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의 4개 주요항만(부산, 울산, 광양, 인천)에 분포하는 섬모충플랑크톤의 계절동태 특성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haracteristic of Seasonal Dynamics of Planktonic Ciliates at 4 Major Ports, Busan, Ulsan, Kwangyang and Incheon, Korea
Abstract
한국의 주요항만에 분포하는 섬모충플랑크톤의 계절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수괴지표종인 유종섬모충을 이용하여 외래 생물종의 유입을 조사하였다. 외래 생물종의 유입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류의 영향으로 인한 유입과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를 통한 가능성을 두고 접근하였다. 시료의 정성 및 정량 채집은 우리나라 주요항만인 부산항, 울산항, 광양항, 인천항에서 2007년 2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유종섬모충플랑크톤은 총 15속 45종이다. 광양항에서 34종, 부산항에서 33종, 울산항에서 31종, 인천항에서 18종이 관찰되었고 무각섬모충 플랑크톤의 개체수의 범위는 566~65,151 cells·L^(-1)이며 유종섬모충 플랑크톤의 개체수의 범위는 10~5,973 cells·L^(-1)이다. 전체 섬모충 플랑크톤의 개체수의 범위는 642~65,182 cells·L^(-1)로 개체수의 변화는 조사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우점종으로는 부산항에서 Tintinnopsis beroidea, 울산항에서 Helicostomella subulata와 Tintinnopsis nana, 인천항에서 Tintinnidium balechi, 광양항에서 Ascampbelilla acuta, Tintinnidium balechi, Tintinnopsis beroidea, T. tocantinensis, T. baltica, T. nana, T. nordqvisti, T. rapa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미국의 오레곤 Coos Bay의 항만에서 선박평형수의 벡터생물로 보고가 되어 있는 유종섬모충플랑크톤을 한국의 4개 주요항만(부산, 울산, 광양, 인천)에서 조사를 한 결과로 Eutintinnus lusus-undae, Eutintinnus tubulosus, Favella ehrenbergii, Favella taraikaensis, Helicostomella subulata, Stenosemella nivalis, Tintinnopsis ampla, Tintinnopsis beroidea, Tintinnopsis cylindrica, Tintinnopsis directa, Tintinnopsis lohmanni, Tintinnopsis radix, Tintinnopsis rapa로 한국의 4개 주요항만인 부산항에서 10종류, 울산항에서 11종류, 광양항에서 13종류, 인천항에서 6종류가 기록되었다.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하계와 추계에 난류지표종인 Ascampbeliella urceolata, Dadayiella ganymedes, Eutintinnus stramentus, Protorhabdonella curta, Codonellopsis morchella, Codonellopsis ostenfeldi가 8월과 11월에 출현하였다. 인천항과 광양항에서는 전 계절을 통해 연안종이 출현하였고 특히 저수온기와 고수온기에 연안 지표종의 출현이 뚜렷하였다. 광양항에서는 2007년 5월에 국내미기록종이며 난류종인 Tintinnopsis ampla의 출현과 2008년 11월에 Codonellopsis ostenfeldi가 출현을 보였지만 인천항에서는 난류지표종의 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종섬모충의 출현분포의 특성은 연안종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쿠로시오 난류의 지류인 쓰시마 난류의 영향이 큰 부산과 울산항에 8월과 11월에만 난류 지표종이 중점적으로 출현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 미기록종 및 난류종의 영향은 기후변화와 쓰시마 난류에 의해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Plankton ciliates play an important role in food web of marine ecosystem as well as bio-indicator for invade species from foreign country or from changing flow of currents due to ciliate chang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an evidence for introduction of invade species. We surveyed the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of planktonic ciliate in order to find out evidences for invade species at Busan, Ulsan, Gwangyang and Incheon as major ports of Korea from February 2007 to November 2008.
A total of 45 species of ciliates, belonging to 15 genera,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each port, 34 species occurred at Gwangyang, 33 at Busan, 31 at Ulsan, 18 at Incheon, respectively. The abundance of naked ciliates ranged from 566 to 65,151 cells·L^(-1) and that of tintinnids 10 to 5,973 cells·L^(-1). Dominant species is Tintinnopsis beroidea at Busan Port, Helicostomella subulata, Tintinnopsis nana at Ulsan port, Ascampbelilla acuta, Tintinnidium balechi, Tintinnopsis beroidea, Tintinnopsis tocantinensis, Tintinnopsis baltica, Tintinnopsis nana, Tintinnopsis nordqvisti, Tintinnopsis rapa at Gwangyang port, Tintinnidium balechi at Incheon port.
Finding on investigation of American's Oregon Coos Bay Port has been reported tintinnid as vector living which are follows, Eutintinnus lusus-undae, Eutintinnus tubulosus, Favella ehrenbergii, Favella taraikaensis, Helicostomella subulata, Stenosemella nivalis, Tintinnopsis ampla, Tintinnopsis beroidea, Tintinnopsis cylindrica, Tintinnopsis directa, Tintinnopsis lohmanni, Tintinnopsis radix, Tintinnopsis rapa. In each ports, 10 species occurred in Busan ports, 11 in Ulsan ports, 13 in Gwangyang ports, 6 in Incheon port, respectively.
Ascampbeliella urceolata, Dadayiella ganymedes, Eutintinnus stramentus, Protorhabdonella curta, Codonellopsis morchella, Codonellopsis ostenfenfeldi of the warm water species occurred in August and November at Busan and Ulsan ports. the neritic species occurred in Incheon and Gwangyang ports through all season, and especially the neritic species occurred precisely in low and high water temperature.
Tintinnopsis ampla of the warm current species and newly recorded species in Korea occurred at May 2007 and Codonellopsis ostenfeldi at November 2008. But appearance of the warm water species is not observed in Incheon Port. The tintinnids occurred throughout the survey are marine neritic species, while the warm water species occurred only in short period at Busan and Ulsan Ports that might be affected seasonally by Tsushima Warm Current. It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the warm water species might be affected is by influx of Tsushima Warm Current.
Author(s)
양승우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80
Alternative Author(s)
Yang, Seung Wo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학과
Advisor
이준백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4
Ⅱ-1 조사지역 및 시기 4
Ⅱ-1-1 조사지역 및 정점 4
Ⅱ-1-2 조사시기 및 시료채취 4
Ⅱ-2 측정항목 6
Ⅱ-2-1 수온과 염분 6
Ⅱ-2-2 섬모충플랑크톤 6
Ⅱ-3 데이터 분석 6
Ⅲ. 결과 및 고찰 7
Ⅲ-1 해양환경 특성 7
Ⅲ-1-1 조사해역의 수환경 변동 7
Ⅲ-2 섬모충플랑크톤 11
Ⅲ-2-1 유종섬모충류의 출현종수의 변동과 출현종의 특성 11
Ⅲ-2-2 부유성 섬모충의 세포수 변동 24
Ⅲ-2-3 유종섬모충플랑크톤 우점종 변동과 출현특성 37
Ⅲ-2-4 미기록종 40
Ⅲ-2-5 유종섬모충플랑크톤과 환경요인(수온)과의 관계 42
Ⅴ. 결론 44
참고문헌 46
요약 50
감사의 글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승우. (2010). 한국의 4개 주요항만(부산, 울산, 광양, 인천)에 분포하는 섬모충플랑크톤의 계절동태 특성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Earth and Marine Convergence > Earth and Marine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