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on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Abstract
본 연구는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우울증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우울증 하위 영역(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신체?생리적)에 효과가 있는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 검사,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구성, 실험집단에 대한 춤?동작치료 프로그램 실시, 사후 검사, 통계 처리 및 자료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제주시 서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40세~60세) 50명 중 경 우울증 이상이 되는 중년여성을 무선 표집하여 실험 집단 8명과 비교 집단 7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적용하였고, 비교 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고, 2009년 10월 13일~12월 1일까지 주 1회(화요일) 12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또한 1~8 회기마다 작성한 회기소감문과 본 연구자의 관찰기록 내용, 그리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 중년여성의 우울증과 관련하여 변화된 기록을 토대로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Beck 등(1967)의 우울증 척도 한국판(Beck Depression Inventory : BDI 한국판)으로 원 문항을 이영호(1993)가 번역하고 표준화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명된 21문항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한 자료 분석은 SPSS 12.0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 사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중년여성 우울증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중년여성 우울증 하위영역인 정서적, 인지적 측면에서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적 분석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의 관찰 사항과 각 회기별 활동에 대한 중년여성들의 소감문을 분석하여 볼 때, 본 프로그램은 중년여성들에게 춤·동작치료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자신과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삶에서 느끼는 우울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신체 움직임을 통하여 의식적, 무의식적 감정을 표현하고 배출하게 함으로 중년여성의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삶과 가치관에 대한 긍정적인 요소로 정서적 삶에 영향을 줌으로 결과적으로 우울증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s of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on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and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Research Problem 1. Does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have an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for middle-aged women?
Research Problem 2. Does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have an effect on the sub-areas(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physical and physiological) of depression fo middle-aged women?

In order to resolve the above issues, it was progressed in the order of pre-examination, compositio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conduct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on the experimental group, follow-up inspections, statistics processing and finally data analysis.

The target of the research was to randomly select 50 middle-aged women (40-60 years of age) with depression symptoms living in the western part of Jeju, and composed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8 people and a comparative group consisting of 7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were performed and applied, while not providing any measures for the comparative group.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was performed by the researcher, and it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 occasions lasting 120 minutes long each once a week (Tuesday) from October 13 to December 1 in 2009. In addition, based on journals written after each of the 8 sessions, observation records of the researcher, and changed records related to depression of middle aged women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abilities for middle-aged women to cope with depression.
The measurement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is the Beck (1967) Depression Inventory (BDI): Korea version), and the original questions were translated and standardized by Lee Young-ho (1993), and 21 of the questions that were judged to have high feasibility and reliability. Data analysis for this was conducted using SPSS 12.0 and before and after t-verification was also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cquired from the above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they had a considerable drop in depression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middle-aged women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for middle-aged wom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dance and motion treatment program, they had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sub-areas of depression such as the emotional and cognitive sector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dance and motion treatment program.

Third,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nalysis, when analyzing the observations of the researcher and analyzing the journals of middle-aged women for each session, the plan to reduce depression felt in life was verified by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one's self and others through various dance and motion activities.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express the cognitive and non-cognitive emotions through physical movements and thus help in giving emotional stability to middle-aged women. In addition, by effecting the emotional life with positive factors on their life and outlook, it results in giving positive effects for reducing depression.
Author(s)
최정호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71
Alternative Author(s)
Choi, Jung h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박태수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4
Ⅱ. 이론적 배경 5
1. 중년여성과 우울증 개념 및 특징 5
2. 춤·동작치료의 개념과 기법 15
3.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19
4. 춤·동작치료와 우울증과의 관계 21
Ⅲ. 연구 방법 24
1. 연구 대상 24
2. 실험 설계 24
3. 연구 절차 25
4. 측정 도구 27
5. 자료 처리 2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9
1. 연구 대상의 동질성 검증 29
2. 가설 검증 30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40
1. 요약 40
2. 결론 42
3. 제언 44

참고문헌 45
Abstract 50
부 록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최정호. (2010). 춤·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