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폐콘크리트잔분·현무암석분 혼합토의 도로 성토재료로서 적용성 평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pplicability of the Waste Concrete Powder mixed with the Powdered Basalt for Road Embankment Material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로 처리되어지는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을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혼합토에 대한 공학적 및 환경적 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을 도로의 성토재료로서 재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폐기물공정시험법에 의한 용출시험결과,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에 대한 화학적 농도는 폐기물관리법 기준치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이 환경적으로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2.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 혼합토는 도로의 노상(상·하부)층 재료의 품질기준을 만족하므로 노상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3.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 혼합토는 뒤채움재료의 품질기준인 200번체 통과량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 Sample D(석분함유량 30%)를 제외하고 모두 품질기준을 만족하므로 뒤채움재료로서 사용 할 수 있다.
4.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 혼합토를 도로의 성토재료로서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골재 등과 같은 다른 재료들과 혼합하여 공학적 특성 및 품질을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이상의 일련의 실험을 통한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 혼합토의 일정한 배합비율에 관하여 도로성토재로 사용할 경우, 공학적 기준에 적합하며, 환경적으로 그 유해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이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자원으로 재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has been a gradual increase in waste from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bountiful life. The control problem of the waste is rising to the surface with an environmentally huge problem point. Reduction of resource and environment pollution as the serious concern recycling the waste resource is best bet it will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points of environment pollution and decreased resource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lie in understanding engineering properties identifiably varying when mixing powered basalt gainable from stone-processing with constructional waste soil (less than 5mm) generable as by-product during production of recycling construction aggregates using concrete wastes, the results of which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now-applying Standard of Road Embankment Materials so as to verify that they are reusable applicable for road embankment materials. In this study, the mixed ratio between Waste Concrete Powder and powdered basalt is classified into 4 groups. The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of 4 groups are investigated, and the applicability as the road embankment materials is evaluated. Sample A, B, C, D are suitable for the road material standard of sub-grade layer. Sample D is not suitable for the road material standard of backfills. Sample A, B, C, D are not suitable for the road material standard of sub-base layer. Sample A, B, C, D cannot be applied to the material of sub-base layer. If, the mixed 13mm aggregate and the modified CBR(California Bearing Ratio) value of the Sample A, B, C will be improved, Sample A, B, C can be used the road material of sub-base layer. If the result from the study is proven to bear engineering-based physical properties and reliability, few denies that the reusable application to the field sites will surely reduce the volume of normal soils and crushed stones, to some extent, as an alternative road embankment material. Furthermore, the recyclable use of industrial wastes as the resource for new constructional materials will lead to economical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values.
Author(s)
김태건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74
Alternative Author(s)
Kim, Tae G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토목해양공학과
Advisor
이동욱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Ⅱ. 기존이론 3
1. 도로의 구조 및 재료의 품질기준 3
1) 노상 5
(1) 노상재료의 품질기준 5
2) 노체 7
(1) 노체재료의 품질기준 7
3) 보조기층 9
(1) 보조기층재료의 품질기준 9
4) 뒤채움재 11
(1) 뒤채움재료의 품질기준 11
2. 폐콘크리트잔분과 현무암석분의 발생 과정 및 현황 14
1) 폐콘크리트잔분 14
2) 현무암석분 19
Ⅲ. 실험재료 23
1. 폐콘크리트잔분 23
1) 물리적특성 23
2) 화학적특성 25
2. 현무암석분 29
1) 물리적특성 29
2) 화학적특성 31
Ⅳ. 폐콘크리트잔분-현무암석분 혼합토의 공학적 특성 36
1. 실험개요 36
2. 입도분포변화 37
3. 액·소성 한계시험 40
4. 다짐밀도변화 41
5. CBR실험 42
6. 대형전단시험 44
Ⅴ. 도로성토용 재료로서 적용성 평가 50
1. 노상(상·하부)층 재료 50
2. 뒤채움재용 재료 52
3. 보조기층용 재료 53
Ⅵ. 결론 58
참고문헌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태건. (2010). 폐콘크리트잔분·현무암석분 혼합토의 도로 성토재료로서 적용성 평가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ivil and Ocean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