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emiotic Interpretation of Neo-avantgarde Fashion Make-up in the Post-modern Era
Abstract
메이크업은 신체의 형태, 재질, 색, 냄새를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재구성형(re-constructing) 복식의 일종이며, 개인의 미적 표현을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의미를 담은 시각언어이다. 즉, 기호학 관점에서 메이크업은 메시지를 담지하고 있는 기호이며, 수신자와 발신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호적 측면에서의 패션 메이크업 기호를 해석함으로서 패션 메이크업이 사회적 작용을 지닌 기호임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모리스의 기호학과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을 토대로 새로운 해석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제시된 해석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패션 메이크업 기호를 해석함으로서 동시대의 예술들이 지니는 특성들이 패션 메이크업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재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한 이론적 연구와 패션 메이크업의 작품분석을 위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를 위해 최근 10년 2001년부터 2010년까지 프레타 포르테 컬렉션(Prêt-à-porter Collection)에 발표된 패션 메이크업 중 네오아방가르드의 특성을 가장 두드러지게 표현한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와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등의 디자이너들을 선정하여, 그들의 패션메이크업들을 중심으로 기호적 해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오아방가르드는 1960년대 후기 산업시대가 되면서 역사로의 회귀, 대중문화수용, 이분법적 사고의 해체 등의 특성을 지닌 아방가르드를 지칭한다. 이 아방가르드는 포스트 아방가르드, 네오아방가르드, 현대적 아방가르드, 그리고 포스트 모던적 아방가르드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네오아방가르드, 좀 더 구체적으로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를 선택 ․키워드로 하였으며, 특성으로 대중성, 역사성, 해체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호적 해석을 위해 모리스(C. W. Morris)의 기호학과 파노프스키(E. Panofsky)의 도상해석학을 보완하여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 3단계를 도출하였다. 1단계는 '패션 메이크업 기호의 형태 인식 단계'이며 패션 메이크업 기호의 기표(형태, 색상, 소재, 질감 등의 조형요소 및 조형요소들을 구조화시키는 구성 원리)를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분석된 기표를 통해 전해지는 분위기를 서술하는 단계이다. 2 단계는 '패션 메이크업 기호의 유형에 따른 의미 분석단계'로서, 시대적 상황 및 사회․문화적 배경분석을 통해 메이크업의 기호 유형의 발생 맥락을 분석하고 패션 메이크업 유형이 내포하는 의미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3 단계는 '패션 메이크업 기호의 상징성 분석 및 의사소통단계'로서 패션 메이크업 기호를 통해 표현된 상징성을 분석하고, 패션 메이크업 작품 속에 내재된 미적가치를 공유함으로서 디자이너와의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단계이다.
셋째,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갈리아노와 맥퀸의 패션 메이크업 기호 중 네오아방가르드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표현된 패션메이크업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 에 의해 갈리아노의 대표적인 패션 메이크업 기호 유형을 실증적으로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유형은 화이트컬러의 피부, 핑크 새도우, 가늘고 긴 눈매, 앵두입술로 구성된 형태를 통해 오리엔탈 문화를 새로운 패션 메이크업 디자인으로 제시하려는 의미와 역사성과 해체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오리엔탈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2유형은 플라스틱과 펄과 같은 독특한 소재들로 구성된 형태로 키치적이고 유머러스한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서 세련미와 우아미에 대한 반격적 의미와 대중성과 해체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키치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3유형은 영화배우 보우(C. Bow)의 대표적인 메이크업인 가늘고 긴 눈썹, 블랙새도우와 화살형의 입술과 실크스크린 기법을 응용한 형태로 복제 및 반복의 의미와 부정성과 대중성, 그리고 역사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팝아트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4유형은 블랙컬러의 새도우를 림드기법으로 표현한 후 펄을 콜라주한 형태로 20세기 초 부르주아 계층인 카사티(M. Casati)의 메이크업을 차용한 것으로, 전통적인 미적 범주를 파괴하는 의미와 비대중성과 미래성 그리고 실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림드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5유형은 오렌지 골드컬러의 피부표현으로 구성된 형태로 인도 할리페스티벌에서 염료를 물들이는 풍습에서 차용된 것이며, 평등의 의미와 다양성과 실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카니발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6유형은 의도적으로 테크닉이 미숙해보이도록 한 형태로 영화의 어린 여주인공과 빅토리안 인형에서 차용된 것이며, 어릴 적 향수를 자극하는 의미와 다양성과 실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달리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두 번째로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 에 의해 맥퀸의 대표적인 패션 메이크업 기호를 실증적으로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유형은 굵은 직선형 눈썹과 아쿠아블루 새도우로 눈을 강조한 형태로 고대 이집트의 메이크업에서 차용한 것이며, 종교박해의 의미와 역사성과 적대주의가 상징적으로 내포된 이집트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2유형은 블랙컬러를 사용해 연잎모양으로 새도우를 하고 금속판을 콜라주한 형태로 비주류 문화였던 고스족의 메이크업을 차용한 것이며, 인간내면의 어두운 감정까지도 미적 범주로 수용하는 의미와 퇴폐주의와 실험성 그리고 해체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고딕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3유형은 굵은 상승형의 아이브로우를 그린 미완성적인 형태로 빅토리아시대의 절제된 메이크업에 영향을 받은 것이며, 성 정체성을 초월한 다양한 성에 대한 의미와 퇴폐성과 해체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앤드로지너스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4유형은 레드컬러로 입술만을 아웃라인으로 표현한 형태로 비닐과 캔을 이용한 헤어장식과 코디네이션시킴으로써 환경에 대한 경고의 의미는 물론 투쟁주의와 대중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누보 팝아트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5유형은 새의 깃털을 오브제로 사용한 형태로 맥퀸의 멘토였던 블로우(I. Blow)를 상징하는 새를 차용한 것이며, 환상의 세계를 통해 존경과 그리움의 의미는 물론 허무주의와 실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판타지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6유형은 부조물을 이용한 입체적 메이크업 형태로 미래의 생명체를 표현한 것이며, 생태계의 붕괴와 종말의 의미는 물론 실험성과 미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미래 변종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이상과 같이 실증적으로 해석한 결과, 패션 메이크업은 디자이너의 예술적 의도가 포함된 언어로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입증하였고, 메이크업이 사회 문화적 가치를 지닌 기호임을 재규명할 수 있었다.
또한 패션 메이크업의 의미체계를 분석하면서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의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에 의한 해석에 있어서 디자이너의 의도를 분석함으로서 디자이너의 아비투스(habitus)를 이해할 수 있다.
둘째,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에 의한 해석에 있어서 유형에 따른 의미 분석을 통해 해석을 수정 · 보완함으로써 해석자의 오독을 최소화 할 수 있다.
Barthes proposed that fashion is a silent form of communication with a sign which consists of icon, index, and symbol. Makeup is also a part of fashion and a visual language that expresses individual beauty by re‐constructing shape, texture and fragrance of human body temporarily or permanently. In the semiotics standpoint, makeup is a sign, specifically an icon, which contains designers' message that can be interpretable by investigating elements of the makeup. Therefore, sign senders (e.g., designers) and sign receivers (e.g., spectators) are able to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a sign (e.g., makeup). Interpreting signs may be subjective depending on interpreter's background an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ystemic analysis paradigm to interpret fashion make-up signs in terms of semiotics and to re-establish that fashion makeup sings reflect 'neo-avantgarde of the post-modern era' considered as the spirit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y appling the suggested paradigm.
