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韓國 軍樂隊의 發展 方向에 關한 調査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Korean Military Bands
Abstract
우리나라 관악 역사의 시초는 군악대의 창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대한민국 군악대는 한국 브라스밴드와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맞춰 함께 변화하고 발전해 나가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군 장병의 사기진작, 군내 . 외 각종 의식행사지원, 외부적으로는 매년 순회연주를 통한 군 이미지 개선, 등 많은 활동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을 널리 알려 왔다.
하지만 중 . 고등학교의 입시추세의 변화로 인한 관악대 활동 위축, 그로인한 음악전공자 감소 등 많은 상황적 악재로 인해 현재 모병자원의 부족현상까지 겪고 있으며 운영상의 많은 문제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해군군악 교육대의 운영을 중심으로 군악대 전반의 운영상 문제점, 모병의 현 실태를 조사하고 파악하여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가장 큰 목표는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표를 제시한다는 것이다.
연구는 현재의 운영실태와 근무환경을 이해하고 그 개선방안을 효과적으로 모색하기위해 전국 해군 . 해병 군악대의 203명의 장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군악대 모병 및 교육대 운영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현재 복무하고 있는 군악대원들의 사회적 활동이 모병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대원들이 불편을 느끼지 않고 본연의 임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복무여건을 개선해야한다.
둘째, 인터넷을 이용한 모병홍보와 고등학교 관악대 및 민간 관악단체, 대학교 음악학부 등 관련단체와의 긴밀한 협조와 연대관계를 통해 모병홍보를 더 체계적으로 해야 한다.
셋째, 군악대지원의 가장 큰 동기가 특기와 적성을 살린 군 생활이라는 점을 생각해볼 때 지원자들은 군 생활 중에도 대학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대 운영을 재정비해야한다
넷째, 우수한 여성자원의 활용이다. 해군 여자 부사관 군악대를 창설함으로써 현재의 모병자원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일부 해소할 수 있을 것이고 더불어 이러한 홍보의 효과는 가장 근본적인 모병문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다섯째, 군가의 자발적인 보급이다. 훈련소 군가교육을 전문성이 있는 성악 병이 담당하게 하여 정확한 군가교육이 될 수 있게 해야 한다.
본 연구논문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당도한 모병자원과 교육여건의 부족이라는 문제해결의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깊은 관심으로 다양한 시각에서 이 문제를 생각하고 대안을 세워 또 다시 변화하고 발전하는 군악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실력 있는 자원들이 해군 군악대에 입대해 더욱더 실력을 키워 나가서도 유명한 음악인이 되어 대한민국 음악계의 튼실한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자발적으로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고 또 변화해나가자고 당부하는 바이다.
Author(s)
빈대욱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44
Alternative Author(s)
Bin,Dae-w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許大植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목적 1
1) 한국 양악의 태동 1
2) 한국 군악대의 창설 1
3) 연구의 목적 2
2. 연구의 방법 3
II.한국 군악대의 역사 4
1. 해방 이전의 군악대 4
1) 창설 배경 4
2) 프란츠 에케르트(Franz Eckert) 6
3) 활동과 해산 7
4) 개화기의 군악대 9
2. 창군 이후 군악대 10
1) 육군 군악대 10
2) 해군 군악대 11
3) 해병대 군악대 15
4) 공군 군악대 16
5) 국방부 군악대 17
6) 경찰악대 18
III. 한국 관악단과 군악대의 현 실태 19
1.한국 관악단의 실태 19
1) 학교 관악단 19
2) 민간 관악단 20
2. 한국 군악대의 현 실태 21
1) 군악대의 기능 21
2) 모병현황 21
IV. 설문조사 및 통계 24
1. 설문대상 24
2. 문항구성 24
3. 연구 절차 38
4. 분석 방법 38
V. 결과 분석 39
1.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39
2. 모병제도와 만족도 41
1) 지원 동기 41
2) 군 생활 만족도 42
3) 모병제도의 만족도 및 문제점 43
4) 군 별 선호도 44
5) 실용음악 자원 활용 45
3. 군악대 운영 46
1) 행사 및 연주 46
2) 군악업무 운영실태 47
3) 외부강사 초빙교육 47
4) 부대시설 만족도 48
4. 군악 교육대 운영 49
1) 교육기간 49
2) 3군통합 교육대 운영 51
3) 군악 교육대 운영의 문제점 52
5. 여군 군악대 창설 54
6. 군가 교육 56
1) 후반기 군가교육 실태 56
2) 군가에 대한 지식 57
3) 성악병 (군가지도병) 활용 58
Ⅵ. 결 론 및 제언 59
1. 요약 59
1) 모병제도와 만족도 59
2) 군악대 운영 60
3) 군악 교육대 운영 61
4) 여군군악대 창설 61
5) 군가교육 62
2. 주안점 63
3. 결론 64
참고문헌 67
국문초록 69
Abstract 7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빈대욱. (2007). 韓國 軍樂隊의 發展 方向에 關한 調査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