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ㆍ일 양국어의 수동표현 비교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Passive Expression in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Abstract
일본어와 한국어에는 주체가 자기의 의지와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작용을 받는 것을 나타내는 형식의 수동표현이 존재한다. 수동표현은 동작을 받는 대상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일본어와 한국어의 문법적 형식으로서 동일하게 존재하고 있지만, 그 사용에 있어서는 서로 대응하는 경우와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학습자들을 혼돈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예로 평상시 일본인과 대화를 하다보면 일본인들의 빈번한 수동표현의 사용을 접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 한국어는 수동이 아닌 능동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수동표현을 형태와 의미별로 고찰하고, 이에 대한 한국어 대응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어에 비해 폭넓게 사용되는 일본어 수동표현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일본어 수동표현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에 이 논문은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누어 첫째로는 양국어 수동표현의 전반적인 특징을 소개하고, 둘째로는 일본소설을 두 권 선정하여 소설에 나타난 수동표현을 조사하여 실질적인 수동표현의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한국어 번역소설에서 일본소설에 나타난 수동표현이 한국어로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일본어와 한국어의 수동표현의 차이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일본어와 한국어의 수동표현은 형태적으로 일본어의 경우, 서술어인 동사의 미연형에 (ら)れる가 접속하는 단일형태를 갖는데 반해, 한국어의 수동표현은 동사에 따라 「이 형(形)」「-지다 형(形)」「되다/ 받다/ 당하다 형(形)」이 접속하는 다양한 수동 형태를 갖는다. 또한, 구문적으로는 일본어의 수동표현은 동작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대응하는 능동형식이 존재하는 직접수동과, 동작주로부터 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대응하는 능동형식이 존재하지 않는 간접수동이 있었다. 하지만 한국어의 수동표현의 경우 대부분이 일본어의 직접수동에 해당하는 수동 형식으로, 한국어에는 일본어의 간접수동에 해당하는 구문은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의미적으로는 양국어 모두 수동표현이 피해, 중립, 수익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본소설을 통하여 수동표현의 실태를 살펴보면 구문적으로는 직접수동이 간접수동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나 일본어의 수동표현은 대부분이 직접수동임을 알수 있었다. 또한 의미적으로는 대부분이 피해ㆍ중립ㆍ수익의 의미 가운데 대부분이 피해와 중립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소설에 나타난 수동표현이 한국어 번역소설에서는 모두 수동표현으로 그대로 대응하지 않고 상당부분이 한국어에서는 능동표현으로 대응하여 차이를 보였다. 한국어의 능동표현으로 대응하는 경우는 직접수동에 비하여 간접수동일 때 대부분이 능동표현으로 대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의 능동표현으로 대응하는 일본어의 직접수동은 대부분이 한국어에서는 수동 형태를 갖기 어려운 어휘에 의한 것으로 어휘의 성격에 기인한다. 한편, 간접수동의 경우는 대부분이 자동사에 의하여 피해를 나타내는 「迷惑の受身」로 자동사에 의한 「迷惑の受身」는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표현임을 알 수 있다.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use the passive expression to express that a subject is influenced by outside factors without its volition. The passive expression in Korean and Japanese have the same grammatical form, centered on the subject that is influenced, though the application does not always correspond, which can be confusing when studying these languages.
In general conversation with Japanese people, there is frequent application of the passive expression. In contrast however, the active expression is primarily applied in Korean. Therefore, this thesis studies the form and meaning of the passive expression in various applications in Japanese and how it corresponds to Korean. In addition, this document seek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liberal application of the passive expression in Japanese compared to in Korean, in an effort to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a good command of the passive expression in Japanese.
This thesis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presents the general peculiarities of the passive expression in Korean and Japanese.
The second section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ssive expression in Korean and Japanese. This thesis studie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assive expression in two carefully chosen Japanese novels and their corresponding Korean translations.
The Japanese passive expression has a singular form - (ら)れる is related to a verb that is the predicate. Whereas, Korean has diverse forms - one of 「이형(形)」「-지다 형(形)」「되다/ 받다/ 당하다 형(形)」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verb. In grammatical construction, the Japanese passive expression is divided into the direct passive that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agent and the indirect passive that is indirectly influenced. But as Korean language does not have the indirect passive form, most of Korean passive expression conform to Japanese direct passive form. In meaning, on the other hand, both Korean and Japanese passive form express damage, neutrality and benefit.
In the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Japanese novels, the direct passive is found much more than the indirect passive. And most of them express damage and neutrality among the meanings of damage, neutrality and benefit.
Meanwhile, there is a bold distinction between Japanese and Korean novels in their grammatical expression. When translators render Japanese novels into Korean, the passive expression in Japanese is typically changed into active expression in Korean. In this case, rather than direct passive, it is more often indirect passive that is translated into active expression in Korean.
When translating passive expression into Korean, one is faced with the challenge of having a very limited vocabulary. Most of the indirect passive is 「迷惑の受身」 that express damage by an intransitive verb, but 「迷惑の受身」 is the expression that cannot be found in Korean language.
Author(s)
정하영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50
Alternative Author(s)
Cheong, Ha-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어교육
Advisor
金勝漢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I. 서론 1
1.1 연구목적 1
1.2 연구방법 2
II. 일본어 수동표현의 특징 3
2.1 형태적 특징 4
2.2 구문적 특징 4
2.3 의미적 특징 6
III. 한국어 수동표현의 특징 12
3.1 형태적 특징 13
3.2 의미적 특징 14
IV. 수동표현의 사용실태 18
4.1 일본 소설에서의 수동표현 사용 현황 18
4.1.1 구문별 현황 19
4.1.2 의미별 현황 20
V. 수동표현의 대응관계 23
5.1 형태적 대응 23
5.2 의미적 대응 25
5.3 일본어 수동표현과 한국어 능동표현 대응 28
5.3.1 직접수동 28
5.3.2 간접수동 30
VI. 결 론 33
참고문헌 36
Abstract 3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정하영. (2007). 한ㆍ일 양국어의 수동표현 비교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Japanese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