As methods this study performed both of a theoretical study focusing on literature and an empirical study for analysis of fashion makeup works. For an empirical study John Galliano and Alexander McQueen were chosen through a preliminary study and the data for analysis were limited to make-up presented in Prêt-à-porter Collection from 2001 to 2010 to analyze fashion make-up for the last 10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eo-avantgarde means avantgarde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return to the history, acceptance of popular culture and deconstruction of dichotomy after the industrial era of the late 1960s compared to avantgarde in 1900s. This avantgarde is called variously as post-avantgarde, neo-avantgarde and post-modern avantgarde, but this study selected 'neo-avantgarde in post-modern era' and used it as a key word and drawed that its characteristics were antagonism, futurism, experimentation, popularity, historicism and deconstruction.
Second,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supplementing Morris's semiotics and Panofsky's iconology theory consists of three steps. Step 1 or 'recognition of form' is a step depicting objectively signifier of fashion makeup signs (plastic elements such as form, color, material and texture and plastic principles structuralizing them) and describing a mood felt through the analyzed the signifier. Step 2 or 'analysis of connotation meanings' is a step analyzing occurrence of type of makeup signs through analysis on periodical circumstances and social․cultural background and analyzing implicit meanings of each makeup type. Step 3 or 'analysis of symbolic meanings and communication' is a step analyzing symbolism expressed through fashion makeup signs and trying to communicate with designers by sharing aesthetic values in makeup works.
Third, this study selected six fashion makeup signs of John Galliano and Alexander McQueen based on the types of make up classified i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When types of representative fashion makeup signs of John Galliano were interpreted empirically based on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Type 1 was showing white color skin, pink shadow, narrow and long eye pattern and cherry-red lips and was an oriental fashion makeup sign suggesting a new design under the oriental culture and including historicism and deconstruction symbolically.
Type 2 was presenting kitsch and humorous images with distinctive materials such as plastic pearl and was a kitsch makeup fashion sign meaning counterattack against refinement and grace and including popularity and deconstruction symbolically.
Type 3 was applying the representative makeup of actress Clara Bow with narrow and long eyebrows, black shadow, arrow-shape lips and silk screen technique and was a pop art-style fashion makeup sign meaning a repeatable makeup and including antagonism, popularity and historicism symbolically.
Type 4 was made up collage after expressing black-color shadow with rimed technique by borrowing the makeup of Marchesa Casati, a bourgeoise, in the early 20the century and was a rimed style fashion makeup sign meaning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aesthetical range and including non-popularity, futurism and experimentation symbolically.
Type 5 was showing orange gold color skin by borrowing the custom dyeing on Holi festival in India and was a carnival fashion makeup sign meaning equality and including diversity and experimentation symbolically.
Type 6 was expressing immature techniques intensionally by borrowing young heroines in movies and Victorian dolls and was a dolly fashion makeup sign meaning stimulation of memory of the childhood and including diversity and experimentation symbolically.
When types of representative fashion makeup signs of Alexander McQueen were interpreted empirically based on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Type 1 was showing thick linear eyebrows and emphasizing eyes with aqua blue shadow by borrowing the makeup of the antient Egypt and was an Egyptian fashion makeup sign meaning religion persecution and including historicism and adversaryism symbolically.
Type 2 was presenting black color shadow and collage of a metal plate by borrowing the makeup of the Goths, a nonmainstream culture and was a Gothic makeup fashion sign meaning the acceptance of dark emotion of the human within the aesthetical range and including decadence, experimentation and deconstruction symbolically.
Type 3 was showing incomplete form with thick eyebrows affected by a moderate makeup of the Victorian era and was an androgynous fashion makeup sign meaning various sexuality beyond gender identity and including decadence and deconstruction symbolically.
Type 4 was expressing only lips with a red color outline with coordinating with hair ornaments using vinyl and a can and was a Nouveaux Pop art fashion makeup sign meaning warning for the environment and including militancy and popularity symbolically.
Type 5 was using feathers of birds as objects by borrowing the bird symbolizing Isabella Blow, a mentor of McQueen and was a fantasia fashion makeup sign meaning respect and longing through a fantastic world and including nihilism and experimentation symbolically.
Type 6 was expressing future organisms with three-dimensional makeup and was a futuristic variant fashion makeup sign meaning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nd the end and including experimentation and futurism symbolically.
From all of these results of this empirical interpretation, fashion makeup was found to play its role as a language containing an artistic intension of a designer sufficiently and makeup was determined again to be signs with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again the importance of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in analyzing the meaning system of fashion makeup, and its importance was as follows.
First,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helped to understand habitus of a designer by analyzing designers intension in interpreting the paradigm.
Second,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could minimize a wrong interpretation from the point of observers in interpreting the paradigm.
Author(s)
金炫美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145
Alternative Author(s)
Kim, Hyun 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장애란
Table Of Contents
목 차

