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화 재료를 통한 아동화 표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xpression of Children's Painting Through Korean Painting Materials
Abstract
오늘날 한국화의 상황과 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한국화에 대한 관심은 세대가 낮아질수록 급격히 하향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의 주된 요인은 서양화 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한국화 교육에 대한 학교교육 정책의 소홀함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화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교과서 분석과 설문지 조사,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ㆍ실시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현행 초등학교 4, 5, 6학년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아동 예시작품을 중심으로 한국화와 서양화 재료의 활용 분포를 알아보았고, 설문지는 제주도 내의 교사 131명과 4, 5, 6학년 아동 64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은 S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3명과 여학생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과서의 한국화와 서양화 재료의 활용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4, 5, 6학년 아동 예시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5학년을 제외하고 서양화 재료의 활용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의 한국화 재료 활용과 지도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와 아동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1) 재료 활용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사와 아동 모두 서양화 재료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한국화 재료 실기시 아동의 흥미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보통이상의 흥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한국화 실기시 미술시간에 가장 많이 다루는 표현 영역을 분석한 결과 교사와 아동 모두 타 영역에 비해 보고 그리기를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들에게 화선지에 먹으로 그릴 때 가장 마음껏 하고픈 표현을 묻는 질문에선, 상상하여 그리기 60.9%, 보고 그리기 19.0%로 상상하여 그리기가 높게 나타났다. 4) 한국화 실기시간과 교과구성에 대한 교사의 응답에서는 대체적으로 부족하다는 의견이 높았고, 교과서 개편시 한국화 부분은 다양한 표현 방법을 더 많이 수록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5) 실기환경 여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사와 아동 모두 교실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불편한 점으로는 책상의 비좁음을 들었다.
셋째, 본 연구자가 개발한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을 아동들에게 실시ㆍ적용한 결과 초기단계에서는 화선지가 자주 찢어지고 붓 사용이 미흡하였으나 거듭되는 표현 과정에서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게 되자 흥미를 갖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미술교육에 있어서 한국화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미술교과서에 한국화 재료 명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아동들이 한국화 재료에 익숙해지도록 해야할 것이다.
둘째, 학년 간 연계성을 고려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한국화 교육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 terms of the situations and educational conditions of Korean painting today, interest in Korean painting is rapidly becoming less among younger generation. Among many factors, this can be attributed to neglect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due to education centered on Western painting.
To identify problems and improvement schemes for the current Korean painting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made analysis of textbooks, conducted a survey, and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painting. The current art textbooks for fourth-, fifth-, and sixth-graders were analyzed to examine distribution of use of Korean and Western painting materials based on illustrations for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31 teachers and 647 fourth-, fifth-, and sixth-graders in Jeju Island. A Korean painting education program was constructed and applied to three boys and three girls as fourth-graders at S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illustrations for fourth-, fifth-, and sixth-graders to determine
the rate of use of Korean and Western painting materials in art textbooks, the rate
was found to be higher for Western painting, with the exception of fifth-graders.
Second,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children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use of Korean painting materials and teaching conditions at elementary schools. 1) As for the use of Korean painting materials, both teachers and children preferred to Western painting materials. 2) As for children's interest in practice of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both teachers and children showed over-average-level interest. 3) As for fields dealt with most frequently in an art class, both teachers and children more frequently performed drawing by observation than other fields. As for the most desired expression in drawing with an ink stick on paper, however, 60.9% of the children wanted drawing by imagination while 19.0% wanted drawing by observation. 4) Most of the teachers suggested that time for practice and subject construction was largely insufficient and that the section of Korean painting should be complemented with more expression methods in textbook revision. 5) As for practice circumstances, both teachers and children were using a classroom and complained of a narrow desk as inconvenience.
Third,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program to children, they lacked an ability to control water, letting paper be torn frequently at the beginning stage, but understood properties of materials through repeated processes of expression and participated in a program with interest.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several suggestions can be made to activate Korean painting education in school art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for an art textbook to present titles of Korean painting materials in detail so that children can be accustomed to the materials.
Second, it is urgent to make a substantial and concrete Korean painting education scheme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levels and inter-grade association.
Author(s)
김유경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07
Alternative Author(s)
Kim, Yu-Ky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강동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과 방법 = 2
3.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3
1. 아동미술에서의 재료의 의미 = 3
2. 한국화 재료의 특징 = 3
3. 한국화 재료 활용의 교육적 의의 = 7
Ⅲ. 초등미술의 한국화 재료 활용 및 지도 실태 = 8
1. 미술교육과정 = 8
2. 미술교과의 한국화와 서양화 재료 활용 분석 = 9
3. 한국화 재료 활용 및 지도 실태 설문조사 = 15
Ⅳ. 한국화 재료를 통한 아동화 표현의 실제 = 46
Ⅴ. 결과 요약 및 제안 = 87
참고 문헌 = 90
Abstract = 91
부록 = 9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유경. (2007). 한국화 재료를 통한 아동화 표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