웠고 거문도(R/P값 3.62)와 가장 먼 수치를 나타냈다. 한편 추자군도의 해조류 식생에 대한 (R+C)/P값은 2.93으로 완도[(R+C)/P값 2.90]와 가장 가까웠고 거문도[(R+C)/P값 4.14]와 가장 먼 수치를 보여주었다. 추자군도의 해조류 식생에 대한 C/P값은 0.35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부산(C/P값 0.42)과 가장 가까웠고, 완도(C/P값 0.62)와 가장 먼 수치를 보여주었다.
추자군도와 제주도의 유사지수는 0.425로 가장 가깝고 거문도와 완도의 유사지수는 0.416으로 서로 가깝고, 진도와 부산의 유사도지수는 0.402로 서로 가깝다. 제주-추자와 거문도-완도의 유사지수는 0.421로 cluster를 형성하고 서해안의 외연도와 동해안의 죽변은 유사지수가 차이가 있음으로 서로 먼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추자군도는 Kang(1966)의 제주도구(Cheju Island Section)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patterns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intertidal marine algae in the Chujado Islets, the southern coasts of Korea.
As a result, a total of 152 species were collected, including 12 chlorophytes, 46 phaeophytes, and 94 rhodophytes. According to previous reports and this study, 229 algal species, including 21 chlorophytes, 58 phaeophytes and 150 rhodophytes, were known to the coast of Korea. Among surveyed sites, Yechori with 78 species is the highest in algal species diversity, and Seomsaengi with 24 species is the lowest.
Other common species (≥50% plus in frequency of occurrence) were Myelophycus simplex,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miyabei, Corallina confusa, Gloiopeltis furcata, Gloiopeltis tenax, Chondracanthus intermedius, Chondracanthus tenellus, Chondrus ocellatus, Callophyllis adnata, Grateloupia elata, Grateloupia elliptica, Grateloupia lanceolata, Lomentaria catenata, Herpochondria corallinae, Acrosorium yendoi, Chondria crassicaulis, Chondrophycus intermedia, Laurencia pinnata, and Symphyocladia latiuscula. Undaria pinnatifida, occurs on the all survey sites.
The floristic characteristics represented by R/P, (R+C)/P and C/P ratios of 8 localities (Chujado Islets, Jejudo, Geomundo, Wando, Jindo, Busan, Jukbyeon, and Oeyondo) were analysed. The value of R/P ratio shows that the flora of the Chujado Islets (R/P = 2.58) is similar to that of Oeyondo (R/P = 2.67) and distinct to that of Geomundo (R/P = 3.62). The value of (R+C)/P ratio shows that the flora of the Chujado Islets [(R+C)/P = 2.93] is similar to that of Wando [(R+C)/P = 2.90] and distinct to that of Geomundo [(R+C)/P = 4.14]. The value of C/P ratio shows that the flora of the Chujado islets (C/P = 0.35) is similar to that of Busan (C/P = 0.42) and distinct to that of Wando (C/P = 0.62).
The similarity index of the algal composition reveal that the algal community can be clustered into Chujado Islets-Chejudo (0.425), the Geomundo-Wando(0.416) and Jindo-Busan(0.402). The Chujado Islets were distinct to both Jukbyeon and Oeyondo. Therefore, the Chujado Islets are included in the "Cheju Island Section" of algal distribution by Kang(1966).
Author(s)
김미량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58
Alternative Author(s)
Kim, Mirya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명과학과
Advisor
이용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3
1. 조사방법 및 자료분석 = 3
2. 해황 = 3
Ⅲ. 조사결과 = 6
1. 해조상 = 6
2. 도서별 해조상 = 7
3. 종기재 = 16
Ⅳ. 종합 고찰 = 66
Ⅴ. 요약 = 74
Ⅵ. 참고문헌 = 76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미량. (2009). 楸子群島의 海藻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