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학교규정 인지교육을 통한 생활적응력 증진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Finding Ways to Improve Adaptability Through Teaching About School Regulations
Abstract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은 교육법규에 의거, 고시한 국가수준의 '기준'임을 명시,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과정, 학습자중심 교육과정, 교원ㆍ학생ㆍ학부모가 함께 실현하는 교육과정, 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ㆍ관리하기 위한 교육과정이라는 성격을 제시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즉,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모두 포괄하는 '통합적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학생의 학교생활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학생의 역할은 매우 수동적이며, 피교육자의 입장에서 지도와 지시, 감독을 받고 있는 경향이 강하며 학생 스스로 학교생활에 대해 인지하고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적인 내용과 요소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이 추구하는 목적에 부응하는 학습자 중심적인 생활, 즉 학습자가 학교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인지하여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교육의 주체로서 능동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학교생활이 가능한 분위기가 될 수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교육의 주체인 학생 스스로 학교생활에서 나타나는 자신의 일탈행동을 새로운 학교규정 인지교육 강화를 통해 최소화하고, 사전 예방차원의 자기통제로 학교생활에 익숙하도록 실천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력을 증진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규정인지 수준 및 현행 체제의 실태 파악을 위해 기초설문을 실시, 설문에서 요구된 학교규정항목에 학생들의 반응 검토 및 분석으로 인지교육수준을 설정하였다. 둘째, 학교규정인지 적용 과정, 학교생활적응력 증진 등의 전략 모색을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학교행사와 연계하여 규정인지교육을 강화하였다. 셋째, 다양한 발문의 학생 ․ 교사의 추후 설문으로, 학교규정 인지교육 후 생활의 변화, 학교생활적응 여부 등을 파악하고자 연구에 사용된 변인을 측정하고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넷째, 규정인지교육이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향상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대상 외에도 이웃학교 생활지도 담당교사와의 인터뷰로 규정인지 수준, 규정적용 방법 등의 조언을 청취하여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였다. 아울러 학교규정인지가 어려운 현행 체제, 규정위반에 대한 규정적용의 수위, 사전 학교규정인지교육 여부 등 학교규정인지교육 시행의 필요성을 교육정책차원의 개선을 요구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A고등학교의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1․2차 설문을 실시하였고, 서귀포시 6개 고등학교 생활지도교사 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할 측정도구는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교규정 인지교육'이 되지 않은 시점에서의 특정집단 학생․교사의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조사로, 1차 설문지를 구성, 지도교수의 전문적인 조언과 자문을 통해 수정 및 보완을 거쳐 최종 제작한 질문지를 학생 및 교사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양호도는 전수조사 후 기술통계를 적용하였다.
1차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학교규정인지교육을 실시하기 이전에 일상에서의 자기성향, 학교규정에 대한 인식, 학교에서의 상황적 특성 등의 내용체계로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설문 후 연구의 대상인 학생들에게 학교규정인지의 전반적인 내용을 교육하였고, 대입․적용 후 어떤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2차 설문지를 제작, 적용하였다.
2차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인지교육을 실시한 이후의 학교규정에 대한 인식 변화, 학교규정에 대한 기대 성향 등의 내용으로, 설문을 제작,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지역 내의 6개 학교를 방문, 생활지도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1 ․ 2차 ․ 교사의 설문분석을 통해 학교규정인지가 생활적응력 증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끝으로, 본 논문은 무질서, 나태, 해이 등의 기초질서의식이 부족한 학교현장에 학교규정 인지교육을 강화하여 규칙준수의 질서 있는 삶을 정착시킴은 물론 학생 스스로 규정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자제하도록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향상을 꾀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학생의 내적욕구와 규정인지교육이 적절히 부합된다면, 학생은 규정위반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고 자제하게 되어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ased on Education Regulations, the amendment of the 7th curriculum offers the education that considers a sense of diversity and a learner-centered learning. Add to these, it also cares for the education that is fulfilled by the cooperations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the education that manages and maintains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short,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ble to be referred to as 'integrated educational course'.
However, if looking at a school life of a student, it appeared to be very passive and rather strongly controlled by instructions, orders and supervision. After all, the reality is that very little of students are aware of the existence of the learner-centered elements at school. But, with the amendment of the 7th curriculum that pursues the life based on leaners which indicates that the students actually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by themselves as they acquire the general factors on the school life. The curriculum provides the educational course that makes students willingly join the school activities as the agent of the education which led to the possibility that there would be the learner-centered school life. As a result,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find ways to have students minimize their acts of deviance by themselves through giving them the education on the school regulations, and to improve their school adaptabilities by self-control in advance.