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통계분석기법을 활용한 제주지역 급경사지재해 예측 및 평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Je-Ju area Slope hazards us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지재해 발생구간에 따른 토질특성을 분석하고 통계적 분석을 GIS기법에 적용하여 예측지도를 작성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형특성의 결과를 보면 입도분포곡선을 이용하여 자갈, 모래, 세립토의 분포를 보면 송악산 지역은 자갈 10.32%, 모래 86.25%, 세립토는 3.43%를 보이고 사라봉, 별도봉 지역은 자갈 21.77%, 모래 75.07%, 세립토는 3.16%를 보였다. 비중결과는 사라봉, 별도봉 지역이 보통 모래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간극율의 결과는 자갈과 모래의 분포가 많아 크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투수계수 결과는 Darcy(1856)에 의하면 잔모래, 실트질 모래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2.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GIS에 적용하여 예측지도를 작성한 결과 송악산지역은 예측지도와 현장 급경사지재해가 발생한 지역을 비교하면 재해가 발생한 지역에서 확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때 예측지도를 보면90% 이상 발생가능성을 보이는 지역은 총 면적의 3.3%를 보이고 70~90%의 확률을 보이는 지역은 5.2%, 50~70%의 확률을 보이는 지역은 5.0%를 보인다. 비교적 발생지역이 미비한 결과를 보이지만 발생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봉우리의 사면을 따라 분포하면서 진입로, 등산로 및 목장의 주변에서 나타나고 있어 인명 및 재산피해가 우려된다.
3. 사라봉, 별도봉 지역은 급경사지재해가 발생한 지역에서 예측지도의 확률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재해 예측지도를 살펴보면 90%이상의 확률을 보이는 지역은 총 면적의 4%, 70~90%의 확률을 보이는 지역은 10%, 50~70%의 확률을 보이는 지역은 10%을 나타내었다. 사라봉과 별도봉 지역은 임항도로변과 산책로를 중심으로 재해 발생가능성이 높게 분포하고 있다.
5. 제주도는 급경사지재해로 인한 피해가 미비하였다. 그래서 급경사지재해에 대한 대책도 없을뿐더러 연구진행도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로지스틱회귀모델은 내륙지방의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한 모델이므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자료를 많이 수집하고 기존 모델을 수정하여 제주도 지반에 적합한 모델로 보완한다면 더 정확한 예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Jeju, it undergoed the influence of every year heavy rainfall and the typhoon but the landslide which occurs was deficient. But according to global warming the frequency of the typhoon and the heavy rainfall goes down and the damage occurs. Specially many damage and the casualty occurred with 2007 typhoon "NARI" effect.
This study performed application of landslide prediction model from preventing a damage that landslide predicted probability by typhoon and heavy rainfall. The research area selected the Mt. Song-ak, Sara and Byeoldo-bong area.
As the result of making out prediction map by apply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GIS, and then comparing prediction map of selected area with the area that site slope hazard occurred, the probability of hazard is higher in the area that hazard occurred. It is not relatively considerable, but the area which has higher possibility of hazard is distributed around approach path, mountain trails, and stock farm along the slope of mountain top, and thus it is feared that human life and property will be damaged. But there is only a little damage caused from slope hazard in Jeju-Do. Owing to this reason, there is no countermeasure against slope hazard, and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slope hazard. Logistic regression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data of inland regions, so it is required to collect further data on the basis of this study, modify and complement previous model properly to the ground of Jeju-Do for the more accurate prediction.
Author(s)
이창선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76
Alternative Author(s)
Lee, Chang S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토목해양공학과
Advisor
이병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범위 2
Ⅱ. 급경사지재해 발생 특성 3
1. 사면의 파괴 3
1) 사면 파괴 3
2) 사면 파괴의 발생요인 및 유형 4
2. 우리나라 급경사지재해 발생현황 및 특성 12
1) 우리나라 급경사지재해 발생현황 12
2) 우리나라 급경사지재해 유형 13
3. 제주도 급경사지재해 발생현황 및 특성 15
Ⅲ. 통계분석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예측기법 18
1. 로지스틱 회귀분석 18
1) 통계적 이론 18
2) 로지스틱 회귀모델 19
3) 급경사지재해에 로지스틱 회귀모델의 활용 22
2. 지리정보시스템(GIS system) 23
1) GIS의 구성요소 24
2) GIS의 자료형태 27
3) 컴포넌트(component) GIS 28
4) 인터넷 GIS 29
5) 급경사지재해에 GIS의 활용 31
Ⅳ. 제주지역 급경사지재해 예측 및 평가 34
1. 연구대상지역 선정 및 조사 34
1) 현장개요 및 대상지역 선정 34
2) 지형특성 35
3) 토질시료 채취 및 특성 37
2.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 예측 및 평가 40
Ⅴ. 결론 45
참고문헌 4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창선. (2010). 통계분석기법을 활용한 제주지역 급경사지재해 예측 및 평가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ivil and Ocean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