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교과통합적 미술지도 방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How to Teach Cross-curricula Art Through Project Approach : Focusing on small group activities of 3rd graders
Abstract
초등학교 3, 4학년에서 처음으로 실시되는 2007 개정 미술교육과정에서는 미술 영역내의 통합 뿐 아니라, 미술교과와 타 교과, 범 교과 학습 주제와 다양하게 통합하여 지도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다른 개성과 흥미를 가지고 있는 어린이들에게 같은 교재로 동일한 장소에서 교사 위주의 교육이 실시되거나 주지 교과에 밀려 소홀히 되는 경우, 또는 교과 과정에서 정해진 시간에 지식의 분절화와 형식화로 진행되는 수업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해 준 것이다.
본 연구는 준비 단계에서 교사가 먼저 교과와 연계한 주제 중심의 교육과정을 추출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아동들이 흥미를 보이는 주제를 중심으로 '돌과의 만남'이라는 지역화 단원으로 재구성하고 상징화 주기를 이용하여 아는 것 말로 표현하기, 첫 그리기와 토의, 조사 현장학습, 견학 후 그리기의 확장, 심화 과정의 주기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정리 단계에서는 활동 결과를 전시하고 마무리 하였다.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는 소규모의 분교장으로 3학년 어린이 4명으로 구성되어 있어, 교사와 아동이 함께 대화와 충분한 토론을 통한 학습자 위주의 미술 시간을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교과 통합 미술 지도가 용이 하였다.

프로젝트 접근법에 기초한 교과 통합 미술 지도의 효과는
첫째, 흥미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으로 이끌 수 있으며
둘째, 대화와 토론 중심의 수업 진행을 통해 어린이들 상호간의 협동심이 증대하고 친화력이 강화되었다.
셋째, 다양한 표현 활동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져 초기의 경험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심도있는 표현 활동이 이루어졌다.
넷째, 작품 감상 활동은 조형 감각, 대상에 대한 관찰 능력, 창의성에 대한 이해와 언어 구사 능력을 향상 시켰으며 심미성, 창의성, 조형성을 기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교과 통합적 미술 지도는 아동들이 주체가 된 미술 활동을 제공했으며 아동들에게 미술 교육에서 지향하는 미적 감수성, 창의적 표현 능력, 비평 능력과 미술문화를 향수할 수 능력을 기르게 할 수 있었다.
또한 생활 속에서 미적 체험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조형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미술을 통하여 생활 속에서 삶을 풍부하게 누릴 수 있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아동들의 흥미를 중심으로 한 소주제에 대하여 심화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는 교사의 연구 시간과 교사의 재구성 권한이 충분히 확대되어야 한다고 본다.
The 2007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for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suggests not only broad-based integration of art within general course framework but also recommends cross curricula education of art to better deal with interdisciplinary topics. The program is design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differing personality and interests to enjoy art class, which has been relatively ignored when compared to so-called main subjects; when conducted at all, art instruction and activities are held nominally at a designated period of within the day's curriculum and in the homeroom, with the same material and by the same teacher as the past.

In the preliminary phase of this study, teachers extract topic-oriented education process connected to other curricula. The practicing phase reduces the topics--children pay more attention to--to more localized one by selecting, for example, such topic as 'meeting with stones' and develop how to teach art class according to the symbolizing cycle--consisting of prior oral expression of what kids already know, drawing and discussion before on-site study, research, field trip, extensive drawing after on-site study, and in-depth learning. In the wrap-up phase, teachers and students display the results of their activities.

The author is a principal for a branch elementary school that has four students in the 3rd grade. The high ratio of teacher to student creates an ideal environment for cross-curricula art education through project approach--as teachers and learner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sufficient conversation and discussion, which is, essentially, a learner-oriented education.

As a result, the cross-curricula art education based on project approach is believed to have several beneficial effects: self-managing education during exploring interesting topics in an in-depth way; strengthening of mutual cooperation and friendliness among learners through conversation and discussion; restructuring of early expression through various autonomous expression activities; and improved artistic appreciation skills toward works of art, as well as their connective and related objects, in a process which leads learners to a more sophisticated sense of observation, creativity and oral expression, all of which cultivate the aesthetic, creative and formative senses.


Consequently, the cross-curricula art education under project approach fosters an environment wherein learners participate positively in art activities and develop their own abilities--an aesthetic sense, creative expression and criticism, and artistic appreciation skills for creation of artwork and toward a culture of art.

The learners are expected to improve their formative sense in virtue of opportunities given them to enjoy significant aesthetical experiences in their ordinary lives. Suggested herein, for in-depth education involved in sub-themes designated according to children's various interests, is that teachers need to occupy and even extend sufficient time and authority to research for the preparation of, and reorganize art class.
Author(s)
이기영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209
Alternative Author(s)
Lee, Gi Y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
Advisor
임춘배
Table Of Contents
목 차

국문 초록 ⅰ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3. 연구의 제한점 3

Ⅱ. 교육과정에서의 통합적 접근 4
1. 통합교육과정 4
2. 통합교육과정과 미술교육 9

Ⅲ.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미술 교육 15
1.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이해 15
2. 프로젝트 접근법과 미술교육 16
3.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젝트접근법 18

Ⅳ.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교과통합적 미술 지도 24
1.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통합미술교육과정의 재구성 24
2.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교과통합적 미술지도의 실제 33

Ⅳ. 결론 및 제언 65

참고 문헌 67

ABSTRACT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기영. (2010). 프로젝트 접근법에 의한 교과통합적 미술지도 방법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Art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