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관한 인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Assistant at Special Schools
Abstract
본 연구는 2004학년도부터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대해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육보조원과 이 제도에 대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실제 성과와 문제점을 검증하여 해소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제도가 장애학생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며 셋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교육 및 자격, 관리 및 평가, 보수 및 직업 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설문지 조사를 통한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특수교육보조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에게 각각 300부와 150부씩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에 회수된 설문지 중 특수학교 교사 223명, 특수교육보조원 92명 총 315명을 유효자료로 사용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사와 보조원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나,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의견반영이 저조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옴에 따라 향후 계획 수립 시 이에 대한 의견이 반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성공적인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가장 중요한 변수로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의 명확성, 제도적으로 안정된 신분 보장, 사회적인 인지도, 높은 급여와 근무환경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특수교육보조원 자격증제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 모두 공감하므로 특수교육보조원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제도와 적절한 양성기관을 통해 소양과 자질을 갖춘 특수교육보조원을 선발하고, 자격증 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 필요하다.
넷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책임 한계에 대해 교사의 경우는 모든 안전의 문제는 학교의 관리자가, 보조원의 경우는 전적으로 특수교사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보조원의 평가자는 교사는 담당교사, 보조원의 경우는 학교장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다섯째, 일부학교에서는 학부모가 특수교육보조원으로 근무함으로 인해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이 얽혀 복무관계를 명확히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국·공립과 사립학교와의 사이에 보조원 배치 수에 있어 차등이 있다는 의견이 있으므로 공정한 특수교육보조원 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교에서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지원 담당인력인 특수교육보조원의 수가 턱없이 부족하므로 장애학생의 학습권 보장 및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더 많은 특수교육보조원 배치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나 앞에서 제시된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대하여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부분에 대한 조정과 연구의 대상을 학부모에게까지 확대하고, 특수학교만이 아니라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에까지 넓히고, 연구의 시기가 학년말에 이루어진다면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점 및 제도의 보완점에 대해서 좀 더 정확하게 인식하여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eachers' and assistants' perceptions on the assistant system at special school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ystem based on the outcomes and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focused on three research topics: (1) percep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assistant system, (2) the influence of the assistant system on special ed. students, and (3) perceptions on roles, training and certification, supervision and appraisal, salary and job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chose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T도 researcher randomly selected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300 teachers and 150 assistant who are working at special schools. Among them, 223 copies from teachers and 92 copies from assistants were returned and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eachers and assistants replied that the assistant system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ing, but it needs to increase teachers' participation and reflect their opinions.
Second,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system, teachers and assistants replied that important factors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system were role specification, guarantee of their status, and high salary and good working environment of assistants.
Third, teachers and assistants agreed that it is necessary to require certificates for the job, thus it is needed to provide certificates to select well grounded and qualified persons, and take roots the system.
Fourth, for the responsibility of assistants, teachers answered that building administrators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n students' safe, but assistants answered that teachers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Fifth, in some schools, parents worked as assistants so that it was difficult to divide private and public roles of assistants. Thus, it should be fair when schools hire assistants.
Finally, the number of assistants needs to be increased to increase quality of schooling and guarantee students' rights for learning.
Author(s)
김성춘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17
Alternative Author(s)
Kim,Sung-Ch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박종필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특수교육보조원의 법적 근거 4
2. 특수교육보조원의 자격과 역할 5
3.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현황 및 배치계획 8
4. 특수교육보조원의 교육 12
5. 특수교육보조원의 관리 14
6. 외국의 특수교육보조원 운영 현황 16
7. 선행연구의 고찰 23

Ⅲ. 연구 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연구도구 27
3. 자료의 처리 28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29
1.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29
2. 장애학생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특수교육보조원) 50
3.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53
4. 특수교육보조원의 교육 64
5. 특수교육보조원의 자격 73
6. 특수교육보조원의 관리 82
7. 특수교육보조원의 보수 95
8. 특수교육보조원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 97
9. 현장에서 느끼는 문제점 및 보완점 98

Ⅴ. 요약 및 결론 101
1. 요약 101
2. 결론 105

참고문헌 108
111
11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김성춘. (2007).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관한 인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