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I conducted a basic survey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school codes and the status of current system. Then I set the level of awareness education based on the review and analysis on students' reactions to school code entries required in the survey. Second, I investigated previous literature to devise strategies for adapting process of awareness of school codes and improving school adaptation. Also I reinforced the code-awareness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chool events. Third, based on follow-up surveys on students and teachers using various questioning, I measured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nd analyzed the credibility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s in school life and the adaptation of school after code-awareness education. Fourth,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ode-awareness education and improved adaptation of school, I complemented any shortcomings of this study by interviewing teachers in charge on the level of code-awareness, how to adapt the code, how much students are adapted to school and any other related matters, besides literature research and the previously mentioned survey on the study subjects.
Along with this, the study also sought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daptabilities to school life and the school regulations. Did the study not only improve the adaptability by conducting an efficient management on regulations, but also tried to present the necessity for the school regulation recognizing education by explaining how difficult it is to teach students about the school regulations at present, how the violations to the regulations should be handled, and how important it is to conduct the education on the school regulations in advance. In the end, the study wanted to be in part of improving the educational policy.
300 students at A high school, Seogwipo-si, Jeju and 21 guidance counselors at six high schools were objected to survey and interview. The measuring apparatus for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relevant references and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what was gained from the investigations the first questionnaire was written to see how much students and teachers were aware of the school regulations before the school regulation recognizing education was performed. With advices from the professor, the final draft of the questionnaire after editing and supplementing was handed out to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The descriptive statistic was applied to the validity of the measuring apparatus after the complete enumeration.
The first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questions on one's characteristics in daily life, awareness of the school regulations, and the situational features at school before the education for recognizing the school regulations was conducted. After the survey, the general education on the school regulations was carried out to the students, and to see changes after the application the second questionnaire was written and filled out.
The second questionnaire was to learn the changes on the awareness of the school regulations and expectations towards the rules after conducting the recognition education. Also, the guidance counselors at six local schools were asked for survey and interview. From the analysis on the first and second survey, the study tried to prove how recognizing the school regulations influences the improvements on the life adaptability.
Lastly, by strengthening the educations on school regulations at schools with disorders, indolences, and laxities, the study aimed to improve the adaptabilities to school life through establishing orderly life and making students control themselves before violating the regulations. If the internal needs of the students and the educations on the school regulations are properly corresponded to each other, it would be helpful for students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as they determine the question of violating the regulations
Author(s)
권혁진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40
Alternative Author(s)
Kwon, Hyuk-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고전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 연구의 문제 4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인지교육 및 생활적응력의 의의 6
2. 인지교육과 생활적응력의 상관성 13
3. 생활적응력 증진방안에 관한 논의 14

Ⅲ. 연구방법 27
1. 연구의 대상 27
2. 연구의 도구 27
3. 연구의 설계 32

Ⅳ. 연구결과 및 분석 34
1. 학교규정에 관한 인식조사 34
2. 연구결과 분석 36

Ⅴ. 결론 및 제언 63
1. 요약 63
2. 결론 64

참고문헌 72
Abstract 74
부록 7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권혁진. (2010). 학교규정 인지교육을 통한 생활적응력 증진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