국문초록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방법 및 범위 4

II. 이론적 배경 7
1.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7
1) 네오아방가르드의 개념 7
2) 네오아방가르드와 패러다임의 변화 14
3)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예술의 특성 16
2. 기호학의 개념 27
1) 기호의 개념 28
2) 모리스의 미학기호학 35

III. 패션 메이크업 기호의 해석을 위한 패러다임 39
1.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정의 39
2.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을 위한 관점 43
1) 모리스 이론에 의한 패션 메이크업의 해석 관점 43
2) 파노프스키 이론에 의한 패션 메이크업의 해석 관점 48
3.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 해석 패러다임 51

IV.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54
1. 존 갈리아노의 패션 메이크업 기호 54
1) 오리엔탈(Orientale)식 메이크업 54
2) 키치(Kitsch)식 메이크업 59
3) 팝아트(Pop art)식 메이크업 63
4) 림드(Rimmed)식 메이크업 67
5) 카니발(Carnival)식 메이크업 71
6) 달리(Dolly)식 메이크업 74
2.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 메이크업 기호 78
1) 이집트(Egyptian)식 메이크업 78
2) 고딕(Gothic)식 메이크업 81
3) 엔드로지너스(Androgynous)식 메이크업 85
4) 누보 팝아트(Nouveaux Pop art)식 메이크업 88
5) 판타지(Fantasia)식 메이크업 91
6) 미래변종(Futuristic Variant)식 메이크업 95

V. 결론 및 제언 101


참고문헌 105
ABSTRACT 113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金炫美. (2010).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